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기가 그곳-태백산 정암사

기자명 이창윤
  • 사설
  • 입력 2004.08.10 16:00
  • 댓글 0

적멸보궁으로 유명한 자장스님 열반처

`일백 번 굽이쳐 흐르는 냇물이요, 천층으로 층계가 된 절벽'이라고 옛 사람이 노래했던가.

강원도땅 정선은 외지 사람들이 마음처럼 쉽게 다가설 수 없는 곳이다.백두대간의 한 가운데에 위치한 정선땅은 `어지러운 봉우리들이 높고 깎아지른 듯하여 겹으로 된 성과 같다'는 말처럼 태백산, 중봉산, 문래산, 가리왕산 등 1천 미터가 넘는 산으로 겹겹이 둘러싸여 있다.

사북·고한 탄광촌으로도 유명한 이곳 정선땅 태백산 기슭에는 사부대중의 수행도량이자 적멸보궁인 정암사가 자리하고 있다. 정암사는 자장 스님이 만년에 머물면서 수행한 곳이자 열반처이다. 스님은 삼국불교 중 가장 늦게 출발한 신라불교를 사상적으로나 국가적·대중적으로 가장 화려한 꽃을 피울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한 분이다.

스님의 속성은 김씨이고 이름은 선종랑(善宗郞)이다. 스님의 아버지인 무림(茂林)은 늦게까지 아들이 없자 관음상을 조성해 사월 초파일날 스님을낳았다. 스님의 속명이 선종랑이었던 것도 그 때문이라고 한다. 부모를 여읜후 홀로 깊은 산에 들어가 백골관(白骨觀)을 닦으며 정진했다. 《삼국유사》〈자장정률(慈藏定律)〉조에 따르면 스님은 재상자리를 주고자 세상으로 나오라는 왕명에도 `하루 동안 계율을 지키다 죽더라도 백년 동안 계율을 어기고 살기를 원치 않는다'며 듣지 않았을 정도로 용맹정진했다고 한다.

이후 스님은 선덕여왕 5년(636) 중국에 유학해 중국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부처님의 친착 금란가사와 진신사리를 전해받아 귀국한다. 분황사와 황룡사에 머물면서 《대승론》을 강의하고 보살계본을 설하는 등 대중 교화에 힘쓰던 스님은 선덕여왕의 명으로 대국통(大國統)이 된 후 교단의 기틀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한다.

모든 스님들에게 매년 봄과 겨울 두 차례 시험을 치렀고 한달에 두 번씩계를 설했다. 또 순사(巡使)를 보내 지방의 사찰을 일일이 살피고 승려들의과실을 징계하도록 했으며, 불경과 불상을 정비했다. 그 결과 열 집 중 여덟아홉 집에서 계를 받았으며, 출가하려는 사람이 해마다 달마다 불어났다고한다.

스님은 또, 황룡사에 9층 목탑을 세우도록 건의해 불교사상 통한 나라의안정과 번영을 꾀했고, 당의 연호나 복식을 도입하는 등 국가체제를 정비하도록 하기도 했다.
스님의 이런 노력으로 신라불교는 국가사상의 주축으로서 자리매김할 수있었고, 사상적으로나 대중적으로 신라사회에 깊이 뿌리내릴 수 있었다.

정암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자장정률(慈藏定律)〉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자장 스님이 만년에 경주를 떠나 강릉부에 수다사를 세우고 살 때였다.어느날 꿈에 이승(異僧)이 나타나 “내일 그대를 대송정(大松汀)에서 보겠소”라고 말했다. 스님이 놀라 다음날 일찍 대송정에 이르니 문수보살이 현신했다. 스님이 불법의 요체를 물으니 문수보살은 “태백산 갈반지(葛蟠地)에서 다시 만나세”라며 자취를 감추었다. 이에 스님이 태백산에 이르러 큰구렁이가 나무 밑에 서리고 있는 것을 보고 이곳에 석남원(石南院, 지금의정암사)을 세우고 문수보살이 다시 오기를 기다렸다.

예컨대 문수보살을 다시 만나기 위해 보살이 일러준 갈반지에 정암사를창건했다는 것이다. 이미 밝혔듯이 정암사는 양산 통도사, 오대산 상원사, 영월 법흥사, 설악산 봉정암과 함께 우리나라 오대 적멸보궁의 하나다. 스님이 이곳에 언제수마노탑을 세워 진신사리를 봉안했는지 알 수 없지만 정암사에는 다음과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스님이 진신사리를 모실 탑을 세우려고 할 때마다 번번히 탑이 무너졌다.이에 스님이 간절히 기도했더니 하룻밤 사이에 칡 세 줄기가 눈 위로 뻗어나 수마노탑과 적멸보궁, 사찰 자리에 멈추었다고 한다. 그곳에 탑을 세우고절을 `갈래사(葛來寺)'라 이름하고 지명 또한 `갈래'라고 했다고 한다. 지금도 정암사 인근에는 상갈래, 중갈래 등의 지명이 남아있다.

《정암사사적》에 따르면 이 수마노탑은 서해 용왕이 자장 스님이 불탑을세울 때 사용하도록 옮겨둔 마노석으로 건립됐다. 스님은 수마노탑을 세울때 금탑과 은탑을 함께 세웠는데, 사람들의 탐심을 우려하여 불심이 없는중생들은 육안으로 볼 수 없도록 비장(秘藏)했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은 돌로 쌓은 수마노탑만 볼 수 있다고 한다.

건립 이후의 수마노탑에 대해서는 18세기까지 남아있지 않다. 1713년 천밀(天密) 스님이 중수했으나 이듬해 벼락으로 다시 무너져 1719년 보수했다.1770년부터 3년간 취암 스님이 다시 중수했다. 이때 중수된 탑은 `본탑의 높이가 칠층, 놋쇠 상륜부가 오층, 풍경이 서른둘이었다'고 한다.

수마노 탑은 이후 1874년 벽암(蘗庵)·남호(南湖) 스님에 의해 다시 중수되고, 1972년에 문화재관리국에 의해 전면 해체복원됐다. 이때 탑의 각 부에서 다섯 매의 탑지와 사리 장치가 발견되었는데, 이들 유물은 탑안에 재봉안됐다.

정암사 경내에 있는 적멸궁은 이 수마노탑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세워진 전각으로 '75년 11월까지 선덕여왕이 하사한 자장 스님의 친착 금란가사가 보관돼 있었다.

이미 언급한대로 스님은 정암사에서 문수보살을 기다리며 말년을 보냈다.〈자장정률〉조에는 스님을 찾아온 문수보살과 스님의 최후에 관한 일이 기록돼 있다.
어느날 죽은 강아지를 담은 삼태기를 맨 늙은이로 변신한 문수보살이 찾아왔다. 그러나 스님은 문수보살을 미친 사람으로만 생각하고 만나지 않았다. 문수보살은 “아상을 가진 자가 어찌 나를 알아보겠는가”라며 사라졌는데, 이 말을 들은 스님이 황급히 쫓아 고개에 올랐으나 이미 사라진 뒤였다. 스님은 그 자리에서 쓰러져 입적했는데 스님의 법구를 화장해 굴 속에안치했다고 전한다.

《정암사 사적》에는 이 사실에 덧붙여 스님이 유골을 암혈(巖穴)에 갈무리하여 훗날 찾아와 만져보는 이들이 함께 정토에 왕생케 하라고 유언했다는 사실과 스님의 유골을 조전(祖殿) 남쪽 바위에 안치했는데 때때로 빛을 발한다는 사실이 기록돼 있다. 스님의 유골이 안치돼 있던 조전 남쪽 바위는 정암사 뒤쪽의 산봉우리인`뽀족봉'에 있다. 이곳 정상부근에 석실이 있는데 이곳이 스님의 유골을 안치한 곳이라고 전한다. 이곳에는 40년 전까지만 해도 수마노탑에 쓰인 석재와 석질이 같은 가로 세로 50센티미터 가량의 석함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사실은 정암사 인근의 나이든 주민들은 대부분 알고 있다. 고한읍에 사는 방순애(62)씨는 동네 사람들이 이 석실을 `자장법사' 또는 `자장바위' 등으로 불렀고 자신이 50여 년전에 가봤을 때 석실 안에 백자 그릇과 향로 등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정암사 인근 사람들은 “50년 전까지만 해도 스님들이 정기적으로 석실에서 다례법회를 했다”거나 “10년 전만해도 그곳에 청자편이 많이 있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 정암사 신도인 만법화 보살에 따르면 이 석함에는 뼛가루가 있었는데,이것을 먹으면 시험에 합격하고 재수가 좋다는 소문이 퍼져 마을 사람들이 다 가져갔다고 한다. 정암사는 이처럼 자장 스님의 발자취가 서려 있는 곳이다. 비록 자장 스님의 유골을 모신 석함도 사라지고 그 발자취마저 가물해졌지만 스님이 꽂은 지팡이가 자랐다는 고목(지금은 죽었다)만은 스님이 다시 와 새로 잎을 피워낼 그 때를 묵묵히 기다리고 있다.


이창윤 기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