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불교문화연구원·은암문화재단, ‘코로나 극복’ 주제 공동 학술대회
10월16일, 김해 동림선원서 개최 “온라인 법당·친환경 수행·현대적 명상법 절실”
“현대인들의 눈높이에 맞추고 불교에 기반을 둔 수행법과 명상법이 절실한 시기다. 온라인 형태의 법당 구축과 친환경 생활을 앞장서는 수행을 지향해야 한다. 위드코로나 시대에는 현대인 모두가 공감하는 열린 불교가 절실한 시기다.”
코로나19 펜데믹 시대의 불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학술대회가 개최됐다.
반야불교문화연구원(원장 지안 스님)·은암문화재단(이사장 신공 스님)은 10월16일 경남 김해 동림선원에서 ‘코로나19, 불교가 답하다’를 주제로 공동 학술대회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제4주제를 맡은 김경미 동국대 파라미타칼리지 교수는 ‘코로나 시대의 불교포교의 활성화 방안’이라는 발제에서 “향후 종교와 관계없이 많은 사람의 치유와 힐링을 위해 불교를 활성화하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며 “특히 불교를 근본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친환경 생활을 지향하는 수행, 온라인 형태의 다양한 불교 강좌가 더욱 다양하고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제1부 개회식, 제2부 본 대회로 전개됐다. 김경미 교수를 비롯해 제1주제 ‘팬데믹에 대한 초기불교적 대응(김한상/ 동국대)’, 제2주제 ‘코로나 19, 불교적 해석-정서불안, 사심사관, 탈중심화를 중심으로(안환기/ 서울불교대학원대)’, 제3주제 ‘역사속의 전염병과 불교의례(강호선/ 성심여대)’가 각각 발표됐다. 논평자로는 우명주(동국대), 김명우(동의대), 윤종갑(동아대), 신경 스님(동국대)가 각각 나서며, 사회는 김희 신라대 교수와, 구자상 동의대 교수가 맡았다. 이어 강경구 동의대 교수를 좌장으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반야불교연구원장 지안 스님은 “불교적 관점에서 오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반야의 지혜가 무엇인지 진단하고 대안을 찾기 위해 행사를 마련했다”고 취지를 전했다.
은암문화재단 이사장 신공 스님도 “코로나19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불교적 관점에서 풀어내어 주신 교수님들에게 감사드리며 우리 모두 부처님 가르침으로 어려운 시대를 헤쳐나갈 수 있길 바란다”고 발원했다.
주영미 기자 ez001@beopbo.com
[1606호 / 2021년 10월27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