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국보된다

  • 성보
  • 입력 2024.02.27 20:33
  • 수정 2024.02.28 08:01
  • 호수 1719
  • 댓글 1

문화재청, 2월 27일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
“자연스러운 시공간 전환 표현…가치 뛰어나”
승려 作 ‘남원 대복사 동종’ 보물 지정 예고도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후불탱 [문화재청].

석가모니 일생을 담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팔상도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가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2월 27일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를 국보로 지정 예고했다.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2003년 보물로 지정됐으며, 20여 년만에 국보로 승격 예고됐다.

현재 송광사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다.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돼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 초기에는 ‘월인석보(月印釋譜)’의 변상도를 차용한 팔상도가 제작되다 후기에 접어들면서 ‘석씨원류응화사적’에서 제시된 도상으로 새로운 형식의 팔상도가 유행했는데 조선 후기 팔상도를 대표하는 작품이 바로 순천 송광사 팔상도다.

팔상도. 왼쪽부터 제1 도솔래의상, 제2 비람강생상, 제3 사문유관상, 제4 유성출가상 [문화재청].
팔상도. 왼쪽부터 제1 도솔래의상, 제2 비람강생상, 제3 사문유관상, 제4 유성출가상 [문화재청].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화기를 통해 1725년(영조 1년)이라는 제작 연대 및 의겸(義謙) 등 제작 화승이 확인 가능하다. 한 전각에 일괄로 일시에 조성해 봉안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며, 영산회상도까지 ‘석씨원류응화사적’의 도상을 활용해 하나의 개념 속에 제작된 일괄 불화로서 완전함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팔상도. 왼쪽부터 제5 설산수도상,  제6 수하항마상,  제7 녹원전법상, 제8 쌍림열반상 [문화재청].
팔상도. 왼쪽부터 제5 설산수도상,  제6 수하항마상,  제7 녹원전법상, 제8 쌍림열반상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조선후기 영산회상도의 다양성과 팔상도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수화승 의겸의 지휘하에 영산회상도를 중심으로 팔상도 각 폭이 통일된 필선과 색채를 유지하며 수많은 화제로 구성된 팔상의 인물을 섬세한 필치로 묘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각 및 소나무 등을 이용해 공간성만이 아니라 사건에 따른 시공간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등 구성과 표현에 있어 예술적 가치도 뛰어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남원 대복사 동종’도 국가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남원 대복사 동종[문화재청].

‘남원 대복사 동종’은 몸체에 새겨진 주종기를 통해 승려장인 정우(淨祐)가 신원(信元) 등 7명과 함께 1635년(조선 인조 13) 제작하였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처음 영원사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되었다가 영원사가 폐사되면서 이후 현재의 봉안 사찰인 남원 대복사로 이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동종의 제작을 주도한 정우 스님과 신원 스님은 17세기 전반에 재건 불사가 진행되는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친 주종장(鑄鍾匠)이다. 이들의 초기 작품인 남원 대복사 동종은 종의 어깨 부분을 장식하는 입상연판문대(立狀蓮瓣文帶),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보살입상 등 고려시대 동종 양식을 계승하는 한편 종뉴는 쌍룡의 외래 양식을 절충했다. 동시에 입상연판문대에 마치 연화하생(蓮花下生) 장면처럼 연출한 인물 표현, 불법의 전파와 국가의 융성을 기원하는 원패를 도입한 점 등은 조선 후기라는 시대성과 작자의 개성을 담아낸 부분이라 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크다.

문화재청은 “정우와 신원의 작품 양식과 활동 과정을 살필 수 있다”며 “더불어 주종기를 통해 제작 연대, 봉안 지역과 봉안 사찰, 시주자 및 시주 물품, 제작 장인 등 중요하고 다양한 내력이 분명하게 확인되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이번 국보로 지정 예고되는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와 보물로 지정 예고되는 ‘남원 대복사 동종’ 등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각 국가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지윤 기자 yur1@beopbo.com

[1719호 / 2024년 3월 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