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 질투를 창조적 에너지로 전환하기

기자명 재마 스님

차이를 우열로 차별한 전도몽상이 고통 원인

안녕하세요? 지난 한 주 동안 아름답고 행복을 주는 언어생활을 하시면서 행복하셨는지요? 누군가에게 꽃과 같은 말로 힘과 용기를 주신 경험은 있으셨는지요? 고마움은 얼마나 표현하셨는지요? 또 칭찬은 얼마나 하셨는지요? 이런 모든 언어사용들은 열반에 이르게 하는 팔정도 수행 가운데 정어(正語)수행에, 사섭법에서는 애어섭 수행에 해당합니다.

질투는 삶 뒤흔드는 내밀한 힘
일어나는 동시에 괴로움·고통
연민·지혜 깃든 칭찬 전환할 때
질투·부러움의 감정에서 해방

기쁜 존재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사랑스런 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존재여행은 더불어 가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여행을 할 때는 누군가의 기쁜 일이 전체 분위기를 밝게 해주는 빛이 되기도 합니다. 이때 주위에서 함께 기뻐해주면 그 기쁨은 공동체의 것이 됩니다. 주위에 따뜻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관계를 화목하게 하는 기본입니다. 오늘 나의 관심을 나만 바라보는 것에서 누군가의 작은 기쁨으로 향하면 어떨까요?

우리 모두는 행복을 원하고 고통을 싫어합니다. 이런 면에선 모두가 평등하지요. 관심의 지평 위에 지혜와 자비가 스며든 말은 모두에게 유익을 줍니다. 혹 주변 사람들을 볼 때 장점과 아름다움 보다는 단점이 먼저 보이지는 않는지요? 그럴 때 그의 단점보다는 좋은 점을 발견하려 애써보세요. 그리고 단점이 정말 그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것인지 따져보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내가 단점으로 보는 것이 다른 누군가는 수희 찬탄하는 강점은 아닌지요? 나의 질투와 부러움이 작동해 폄하하는 것은 아닌지 다각도로 헤아려보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작은 성공이나 기쁜 일에는 누군가의 축하를 받고 함께 기뻐해주기를 바랍니다. 축하와 인정을 받지 못하면 좌절하거나 비통해하는 경향까지 있습니다. 그런데 묘하게도 다른 사람의 성공을 보고 함께 기뻐하거나 축하하는 데는 매우 인색한 것 같습니다. 특히 나와 비슷한 조건의 상대일 때 경쟁심으로 인해 진심으로 기뻐하지 못하지는 않는지요?

누군가와 경쟁하는 마음이 있으면 그와 나를 비교하면서 내가 더 낫기를 바랍니다. 그가 성공하는 것을 보면, 그가 나보다 우월하고 나는 열등하다는 자동화된 사고가 작동합니다. 심하면 그의 성공이 마치 나의 실패로 연결될 것 같은 불안과 두려움이 밀려오기도 합니다. 바로 그 때문에 나의 명성이나 부에 손해를 끼칠까봐 미움과 화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다양성의 차이를 우열로 차별하는 전도몽상의 습관은 우리를 아만과 아집으로 이끕니다. 이 모든 것으로 인해 우리는 고통을 경험합니다.

평소 자신에게 질투를 일으키는 대상이 있는가요? 프랑스의 철학자 롤랑 바르트는 “나는 질투심을 느낄 때 네 번을 괴로워한다. 질투 자체가 괴롭고, 질투하는 자신을 책망하는 것이 괴롭고, 질투심이 상대에게 상처를 줄까봐 두려워 괴롭고, 그런 시시한 감정에 굴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괴롭다”고 고백합니다. ‘우리 삶을 뒤흔드는 내밀한 힘’이라고 불리는 질투는 일어나는 동시에 괴로움이자 고통입니다.

어떻게 하면 ‘질투와 부러움’이라는 감정에서 해방되고 치유할 수 있을까요? 그것은 사랑스런 마음과 연민, 지혜가 깃든 칭찬으로 가능합니다. 함께 기뻐하는 수행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이 붓다의 가르침입니다. 샨티데바 스님은 ‘남의 공덕을 기뻐하면 이생뿐 아니라 내생에서도 큰 행복을 얻지만, 질투하면 이 삶에서도 불만과 괴로움을 느끼고 내생에서는 더 큰 고통을 받는다’고 하셨습니다.

질투가 일어날 때 스스로를 고귀한 행동으로 고양시켜 순수한 기쁨과 행복을 누리는 기회로 만들 수 있습니다. 바로 질투를 일으키는 대상의 성공과 행복,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이것은 보살의 보리심수행입니다. 지혜와 자비가 깃든 칭찬은 ‘나’를 잊고 내려놓는 무아수행입니다. 두려움과 불안, 부러움과 질투를 대치하는 수행법입니다.

이번 한 주 동안 누군가 작은 성공을 했을 때 흔쾌히 축하하는 마음을 일으켜보시길 바랍니다. 하루에 몇 번 정도, 함께 기뻐하는 표현을 하는지 살펴보시길 권합니다. 그리고 날마다 횟수를 늘려보시면 더 기쁜 존재여행이 될 것입니다.

재마 스님 jeama3@naver.com
 


[1393호 / 2017년 5월 31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