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심자를 위한 불교산책 - 무아(無我)의 바른 이해

기자명 박경준
  • 불서
  • 입력 2004.08.10 16:00
  • 댓글 1
우리들은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나에 대한 집착, 나의 것에 대한 집착으로 말미암아 고통스럽고 불행한 일들을 많이 겪는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우리들이 보통 나라고 생각하는 것들, 이를테면 육근(육근)이나 사대(사대)나 오온(오온)은 내가 아니고(비아) 나의 것이 아니다(비아소). 또한 거기에는 나라고 할 만한 그 무엇이 없다(무아). 더 나아가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것이 물질적인 것이든 정신적인 것이든 현상적인 것이든 그 어떤것도 영원 불변하는 개체나 실체가 없다. 불교에서는 이것을 흔히 `제법무아'(제법무아)라고 하며, 불교사상의 한 징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교의 무아설은 그 근본취지가 종종 잘못 이해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무아설이 우리를 허무주의나 도덕적 회의로 이끄는 것으로 곡해되기도 한다. 독일의 불교학자 올덴베르크(H.Oldenberg)는 무어와 열반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불교를 허무주의로 이해한 바 있고, 부처님 당시 외도(외도)들 중에도 무아설에 근거하여 불교를 일종의 허무주의로 생각한 예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제자들 중에도 불교를 허무주의로 곡해한 사람이 있었으며, 심지어는 자살을 한 비구가 있었다는 기록도 간혹 눈에 띈다.

부처님이 영혼의 불멸을 인정하는 상주론(상주론)과 인격의 연속성을 무시하고 도덕적 인과율과 책임을 부정하는 단멸론(단멸론)을 똑같이 경계하고 있음을 상기할 때, 무아설에 대한 허무주의적, 단멸론적 이해는 일단 잘못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것은 "자귀의 법귀의 자등명 법등명"(자귀의 법귀의 자등명 법등명)의 가르침이라든가 "자기의 의지처는 자기뿐이니 자기 밖의 그 무엇을 의지하리요. 자기가 참으로 조어(조어)될 때 가장 훌륭한 의지처를 얻게 되리라"는 가르침 등을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다.

불교에서 무아(무아)를 설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불교에서 부정하는 것은 실체(실체)로서의 나(실아)일뿐, 가아(가아)나 진아(진아)는 모두 인정한다.

요컨대 망상분별의 산물인 고정불변하는 실체아는 없지만, 오온가화합체(오온가화합체)로서 여기 이렇게 숨쉬고 느끼고 생각하는 임시적인 나(가아)와 불교적 실천수행에 의해 체득되는 이상적인 나(진아)는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들 인생의 의의는 가아가 진아를 실현하는 데서 찾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 범부중생들은 오온가화합의 가아를 가아로 보지 못하고 실아(실아)로 집착한다.

이 집착이 있는 한 `참나'는 결코 실현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부처님은 줄기차게 무아를 설하여 그 집착을 끊고 마침내 참나를 실현케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불교의 무아설은 결코 허무주의가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참나의 실현', `열반의 성취', 조금 일반적인 말로 하자면 `자아실현', `자기완성'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박경준/동국대 불교대학 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