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중앙종회 특위, 종교편향 담당 전담조직 구성 요구
12월13일, 첫 회의 개최하고 향후 활동 계획 논의 실행력 갖춘 대응체계 뒷받침 돼야 편향·왜곡 근절
조계종 중앙종회가 공공기관, 교과서, 방송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종교편향 및 불교왜곡 근절을 위해 전담조직 구성을 강력히 요구했다.
조계종 제18대 중앙종회 종교편향불교왜곡대응특별위원회(위원장 선광 스님, 종교편향특위)가 12월13일 첫 회의를 갖고 향후 활동 계획을 논의했다. 제17대 중앙종회에 이어 꾸려진 이번 종교편향특위는 위원장 선광 스님을 비롯해 종회의원 제정·법원·종원·응관·법성·설해 스님, 사회부장 범종 스님, 교육부장 지우 스님으로 구성됐다. 활동 기간은 제18대 중앙종회 전반기까지다.
이날 스님들은 종교편향 및 불교왜곡 문제의 근본적인 근절을 위해 실행력을 갖춘 대응 체계가 뒷받침 돼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다. 위원장 선광 스님은 “전국 곳곳에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종교편향, 불교역사 왜곡 문제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며 “실제 우리가 발로 뛰며 어떤 문제가 일어나고 있는지 찾아 나설 때”라고 밝혔다.
법원 스님은 “17대 특위에서도 많은 노력 끝에 일정 성과를 내기도 했지만 특위와 집행부 간 정보를 공유하고 결의하는데서 그칠 것이 아니다”라며 “이런 정보와 결의들이 실행력을 갖춘 단체에 전해져야 보다 나은 결과를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설해 스님도 “해당 사안이 마무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쏟을 수 있는 동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대응방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공감했다.
특히 총무원 사회부 내 종교평화위원회에서 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종교 편향과 불교 왜곡 문제에만 집중할 수 없고, 담당 인력도 부족하다는 점을 짚으며 전담조직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응관 스님은 “현재는 각 지역별로 모니터링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즉각적인 대처에는 미흡한 상황”이라며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전담 인력 구성에 대해 적극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우 스님은 “불교왜곡이 뿌리 깊게 자리 잡혀 있는 지금,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선 전문팀을 꾸려 면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전담 조직 없이는 방대한 지역의 모니터링과 대응에 한계가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에 사회부장 범종 스님은 종교평화위원회 전반의 어려움과 한계를 전하며 전담조직 구성에 앞서 가톨릭 측의 순교자현양위원회, 개신교 측의 성시화운동본부 등 타종교 전담조직의 활동 내용을 정리해 차기 회의에 보고키로 했다.
이와 함께 불자들의 인식개선에 앞장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제정 스님은 “특위는 활동기간이 정해져 있다. 지속적으로 올바른 불교 역사를 정착해 가려면 교구본말사와 문제 사항을 공유하고 법문을 통해 불자들에게 적극 알려야한다”고 말했다. 이에 응관 스님도 “불자들을 교육하려면 종단 차원의 매뉴얼을 우선 만들어 각 교구와 포교단체 등으로 일괄 배포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 의견 청취를 위해 5명 이내 전문위원 추천, 구성키로 결의했다. 또 종교편향특위 간사로 비구니종회의원 설해 스님을 만장일치 선출했으며, 17대 중앙종회 특위 성과를 담은 백서 발간 작업도 이어가기로 했다. 2차 회의는 12월28일 열릴 예정이다.
김내영 기자 ny27@beopbo.com
[1662호 / 2022년 12월 21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