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4.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마지막 경지에서는 내가 없다) 

기자명 진우 스님

깨달았다는 마음마저 사라진 무분별 경지라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세존께서 연등불에게 수기를 받았으나 실로 받은 바가 없어
감정은 끊임없이 좋고 싫은 감정 불러일으켜 감정인과 윤회 
고락업 없다면 걸림 없는 인연이요 아무 일 없는 인연 될 것

세상도 연기이고 나도 연기일 따름이다. 분별 감정만 없다면 인과에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그 자체로 해탈 열반이다.       [법보신문DB]
세상도 연기이고 나도 연기일 따름이다. 분별 감정만 없다면 인과에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그 자체로 해탈 열반이다. [법보신문DB]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어연등불소 유법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부(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於燃燈佛所 有法 得阿縟多羅三貘三菩提不) 불야 세존 여아해불소설의 불어연등불소 무유법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不也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佛於燃燈佛所 無有法 得阿縟多羅三貘三菩提)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 회상에서 어떤 법이 있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있겠느냐?”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아는 바로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은 세존께서 연등불 회상에서 어떤 법이 있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앞서서 “실로 법이 있지 아니함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룬 것이다”라고 하신 후에 다시 전생의 연등불 회상에서의 수기 받던 일을 꺼내심이다. 실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이 가히 얻을 것이 없다는 데 대해, 대중들은 지금 우리에게 깨쳐진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세존께서 연등불께 받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무엇이 다를 것인가? 수기는 같은 것 아닌가 의심이 따를 수밖에 없다. 수보리는 세존께서 의심처를 반문하심에 가만히 생각해 보니, 마음을 깨쳤다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과연 한 법도 없다는 것을 깨쳐야 함인데, 이 한 법도 없다는 생각까지도 없고, 깨침을 얻었다는 얻음도 없고, 깨침이라는 법도 모두 공하여 법소견(法所見)과 득소견(得所見)까지 모두 공해야 진정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된다는 것을 깨친 것이다. 그러므로 수보리는 “없습니다. 아니옵니다” 답하고 따라서 세존께서 연등불께 수기를 받아서 깨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결코 얻은 것이 아닙니다. 얻었다 잃었다는 분별에서 벗어났기 때문입니다라는 뜻으로 답을 할 수밖에 없음이다. 이러한 고로, 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법은 본래가 여여해 얻은 자가 없고 법이 있을 자도 없고 법이 없을 자도 없으며 얻음이 없을 자도 없음이다. 그러면 도대체 무엇인가? 본자청정(本自淸淨)한 그대로 그것일 뿐이다. 이것이 이것이고 저것이 그냥 저것일 따름이다.

정리하자면, 세상도 연기일 따름이고, 나도 연기일 따름이다. 시비고락 득실이 결국 없는 것이니, 그 어디에 감정을 실을 것인가. 이 생각 저 생각, 이런 행동 저런 행동, 모두가 그대로 그대로일 뿐이다. 좋고 싫은 분별 감정이 있으면 고락의 인과업(因果業)이 반복될 뿐이고, 이러한 분별 감정을 모두 멸하면 고락의 인과업이 사라져서 해탈 열반에 이를 뿐이다. 죽어도 살아도, 이렇든 저렇든 그냥 그대로 그것이다. 뭐든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불가능하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다. 하지만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정말이다. 물론 조건은 있다. 그렇다고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다만 한 생각만 바꾸면 된다. 한 생각이다. 대충 읽지 말고 꼼꼼히 읽어보면 알게 될 것이다.

마음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할 수 있다’는 마음 자체가 ‘할 수 없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므로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어느 하나만이 있을 수는 없는 것이다. 당연하게도 동서고금을 통하여 지금까지 단 한사람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이는 없었다. 다만, 부처와 석가모니 부처님만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는 마음과 ‘할 수 없다’는 마음 모두를 멸도했기 때문에 이를 이름하여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옳고 그름의 시비와 좋고 싫은 호오, 맞고 틀림의 가부, 즐겁고 괴로운 고락 등은 본래 존재하지 않는다. 또 결코 있어선 안 된다. 그래서 충돌이 생길 수밖에 없다. 각자가 좋은 것을 선택하려는 욕심에 의해 내가 만들어서 짓게 되는 인과(因果)의 업습(業習)이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마음 감정 가운데 좋은 것을 선택하려는 욕심으로 인하여 시비와 충돌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되니, 각자 스스로가 인과를 만듦으로 괴로운 고통이 생기게 된다. 스스로 짓고 스스로 받는 자작자수(自作自受)이다. 시비하면 할수록, 고락 가운데 즐거움을 선택하면 할수록, 상대적 크기의 고통이 생긴다. 그러니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을 지을 때, 즉 말을 할 때나, 생각을 할 때나, 행동을 할 때, 항상 연기와 인과를 생각하면서 분별심을 갖지 않아야 한다. 무조건 좋고 싫은 고락의 분별심을 놓아야 한다.

나무 하나하나를 보면 좋은 나무 안 좋은 나무 분별을 지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숲 전체를 보면 나무 하나하나에 분별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 그러니 마음을 크게 가져야 한다. 숲을 보는 마음으로 하나하나의 일에 시비고락의 분별을 갖지 않도록 마음을 다스려서 참고 인욕해야 한다. 그리하여 찌들은 업습을 바꿔서 공한 마음으로 대체해야 한다. 즐겁고 기쁘고 행복한 일에 너무 마음을 쓰지 않아야 한다. 곧 그만큼의 괴롭고 슬프고 불행한 일이 과보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괴롭고 슬프고 불행한 일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한번 한 행동은 업장에 남아 있다가 또다시 습이 되어 고통의 과보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니 뭐니 뭐니 해도 마음이 평화로워야 한다. 평화롭다는 것은 좋고 싫은 실상을 분별하지 않는 마음이다. 그래서 탐진치 삼독심을 멈추어야 한다. 삼독심을 일으켰다면 그 즉시 참회해야 한다. 그리고 늘 참회 기도와 참선, 보시, 정진으로 업을 멸하고 마음을 다스려 나가야 할 것이다.

불언 여시여시 수보리 실무유법 여래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佛言 如是如是 須菩提 實無有法 如來 得阿縟多羅三貘三菩提)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야! 참으로 어떤 법이 있어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니니라.

부처님께서 수보리의 말을 들으시고 인가하며 말씀하셨다. “그러하고 그러하구나, 너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얻은 것도 그러함이었고, 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도 그러그러함이다”고 하신다. 즉 “너의 청정자성(淸淨自性)도 그러함이었고, 나의 청정자성도 또한 그러함이다”고 하신다. 또 여래가 연등불 처소에서 수기를 받은 것 역시 본래 있지도 없지도 않은 ‘그러함’이었고, 실로 법이 있지 않음으로 ‘그러함’이었더니라. “그러하고 이러한 고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되었고, 또 그러한 법이 있지 아니하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음이 되느니라. 무슨 까닭이냐? 비록 한 법이라도 얻음과 얻는다는 마음이 있었더라면 이는 벌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이 아닌 것이 되고, 얻음이 곧 얻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고 하심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는 것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실상의 법이 둘이 아니라는 것을 여실히 아는 것이며, 실무유법(實無有法) 즉 실로 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때, ‘그러그러’하게 얻음과 실상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깨달음을 얻어야지” 하고 생각하며 수행 정진을 시작하더라도 어느 순간 깨달음을 얻는다는 마음마저 완전히 사라져서 무분별의 경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음을 깨달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면, 다음에는 가타부타 분별하는 마음과 일체의 근심 걱정 고통과 괴로움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므로, 사량분별(思量分別)과 일체 고락 감정이 사라지고, 다만 ‘그러그러하다’ ‘여시여시(如是如是)하다’는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만 남을 뿐이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정신을 잃을 때가 있다. 물리적으로 몸과 두뇌에 문제가 생겼을 때도 그러하지만, 건망증이나 치매로 인한 경우도 많이 있다. 그리고 너무도 즐겁거나, 또는 머리끝까지 화가 나서 이성을 잃거나, 고통이 극에 달했을 때도 정신을 잃게 된다고 한다.

또한 더 넓게 펼쳐보면, 몸과 마음이 때를 만나게 될 때, 즉 사춘기나 갱년기 등 각자의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온전한 정신을 유지하기가 힘들 때도 있다. 이 모든 정신적인 현상은, 당연히 고락 감정의 인과 업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다. 크게 보면 현재도 정상적인 정신 상태를 가졌다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희로애락의 감정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 감정은 또 다른 감정을 일으키게 하여 좋은 감정은 나쁜 감정에 의지하여 생겨나고, 나쁜 감정은 좋은 감정에 의지하여 생겨나서 끝도 한도 없이 고락 감정의 인과가 윤회하게 된다. 그러니 정상적인 정신으로 살아간다고 할 수 없다. 아무리 이러쿵저러쿵해 본들, 고락 감정의 업 속에서 놀아나는 것이다. 마음 밖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은 내 마음의 그림자일 따름이다. 좋은 일이 보이는가? 싫고 나쁜 일이 생겨날 것이다. 즐거운 일이 생겼는가? 괴로운 일이 생길 것이다. 웃을 일이 있는가? 우는 일이 있을 것이다. 이렇듯 고락 인과업의 틀 속에서 꼼짝할 수가 없다.

잘난 이는 잘난 대로 고락의 업이 있고, 못난이는 못난 이대로 고락의 업이 있다. 삼세를 놓고 보면 누구나 고락업(苦樂業)의 상대적 차이는 없다. 다만 경중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고업(苦業)이 큰 사람은 낙업(樂業)도 크고 낙업(樂業-즐거움)이 작은 사람은 고업(苦業-괴로움)도 작다. 부처님은 고업도 낙업도 없다. 눈으로 보이는 모습과 모양은 그냥 껍데기일 뿐이다. 문제는 마음으로 느끼는 좋고 싫은 고락업의 크기이다. 많고 권력 있는 사람일지라도, 고락업이 큰 사람은 고통도 크고, 거지같이 사는 사람도 고락업이 작으면 괴로움도 작다. 고락의 업이 있는 한은 누구나 정신없이 살고 있는 것이다. 무엇이 어떻고, 저쩌고 하는 것은 단 1의 의미도 없다. 모든 현상은 자신의 업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니, 고락의 업을 멸하지 않는 한, 별별 가지의 고업은 계속 생겨날 것이다.

일이 잘 풀려도 고락업의 그림자요, 일이 잘 풀리지 않아도 고락업의 그림자다. 좋은 사람, 좋은 일을 만나는 것도 고락업의 인연이요, 싫고 나쁜 사람, 싫고 나쁜 일을 만나는 것도 고락업의 인연이다. 만약 자신에게 고락업이 없다면 걸림이 없는 인연이요, 아무 일 없는 인연이 될 것이다. 따라서 문제는 스스로의 업과 한판 대결이다. 마음 밖 외부의 문제는 자신의 업이 비친 그림자이므로, 아무리 외부의 그림자를 어떻게 해본들 칼로 물배기요, 달밤의 춤이다. 그러니 자신의 고락업에 묶여 정신없이 산다는 것은 참으로 비극이다.

이제부터는 자신의 고락업을 멸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우선 탐진치(貪嗔痴-욕심, 성냄, 분별) 삼독심(三毒心)을 무조건 없애야 하고, 신구의(身口意-행동, 말, 생각) 삼업(三業)을 분별하지 말아야 하며, 참회 기도와 참선, 보시와 정진에 온 힘을 다해야 할 것이다. 다른데 눈 돌릴 겨를이 없다. 분별할 이유도 없다. 각자의 업은 스스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해결해야 한다.

진우 스님 조계종 총무원장 sansng@hanmail.net

[1704호 / 2023년 11월 15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