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강제징용 희생자 귀향불사 더 확대돼야

기자명 법보신문
  • 사설
  • 입력 2017.08.21 11:36
  • 수정 2017.09.01 21:10
  • 댓글 0

일제강제징용희생자유해봉환위원회가 8월1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단군민족평화통일협의회 등 108개 민족단체와 함께 ‘일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봉환 국민추모재’를 봉행했다.

1929년 경제대공황이 전 세계를 강타하자 일본은 1931년 9월 만주를 침략했다. 1937년 7월 중일전쟁마저 일으킨 일본은 급기야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켰다. 기나 긴 전쟁으로 인해 물적, 인적 자원이 부족하자 일본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군수산업 확충에 필요한 노동력 확보를 위해 ‘국가총동원법’을 선포하며 조선인 노동자를 대대적으로 동원하기 시작했다. 일제말기 강제동원을 연구한 이복주 선생에 따르면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으로 강제 동원된 사람은 약 1000만명에 이르는데 그 중 조선인 노동자는 약 450만명’이라고 한다. 노동자 절반에 이르는 수치인데 이복주 선생의 주장처럼 이는 ‘세계 역사상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대규모 인력수탈’이다.

영화 ‘군함도’ 개봉으로 당시의 참상을 일면이나마 엿볼 수 있는데 실제로 조선인 노동자들은 군대식 훈련과 감시 속에서 생활했다. 가장 위험한 작업장에 배치됐기에 사상자 또한 많았을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더욱이 직장선택권이나 거주이전의 자유는 조선인 노동자들에게 허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만 주목해 보아도 당시의 인력동원이 ‘강제징용’이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일본은 지금까지도 ‘자유모집’ 주장만을 내세우며 강제징용에 따른 사과나 그에 따른 보상은 하지 않고 있다.

일본으로 끌려간 450만 조선인 노동자들은 종전 후 모두 조선 땅으로 돌아와야 했지만 녹록치 않았다. 귀향은 차치하고라도 행방조차 찾을 수 없는 노동자만도 15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한국에 있는 노동자 가족으로서는 유해만이라도 찾는 게 소원이다. 이 점에 입각해 볼 때 일본의 국평사는 한국의 희망을 이어가고 있는 대표 사찰이다.

국평사는 재일 한국인 사찰로써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과 일본인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일본 도처에 묻힌 유해를 발굴하고 보관하며 위령재를 봉행해 왔다. 이번에 돌아온 유해 33위는 일제강제징용희생자유해봉환위원회와 국평사간의 협의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강제징용 희생자들의 상처 치유와 민족의 존엄, 그리고 통일염원 의지가 통했기에 가능했다. 이번 추모재를 계기로 강제징용에 국민적 관심이 더욱 더 지대해지기를 바란다.

[1404호 / 2017년 8월 23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