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4 불교와 채식주의

기자명 법보신문

채식은 세상 탐욕-고통 없앨 부처님 가르침

<사진설명>우리의 육식은 더 많은 생명을 죽이는 지름길이다. 육식을 통해 죽음의 순간 생명들이 가진 원한과 공포에 따른 ‘업’이 우리에게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승가에서는 육식을 금하고 있다.

석가모니가 어느덧 여든 살이 되던 무렵 그의 사촌 동생이자 언제나 그를 따르던 제자였던 데바닷타(提婆達多/Devadatta)가 석가모니에게 채식 식사의 도입과 같은 승가(僧伽)의 몇몇 규칙들을 수정하실 의향이 있냐고 여쭈어보았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부처님께서 규칙들을 수정하실 생각이 없다고 말씀하시고 그 당시 지켜지고 있던 규칙들을 그대로 계속 사용하셨다고 전해진다. 즉 스님들은 공양으로 얻은 고기를 먹을 수는 있지만 그 고기는 그들을 위해 도살된 고기여서는 안되며 스님들이 동물들의 도살 장면을 목격해서도 안되었다.

이러한 규정만 제대로 지켜진다면 사람들이 가져온 고기를 스님들이 거절하는 것은 금기시 됐었다. 데바닷타와 나누었던 이러한 대화는 오늘 날 불자들이 반드시 채식주의자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증명할 때 종종 인용되는 자료로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내 생각에 만약 우리가 불교 경전 속에 적혀진 다른 이야기들뿐만 아니라 데바닷타의 이야기를 제대로 연구해본다면, 또 선입관을 버리고 보다 넓은 마음으로 이 주제를 곰곰이 생각해본다면 아마도 모든 불자들이 채식주의를 지켜야만 한다는 결론을 얻게 될 것이라 믿는다.

‘불살생’의 중요성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채식주의를 주제로 나누었던 데바닷타의 대화가 힌두교의 브라만 계층의 사람들의 의해 조작된 것이며 충분한 증거가 없는 이야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의 설명에 따르면 사회 조직 내에서 최고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힌두교의 브라만 계층은 부처님의 가르침들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그 지위를 잃어가기 시작했다.
 
이 위선자들이 자신들을 최고로 순수한 혈통이라고 주장하는 배경은 그들이 지켜가던 채식주의가 신들에게 제물로 바치기 위하여 동물들을 죽이는 것과 상관없이 계속 이어나가길 바랬기 때문이다.

한 가지 사실은 분명하다. 부처님 본인께서는 “아힘사(ahimsa) 혹은 불살생(不殺生)”, 즉 생각을 통해서건 말을 통해서건 아니면 직접 행동으로건 다른 생물들에게 해를 가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누누이 강조하셨다. 부처님께서는 사람들이 속세의 죄를 씻고자 동물들을 죽여 신에게 제물로 바치는 의식에 관해 공공연하게 비판 하시곤 하셨다.

부처님께서 주신 고귀한 가르침들을 살펴보면 우리는 탐욕과 혐오, 현혹이나 기만과 같은 덕목들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최상의 단계에 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서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불심이 깊은 불자가 고기를 섭취한다면 그것이야말로 탐욕에 굴복하고 마는 것이 아닐까?

만약 당신이 고기를 먹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만약 당신이 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고기나 생선이 단지 당신을 위해 도살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당신 자신을 기만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정육점 주인이나 어부들에 의해 공급되는 고기나 생선들은 단지 당신이 주주로 속해 있는 “고기 섭취자 주식회사(Meat Eaters Co.)”에 의해 주문되어졌기 때문에 시장에 놓여있는 것이다.

고기나 생선을 섭취하는 것은 또한 나쁜 카르마를 부르는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 고기나 생선을 섭취하는 사람은 음식을 먹으며 동물들이 도살당할 때 느껴야만 했던 극심한 공포와 엄청난 고통을 모두 몸 속으로 같이 섭취하기 때문이다. 우리 자신들 또한 동물들의 세상 속에서 태어난 동물이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종종 부처님께서 각각 다른 상황마다 간접적인 방법을 통하여 한 가지 결론으로 이끌고 계심을 발견할 수 있다. 그 한 가지 예로써 아이가 죽어 슬퍼하고 있던 키사 고타미(Kisa Gothami)에게 부처님께서 내리신 한 가지 약속을 들 수 있다.

부처님께서는 키사 고타미에게 만약 그가 7세대가 내려오도록 살생을 저지르지 않은 가정으로부터 한 줌의 겨자씨를 가져온다면 그의 죽은 아이를 다시 회생시키겠다고 약속하셨다. 경전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처럼 부처님의 대화들을 조합해보면서 우리는 이 대화가 주어진 상황을 살펴보아야 한다. 오래 전 쓰여진 중국 불교 경전에 따르면 “부처님의 자녀들은 어떤 생물의 살도 섭취해서는 안 된다. 만약 그가 고기나 생선을 섭취한다면 그는 그 자신 마음속에 있던 부처님과의 모든 인연을 끊어야만 할 것이다” 라고 쓰여져 있다.

육류 소비는 생명 죽이는 길

<사진설명>채식을 함으로써 많은 생명들이 깨달음의 단계에 이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채식주의는 당연한 자연의 섭리이자 생물의 목숨을 끊는 것에 반대하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규칙이다. 동물을 죽이거나 섭취하는 것은 이 행위가 이루어지는 즉시 많은 규칙들을 파괴해버리고 만다. 고기나 생선을 섭취한 자는 다른 생물에게 해를 가한 것이며 그들이 깨달음의 단계에 도달할 기회를 앗아버리고 만 것이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들은 계속 살아가길 열망한다. 모든 동물들은 그들이 음식으로 사용되기 위해 죽음에 직면한 위험에 처했을 때 필사적으로 도망가고자 한다.

“자신들이 살던 곳인 물 속에서 꺼내져서 마른 땅 위로 던져진 물고기는 드센 죽음의 공포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애를 쓴다”.

어떤 이가 동물을 죽인다면 우리는 살아있는 생물에게서 목숨을 빼앗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자로써 동물을 죽이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그가 선택할 수 있는 최악의 직업을 선택한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로써 동물을 사고 소비하는 것 또한 동물을 죽이는 과정에 동참하는 일이 되고 말 것이다.

고기 소비라는 요구에 부응하는것이 동물을 죽이는 일과 다를 바없다. 이런 일을 하는 것은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의 고통에 영원한 막을 내리기 위해 노력하라는 불교의 가장 고귀한 이상의 실현에 정반대되는 일임에 분명하다.

그들도 깨달음 기회 가져야

그러므로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에 연민의 정을 보이라는 불살생(不殺生) 정신과 불교의 채식주의는 고통과 무지를 없애는데 있어서 필수 요소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또한 채식주의는 우리 자신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들이 진정한 깨달음의 단계에 오르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규칙이어야만 할 것이다.

잠깐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비록 내가 태어난 프랑스가 다양한 고기 요리로 유명한 나라이지만 나는 지난 35년간 철저한 채식주의자 (고기, 생선은 물론이고 계란, 오신채(五辛菜)도 먹지 않는다)로 살아왔다. 이 글을 쓰며 나는 부처님의 고귀하신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고자 하는 우리 불자들이 채식주의자가 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소망해본다.
 
국제칼럼니스트

Should Buddhists be Vegetarians

When Skakyamuni was already eighty years old, his cousin and disciple Devadatta asked him if he could reform some monastic rules of the Sangha,including the adoption of a vegetarian diet. It is said that the Buddha refused and reiterated the existing rules: monks may eat meat when it is offered, as long as the animal was not killed specifically for them and as long as they did not witness the killing of the animal. With these stipulations, the monks and nuns could not refuse meat if it was offered. The conversation with Devadatta is often cited as a justification for the belief that today’s Buddhists do not have to be vegetarians. But I really think that if you study more deeply the Devadatta story as well as other stories in the scriptures, if you look into the matter with an unbiased and open eye, you will conclude that all Buddhist laymen should be vegetarians.
Some people however believethat this conversation with Devadatta about vegetarianism was an invention and a wild allegation made by the Hindu Brahmins whose high social esteem was dwindling after the advent of Buddha’s teachings. Those hypocrites who declared themselves ultra pure because of their vegetarian diet did not mind killing animals in the form of sacrifices to propitiate the gods.
One thing is absolutely certain: Buddha advocated "ahimsa", not to harm any being by thought, by word or by action. He openly criticized the practice of sacrificial rituals for one’s liberation. The Noble Teachings are an upward path culminating in the complete extinction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So when a serious Buddhist practitioner eats meat, is it not prompted by greed? If you are a meat eater and if you think that animals and fish for sale in the market are not animalswhich have been killed for you, then you are only fooling yourself. They are indeed supplied by the butcher and the fisherman in response to the general order placed with them by "The Meat Eaters Co" of which you have become a shareholder.
Meat eating has a magnetic potential to attract bad karma. By eating meat or fish, one absorbs the terrible suffering experienced by the animal at the time if its slaughter. Do we forget that we were one born into the animal world?
We often find that Buddha employed indirect methods to drive to a poin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ne such instance is the promise he made to Kisa Gothami whose child had just died. The Buddha said that he would bring back the child to life if Kisa Gothami brought a handful of mustard seeds from a house where no one had died within the past seven generations. In integrating the discourses given by the Buddha, as found in the scriptures, one has to consider the context in which the discourse was given. An old Chinese Buddhist text says: "A son of Buddha shall not eat the flesh of any being. If he does, he will cut himself off from compassion and remove the seed of Buddhahood within himself ".
Vegetarianismis a natural and logical part of the moral precept against the taking of life. Killing or eating animals breaks several rules at one time. The person who eats meat or fish harms other beings and restricts theirchance to gain enlightenment. He also hurts himself since all beings are part of one whole. All beings desire to live. All animals try to escape when being killed for food.
"Like a fish which is thrown on dry land and taken away from its home in the waters, the mind strives and struggles to get free from the power of death."
When one kills an animal,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by requesting meat or fish, one takes the life of a living being. So to the Buddhist, a butcher is the worst trade. However, as a consumer purposefully buying or consuming animals one is a part of the killing process. By creating demand, it is the same as killing those beings yourself. Doing so goes against the highest and most universal ideal of Buddhism: to work unceasingly for a permanent end to the suffering of all living beings, not just humans. And so, ahimsa, the compassionate attitude toward all living beings, and the resulting Buddhist vegetariandiet, are essential to the ending of all suffering and ignorance. It is a mandatory practice in the quest for true enlightenment for us and all living beings.
I have been myself a strict vegetarian (I also do not eat egg, garlic, onion, or leek) for the past 35 years, although I was born in France, a country which is famous for its meat dishes. I wrote this article with this intention of inspiring those who endeavor to live in accordance with the Noble Teachings to also become vegetarians.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