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가족이 함께 푸는 불교교리 (63) - 끝

2021-06-14     법보

1. 불자로서 오계를 잘 지키는 사람의 태도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한다.
②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자신에게 필요없는 물건을 내놓는다.
③ 술을 마시더라도 남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언행을 하지 않는다.
④ 이성을 존중하고 성(性)을 쾌락의 도구로 여겨 음란하게 행동하지 않는다.
⑤ 타인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 욕설이나 비꼬는 말, 따돌리는 말 등을 하지 않는다.

 

2. 불교에서는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인 사무량심(四無量心)을 키울 것을 제시한다. 다음 중 사무량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자(慈)    
② 비(悲)
③ 덕(德)    
④ 사(捨)
⑤ 희(喜)

 

3. 우리가 늘 간직해야 할 네 가지 좋은 마음을 사무량심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자(慈)는 이웃에게 즐거움을 주는 마음이다.
② 비(悲)는 이웃의 고통을 보고 함께 아파하는 마음이다.
③ 자비심은 이웃에게 향하는 마음이지만 나에게도 있어야 하는 마음이다.
④ 희(喜)는 이웃에게 즐거움을 주고 이웃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마음이다.
⑤ 사(捨)는 이웃과 사회에 대한 관심을 두지 않고 오로지 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는 경지이다.

 

4. 불교에서는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인 사무량심을 참된 사랑이라 한다. 이 가운데 가난과 굶주림, 질병과 재난으로 고통 받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도와주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자(慈)    
② 비(悲)
③ 희(喜)    
④ 사(捨)
⑤ 업(業)

 

5. 불교에서는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인 사무량심을 참된 사랑이라 한다. 부모가 자식을 보살피고 스승이 제자를 보살피듯, 또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고 제자가 스승을 존경하듯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며 따뜻하게 보살피는 것은?
① 자(慈)    
② 비(悲)
③ 희(喜)    
④ 사(捨)
⑤ 업(業)

 

6. 불교에서는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인 사무량심을 가지라고 한다. 이 가운데 평등하고 공평한 마음을 의미하는 것은?
① 자(慈)    
② 비(悲)
③ 희(喜)    
④ 사(捨)
⑤ 업(業)

(재)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공

정답 1.②  2. ③  3. ⑤  4. ②  5. ①  6. ④

 

[1589호 / 2021년 6월1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