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수라의 눈물·시간 위에 지은 집/성낙주 지음/창조문화

기자명 채한기
  • 불서
  • 입력 2004.08.10 16:00
  • 댓글 0

‘문화재 소설’도 있구나!

성낙주 소설 『아수라의 눈물』과 『시간 위에 지은 집』은 전반부는 창작 소설, 후반부는 미술사에 관한 평론으로 구성돼 있다. 이질적인 두 분야의 글이 한 권에 묶일 경우 문학성과 평론성 중 어느 하나라도 수준 미달이면 책의 가치는 ‘용두사미’격으로 추락할 것이다.

나 성낙주의 문화재창작 소설은 이런 우려를 불식시킨다. 소설 『챠크라 바르틴』과 『왕은 없다』를 통해 이미 문학성을 확보했고, 『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으로 문화재 식견에 정평이 나 있는 성낙주이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첨성대를 소재로 한 ‘대지의 눈동자’작품을 보자. 이 작품에서 ‘첨성대’는 이미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천문대’가 아니다. ‘첨성대’는 ‘우물’로 대체돼 있다. 더욱이 작품에서 그 우물은 작가의 상상력을 동반해 하늘의 별빛을 담는 우주의 우물로 변해 있다. ‘천문대’가 ‘우물’로 완전히 바뀐 것은 근거 없는 소설적 픽션에만 따른 것일까.

<사진설명>황룡상 9층탑을 이미지화한 삽화.

그러나 후반부 ‘첨성대’에 관한 평론 ‘우주의 우물-선덕여왕의 성체(聖體)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근거 없는 소설이 아니라는 점을 간파할 수 있다. ‘첨성대’가 고대천문학의 집약체인 건축 양식을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첨성대 내로 안내하는 층계 하나 없는 구조를 띤 것으로 보아 ‘실용적 천문대’라기 보다 ‘상징적 천문대’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성덕대왕신종, 이른바 ‘에밀레 종’을 소재로 한 작품 ‘참고 참았던 울음’에서도 그는 성덕대왕신종에 얽힌 설화를 뒤엎고 있다. 보시 할 것이 없어 어린 아이를 스님에게 내 주었다는 설에 대해 과감히 비판하며 그 설화는 당시 혜공왕과 모후에 대한 이야기임을 설파하고 있다.

성낙주는 이외에도 ‘불국사 석가탑, 다보탑’, ‘영주 부석사’, ‘분황사 모전탑’, ‘서산 마애 삼존불’, ‘황룡사 구층탑’, ‘세한도’, ‘석굴암 아난존자’, ‘고려상감청자운학문매병’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전편 모두 탄탄한 스토리 구성과 위트 넘치는 해학이 돋보이며 단문의 힘과 서정이 어우러져 품격을 더한다.


채한기 기자 penshoot@hanmail.net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