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을 공양올리라

기자명 법보신문
마음은 붙잡지도 뿌리치지도 못해
공양 올리는 마음은 늘 떳떳하다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남들이 보기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듯 보일만큼 별 일 없이 지내곤 한다. 그냥 가만히 앉거나 숲길을 걷거나 하면서 마음의 변화를 가만히 살펴보곤 하는 것. 그러다 보면 이놈의 마음이란 것이 참 허망한 것이라는 것을 금새 알아챌 수 있다. 하루에도 몇 번씩 마음을 가지고 기뻐하기도 하고 슬퍼하기도 하면서 온갖 상황의 변화에 따라 울고 웃고 하는 것이 보인다.

그런 원숭이 처럼이나 변덕스런 마음을 붙잡고 세상을 살다보니 세상 사는 일이 만만치 않음은 어쩌면 당연한 일. 세상 모든 사람들이 이렇듯 마음을 붙잡고 세상을 산다. 마음에서 일어나는 온갖 변화들, 이를테면 답답함, 서글픔, 외로움, 괴로움, 화남 등 이러한 모든 감정적인 변화들이 고정된 ‘내 마음’인 줄 알고 그 마음에 울고 웃으며 휘둘리고들 살고 있다.

그런데 가만히 마음을 살펴보면 그게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하는 점이 금새 드러난다. 하루에도 수십번 수백번씩 주변 상황 따라 이리갔다 저리갔다 하고, 좋았다가도 금새 싫어지고, 괴로웠다가도 금새 즐거워지는 그 마음이란 것이 얼마나 공허한 것인가. 이런 마음이란 놈에게 휘둘리며 살았다가는 큰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그렇다고 세상 사는 일에 마음을 쓰지 않고 살기란 또 어려운 일이니, 이 마음이란 녀석은 붙잡지도 그렇다고 뿌리치지도 못할 일이다. 그러면 이 마음을 어떻게 하면 잘 다스릴 수 있겠는가.

화엄경 보현행원품에 보면 보현보살의 열 가지 행원 중 세 번째로 ‘광수공양(廣修供養)’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경계에 울고 웃고 휘둘리는 마음을 자꾸만 ‘내 마음’이라고 여겨 ‘내 것’으로 붙잡아서는 안 된다. 그렇게 경계따라 휘둘리는 마음이 어찌 내 마음일 수 있겠는가. ‘내 것’이 아니라고 뿌리칠 수도 없으니 가장 밝은 답은 그 마음을 공양 올리는 일이다.

공양을 올리고 나서는 완전히 내맡겨야 한다. 공양을 드렸으면 그것이 부처님 것이지 어찌 내 것일 수 있겠는가. 내 것도 아닌데 자꾸만 이렇다 저렇다 시비걸 것도 없고, 문제삼을 일도 아닌 것이다. 다만 완전히 부처님께 공양올리고 내맡기고 가면 된다.

마음 공양! 그 하나면 안팎의 모든 경계가 적적해 질 수 있다. 공양 중 최고의 공양이 마음공양이다. 부처님께 마음 공양을 올리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고의 수행이다.

내게는 탁한 마음이고 이기적인 마음이라도 부처님 그 밝은 자리에 가면 모두가 부처님 마음으로 바뀐다. 부처님은 아무런 분별도 시비도 없기 때문에 좋고 나쁜 것이 없다. 그러니 부처님 전에 공양올리기만 하면 좋고 나쁨도 다 녹아내린다. 마치 온갖 혼탁한 고철들이 거대한 용광로에 가면 하나로 녹아내리듯.

그렇기에 공양올리는 마음은 떳떳하고 당당하며 자유롭다. 마음을 가지고 시비하지 말라. 다만 그 마음을 공양올리고 다 드리라.

법상 스님 buda1109@korea.com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