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훈민정음’ 주제 네 번째 학술대회 개최한다
10월26일, 경내 해장보각 불교의 동진(東進)과 동아시아 문자 발달 조명
영축총림 통도사(주지 현덕 스님)는 오는 10월 26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경내 해장보각에서 ‘훈민정음 창제와 불교계의 영향 - 불교의 동진과 동아시아 문자 발달’을 주제로 2025년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불교 전래와 문자 수용의 관계를 조명하며, 특히 훈민정음 창제 과정에 불교계 인물들의 참여와 영향을 학문적으로 고찰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조계종 종정 중봉성파 대종사는 그동안 신미 스님·학조 스님·학열 스님 등 한글 창제에 기여한 스님들의 역할에 주목해 왔으며,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심화·확산하기 위한 연구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행사는 이석환 동국대 교수가 사회를 맡은 가운데 개회 법문은 조계종 종정 중봉성파 대종사, 인사말은 통도사 주지 현덕 스님이 전한다. 주제발표는 이용 서울시립대 교수가 ‘불교 전파와 한국 불경 석독 전통의 만남: 훈민정음 창제의 맥락’을 주제로 제1발표한다. 이어 이태승 전 위덕대 교수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범어음성체계 연구 - 조선시대 「진언집」의 범어체계와 비교하여 -’를 주제로 제2발표를 한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서는 신웅철 국립한밭대 교수, 조운성 성균관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해 학문적 심화를 더한다. 행사 말미에는 권인한 성균관대 교수를 좌장으로 종합토론이 마련된다.
2022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네 번째를 맞는 통도사 추계학술대회는 불교계와 한글 창제의 관계를 조명하며 훈민정음의 문자·음운 체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도사 주지 현덕 스님은 “훈민정음 창제에 불교계가 지대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대중에게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며,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관련 연구의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055)382-1001
주영미 기자 ez001@beopbo.com
[1798호 / 2025년 10월 29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