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역사물길 왜곡사태 계기로 불교계 대응 시스템 마련해야”

9월26일, 봉은사·법보신문 주최 “불교사 연구할 상설기관 절실”

2022-10-04     정주연 기자

서울 광화문광장 역사물길 연표석에 새겨진 불교사 왜곡과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사과하고 시정 조치를 약속하며 논란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터져 나오는 왜곡과 종교편향 문제에 “이번 사태를 계기 삼아 불교계 내부 대응 시스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제기됐다. 

서울 봉은사(주지 원명 스님)와 법보신문(대표 김형규)이 ‘불교사 왜곡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좌담회를 마련했다. 학자와 단체장 견해를 묻고 대응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취지다. 9월26일 봉은사 구생원에서 진행된 이번 좌담회는 봉은사 주지 원명, 조계종 기획실장 성화, 종회의원 지우, 봉은사 교무국장 덕산 스님을 비롯해 김형규 법보신문 대표, 최병헌 서울대 명예교수, 백도수 한국불교학회장, 이병욱 불교학연구회 부회장, 이찬영 조계종 중앙신도회 사무총장, 장정화 대한불교청년회장, 조용석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지도위원장, 신규탁 연세대 철학과 교수, 이창익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 이병두 종교평화연구원장, 민학기 변호사(조계종 제2교구 신도회장), 박혜영 봉은사 신도회 사무총장, 이재형 법보신문사 편집국장이 참여했다. 

이들은 불교사를 넘어 한국사를 왜곡하는 가톨릭 성지화를 비판하고 특정 종교가 정부 관계자와 유착하는 고리를 끊어내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것만이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조선불교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을 비롯해 예상치 못한 변수에 대응할 불교계 내부의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 조선전기 선종·교종 도회소 흥천사·흥덕사, 세조 때 불경을 간행한 간경도감, 남한산성·북한산성의 사찰터 등 서울시 불교유적 학술조사가 추진돼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외에도 “우리가 정부나 지자체에 불교 역사 서술 매뉴얼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학계와 교계 단체장들이 행동으로 옮겨 교계 단체가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등의 화두를 던졌다.

정주연 기자 jeongjy@beopbo.com

[1651호 / 2022년 10월 5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