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남인도 해상 전래 가능성 높다”

제2회 가야불교 학술대회
이거룡 선문대 교수 주장

2017-03-06     주영미 기자

 
“한국불교 남래설을 단순히 허황옥, 쌍어문, 아요디야 등의 키워드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 문화교류사적인 입장에서 허황옥 이전 시기에 이미 남인도 지역 불교가 가락국에 전래되었을 가능성과 허황옥이 북인도가 아닌 남인도 출신의 가능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김해 여여정사(주지 도명 스님)와 동명대 인도문화연구소(소장 장재진)는 2월25일 김해 여여정사에서 ‘제2회 가야불교 학술대회’<사진>를 개최했다. 지난해 가야대에서 첫 세미나를 개최한 데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세미나는 ‘해항불교 전파의 모형 탐색’을 주제로 진행됐다. 미슈라 인도 마드라스대학 철학과 학장, 이거룡 선문대 교수, 황순일 동국대 교수, 고영섭 동국대 교수 등이 발제를 맡았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이거룡 교수는 ‘한국불교남래설 고찰’ 발제를 통해 불교 남래설의 문화교류사적 접근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인도 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많은 학자들이 남래설을 주장해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며 “‘삼국유사’에 김수로왕이 허황옥을 맞이하기 전 불교를 알고 있었다고 언급되는 점, 파사석탑의 양식이 남인도 드라비다 양식의 탑파양식에 가깝다는 점 등을 미루어볼 때 해상 루트를 통해 민간 차원에서 허황옥 이전 가락국에 불교가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김해=주영미 기자 ez001@beopbo.com
 


[1382호 / 2017년 3월 8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