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가족이 함께 푸는 불교교리 (58)
1. 불교 교리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연기는 모든 존재가 어떤 조건이나 원인에 의해서 생기고 사라진다는 원리를 말한다.
② 팔정도는 실천덕목으로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을 말한다.
③ 삼법인은 대승의 보살이 실천해야 할 덕목으로 계율인, 선정인, 해탈인을 말한다.
④ 중도는 욕망의 쾌락과 극심한 고행이라는 양 극단에 치우치지 말라는 실천적 가르침이다.
⑤ 사성제는 고통에서 벗어나 깨달음으로 가는 네 가지 진리로 고·집·멸·도성제를 말한다.
2. 삼세업보(三世業報)의 의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작은 잘못은 업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② 작은 선행도 결코 헛되지 않다는 믿음을 주어 꾸준히 선을 행하게 한다.
③ 자신의 행위와 무관하게, 혹은 모순되게 보이는 여러 가지 현상들도 사실은 인과업보의 법칙을 벗어나지 않는다.
④ 선업과 악업에 대한 과보는 지금의 삶에서 모두 나타나는 것만은 아니며 후세, 즉 다음 생에 나타날 수도 있다.
⑤ 지금의 역경을 받아 들여 마음의 평화를 얻게 하고 미래의 행복을 위한 강력한 의지와 노력을 일으키게 하는 미래지향적 인생관을 제시한다.
3. 일체의 모든 것은 서로의 관계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존재한다고 보는 부처님의 가르침은?
① 연기법
② 우연법
③ 창조법
④ 유심법
⑤ 유물법
4. 삼독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삼독을 소멸하고 지혜와 행복을 추구하는 일은 출가 수행하는 스님들만의 몫이다.
② 삼독 중 ‘어리석음’이란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많이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③ 삼독은 탐욕, 분노, 어리석음을 말하며 나눔과 자비, 지혜의 실천으로 삼독은 소멸할 수 있다.
④ 삼독이란 인간을 불행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마음과 행동인데 탐욕, 보시, 어리석음을 말한다.
⑤ 재물에 대한 욕심은 탐욕에 해당하고 남을 돕고 명예를 높이고자 하는 것은 탐욕에 해당하지 않는다.
5. 부파불교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불교의 목적이 성불에 있음을 천명하였다.
② 새로운 사상을 담은 대승경전들이 성립되었다.
③ 경, 율, 논 삼장이 성립되었다.
④ 불교의 사회화, 대중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⑤ 보수적인 대중부와 진보적인 상좌부의 대립이 시초였다.
6. 불교의 전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상좌부 불교는 오늘날의 스리랑카에만 전파되었다.
② 불교를 인도 전역으로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하르샤 왕이다.
③ 대승불교는 인도문화권을 넘어서 중앙아시아와 동북아시아 전역으로 전파되었다.
④ 쿠샨왕조의 카니슈카 왕은 중생의 구제를 앞세우고 소승불교를 일으키는 데 앞장섰다.
⑤ 현재 불교가 존재하고 있는 곳은 아시아 지역뿐이며 유럽과 아메리카 지역에는 불교가 전해지지 않았다.
(재)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공
정답 1. ③ 2. ① 3. ① 4. ③ 5. ③ 6. ③
[1581호 / 2021년 4월14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