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경칼럼-신심(信心)과 불신(不信)

기자명 법보신문
  • 사설
  • 입력 2004.08.10 16:00
  • 댓글 0
항상 느끼는 일이긴 하지만 신심이 돈독한 불자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매우 흡족해진다.

반면 머트러운 행동을 보면 몸 둘 바를 모를 때가 있다. 절로 흥겨울 때는 매일 하는 새벽 예불에 참석하기 위해 이 산사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동참하는 불자들을 대할 때다. 김장철을 맞이해 각 신행회에서 누구라 할 것없이 자원해서 김장을 담느라 분주한 보살들과 천불선원 건립에 신도들이적극 동참하여 권선하는 모습들을 볼 때마다 직지사는 중생세계가 아닌 불보살의 세계임을 새삼 느끼게 된다.

불교를 배운다는 것은 부처님을 닮아 간다는 것인데 이 모두가 부처님의삶과 다름 아니다.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 행복에 있을진대, 이러한 선행들속에 고통을 여읜 행복이 보장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러나 간혹 뜻밖의 일들이 벌어지는 것 또한 어쩔 수 없다. 오고 가며 도량을 거닐다 보면 관광객이 탑 난간에 걸터 앉아 사진을 찍는 모습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 탑이 공경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쉽게 걸터 앉는다. 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고 흙이나 돌을 쌓아 놓은 것이 기원이다. 후세에 사리가 들어 있지 않은 것도 탑이라 부르며 이 또한 공경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렇듯 소중한 탑에 대한 예의가 무례하기 짝이 없다. 몰라서 그러는 것이야 어쩔 수 없지만 불자들은 탑이 공경의 대상임을 인지할필요성이 있다.

원각경 문수보살장 제1권에 ‘우요삼잡(右繞三疱 )'이란 말씀이 나온다. 이는 부처님께 정례하고 오른쪽으로 3번 돌고 장궤차수한 후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상황의 근거를 통해 탑을 3번 도는 의미가 부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어느 사찰에선가 탑 난간이 화강암으로 조성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동강이 난 것을 보았다. 작은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말이 예사롭지만은 않다. 석탑은 문화재다. 이는 불자들은 물론 이 시대를 사는 모든 사람이 지켜야 할 역사적 산물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부처님께서는 명확하고도 바르게 사셨던 분이다. 우리도 부처님과 같은삶을 살아야 한다. 모든 행동의 기준을 바름〔正〕에 둔다면 내 자신의 행동이 과연 옳은가 그른가에 대한 해답이 나올 것이다.

다시금 내 자신을 반조해 보면서 과연 어긋남이 없는지 잘 살펴보아야 하겠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