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신은 부모가 불자라서 불자가 되었나요?

기자명 법보신문

[미국불교는 지금] 영성(靈性)과 종교성

 
수미런던 법사와 싱가포르 불교대학의 학생들, 한 여학생에게 “왜 불자가 되었나요”라고 묻자, “부모님들과 친구들이 불자라서”라고 부끄러운 듯이 답했다.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은 경우

 

종교와 성직에 관한 하버드대학 석사 과정의 입학사정관으로서 나는 갓 성년이 된 지원자들의 신앙 편력에 대한 에세이를 해마다 200편 이상 읽곤 한다. 각 글마다 특유의 맛이 있어 다르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공통된 점이 있다.

 

“나는 영적이기는 하지만 종교적이지는 못한 것 같다.”
글을 읽으면서 본 문구인데 주목을 끄는 대목이다. 젊은 친구들의 이 문구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했었다. ‘종교적’이라는 것은 무얼까. 불자들에게는 조상의 극락왕생을 서원하고 부처님오신날과 같이 불교의 아주 특별한 날에 사찰을 참배하고 오계(五戒)를 준수하고 스님의 법문을 경청하고 경전을 공부하고 성지와 사찰을 순례하고 독송과 명상, 절과 같은 규칙적인 수행에 진력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한편으로 ‘영적’(靈的)이라는 의미는 종교적인 사람이 행하는 의식을 따르지 않으며 특히 사찰에서의 의식이나 전통을 거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영적인 젊은이들은 사찰의 전통이나 종교의식, 관습을 대신해 스스로가 성스러운 것, 삶의 흐름을 직관하고 내적으로 ‘인식’하는데 더 집중한다. ‘영적이기만 한 사람’은 그들의 집에서 사용할 예술품, 조각상, 향을 구입하거나 요가나 명상 수행을 하거나 독서를 통해 여러 종교의 지혜와 관습, 전통을 받아들이려 한다. 가끔 ‘영적이기만 한 사람’은 초자연적인 힘을 믿기도 하지만 이런 경우 이를 매우 광의적으로 해석한다. 긍정적으로 말하자면 ‘영적이기만 한 사람’은 탐구적이고 개방된 태도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영성(靈性, spirituality)이 중요하기는 하나 종교적이지 않고 오로지 영적이기만 한 것이 실제로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현대의 편리하고 이기적인 문화와 도구들에 의해 전통의 굴레에서 벗어나도록 강요당하고 있는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이러한 질문은 특히 절실해 보인다. 한국 불교가 선대에 영향을 주었던 그 방식이 나에게 무엇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인가를 생각하기 보다는 사찰 환경에서 벗어나 수행법을 배우지 않고 불교식 윤리 의식에 구속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문화적 압력이 더 강하다.

 

종교적 행위를 하지 않고서는 진실하고 깊이 있고 지속적인 영성을 유지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여러 이유 중에서 공동체와 관련된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 ‘영적이기만 한 사람’들은 대개 자기 삶의 준거가 될 수 있는 공동체를 갖지 못한다. 이는 그들의 탐구적인 경향이 모든 종교들의 전통에 대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찰이나 교회, 수행센터 등을 전전하거나 그들의 영성을 내적인 것으로만 제한하기 때문이다.

 

“사찰에선 자비롭다가 평소엔 벌컥벌컥 화내
맑은 영성 유지하려면 타인과 관계 자각해야“

 

수행 공동체가 없다면 우리의 의사 결정이 현명하고 적절했는가를, 혹은 우리가 인간으로서 진실로 성숙되어 가고 있는가를 점검하거나, 어려움에 부딪쳤을 때 용기를 북돋아 줄 사람이 없게 된다. 수행을 위한 공동체 생활은 바로 깨달음의 길에 이르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도 공동체를 삼보 중의 하나로 받들어 귀의의 대상으로 정한 것이라 생각한다. 공동체에 참여하기 위해 우리는 함께 생활할 수 있는 공간(사찰)과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예불)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윤리와 가르침)를 수용해야 한다. 공동체 수행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영적인 삶을 살겠다는 것은 마치 허공에서 식물을 기르겠다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씨앗이 성장할 수 있는 땅이 없다면 어떻게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울 수 있겠는가?

 

공동체는 영적인 삶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기반이다. 종교적 수행과 전통의 계승을 통해 영성은 참의미를 지니게 된다. 자신의 수행을 점검하고 기준을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는 않은 사람’의 두 번째 문제점이다. 일부 사람들은 나태해질 수 있는 수준을 넘어 자신에게 적합한 수행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겠지만 대부분은 스스로를 다그치지 않아도 되는 수준에서 자족하게 된다. 종교는 한편으로는 그 추종자들로 하여금 열심히 수행해서 예수와 보살, 마호메트처럼 되라고 요구한다.

“남을 해하지 말라, 훔치지 말라, 부드럽게 말하라, 취하지 말라, 사음하지 말라.”

종교는 이렇게 가르친다. 우리는 이러한 기대치에 대해 항상 편안하게 느끼는 것만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기준에 부합되도록 노력함으로써 우리의 삶이 더 향상될 것이라 믿는다. ‘영적이기만 한 사람’은 그들 스스로의 습관, 사소함, 옹졸함 등에서 벗어나 더 성장하지는 못하지만 그 이유는 아무도 그들을 그 이상으로 채근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동체에서 함께 생활하는 친구들은 때로는 스승이 되고, 때로는 서로의 잘못을 탁마(琢磨)하는 도반이 되고, 때로는 제자가 되기도 한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종교적이지만 영적이지 않는 경우

 

싱가포르에서 불교대학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왜 불자가 되었나요?”

 

한 여학생에게 묻자, 한 참 후 “부모님과 친구들이 불자라서”라고 부끄러운 듯이 대답했다. “불자로서 무얼 하나요?”라고 다시 묻자, “일요일에 사원에 가서 공양을 올리고 독송하고 절을 올립니다. 그런 뒤에 친구들과 점심 식사를 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불자가 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라고 또 물었다. “그저, 좋은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라고 강변하듯이 말했다. 우리는 이런 식으로 15분가량 이야기를 이어갔다.

 

몸으로는 불자가 해야 할 일을 그대로 따라했던 그녀는 대화를 나누면서 불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어떻게 자신의 삶에 의미를 주게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없다는 점에 대해 좀 더 자각하게 되었고 그래서 몹시 당황해 했다. 그녀와 대화를 하다 보니 종교적 가르침이 깊거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어서가 아니라 단지 그런 환경에서 성장해왔기 때문에 가톨릭 신자가 된 미국의 몇몇 지인(知人)들이 떠올랐다.

 

앞서 현대 문화가 사람들을 종교적 전통에서 이탈시켜나가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었다.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는 않다’라는 말에 대해 나는 종교적이지 않고 공동체와 전통에서 분리되어서는 깊고 높은 영적 수준에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헌신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영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또한 문제가 된다. 즉 모든 종교의 축일(祝日)을 잘 준수할지라도 삶의 경이로움이나 종교적 가르침이 자신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종교적 가르침의 의미와 미래의 모습이 어떠할지에 대해 명확하게 자각할 수는 없다. 사찰에 있을 때만 불자인 경우 불교가 무엇인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검증하고 질문하고 의문을 갖고 집중하지 않는다.

 

“수행위한 공동체 생활은 영적인 삶의 든든한 기반
나 홀로 수행하다 보면 육체적 나태함 경계 못해“

 

이런 문제점은 나 스스로도 안고 있었던 적이 있다. 내가 불자로서 성장했기 때문에 불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어떻게 여러 상황과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확신했었다. 나는 단지 불자와의 교제, 불자 부모를 가졌기 때문에 불자가 되었던 것이다. 대학에 들어가자 주변 사람들은 나에게 업과 윤회, 사성제, 명상 수행, 불교 철학의 관계 등에 대해 많은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답을 찾기 위해 고민에 고민을 더했으나 나는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음을 자각할 수밖에 없었다. 나는 일요일 아침에만 불자였고 그 외의 시간에는 다른 존재였던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우리 주위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다.

 

태국에서 이민 온 부모님에 의해 캘리포니아에서 성장한 아시아계 미국인인 한 젊은 여성이 쓴 수필을 근래에 읽었다. 그녀는 부모님이 일요일마다 사원에 가서 공덕을 짓지만 절에서 돌아오면 평소처럼 화를 내고 고뇌에 차있는 것을 보면 가슴이 무너져 내린다고 고백했다. 절 안에서는 자비롭고 온화한 불자였지만 절 밖에서의 일상에선 전혀 불자답지 못한 부모님을 바라보면서 그녀는 몹시도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그녀가 보기에는 불교의 가르침이 부모님의 일상생활에는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 의미를 정확히 모른다 할지라도 사원에서 사람을 만나고 공덕을 짓고 독송하고 예불을 하는 것은 물론 중요한 종교 행위이다. 분명 정성스럽고 갸륵한 영성을 자극할 수 있는 신앙적인 행동이기 때문이다. 영적인 부분을 종교적 행위에 지속적으로 끌어들이는데 좀 더 관심을 갖고 정진한다면 불교적인 삶은 훨씬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

 

경외감을 갖고 자신과 타인의 관계에 대해 깊이 자각하고 신비한 일들이 일상에서 존재하고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 종교적인 가르침을 몸과 말과 마음으로 실천하고 우리를 위한 것들에 대해 진실로 생각하게 하는 책을 읽는다. 우리는 공허한 영성이나 맹목적인 신앙에서 벗어나야 한다.

 

듀크 불교공동체 지도법사  simplysumi@gmail.com
번역자 백영일 yipaik@wooribank.com


다음은 영문원고 전문.

 

Spirituality versus Religiousness

 

A two-part essay on the merits and faults of both

 

Part I: Spiritual, but not religious.

As an admissions officer for masters programs in religion and ministry at Harvard, every year I read more than two hundred essays by young adults about their faith journeys. While each story is unique, I found that there are some experiences common to the journeys. One of the most invoked phrases is, “I consider myself spiritual but I am not religious.”

 

I have tried to understand what young people mean by this. ‘Religious’ seems to imply, for Buddhists, that one does rituals (worshipping ancestors), goes to a building (the temple) on certain holidays (Buddha’s birthday), observes the rules of the religion (the five precepts), listens to teachers (sunims), studies, makes pilgrimages to special sites and temples, and has a regular practice of something like chanting, meditating or bowing. “Spiritual,” therefore, seems to imply that one resists doing the things that a religious person does, especially, that one avoids the temple and anything that looks traditional. In place of the temple, rituals, and traditional practices, spiritual young people characterize themselves as having an interior sense of something divine and of connection to the flow of life. Spiritual-only people tend to draw from the wisdom and habits of many religions, buying artwork, statues, incense for their apartment and practicing yoga and meditation, reading books. Sometimes spiritual-only people believe in a higher power but define Him/Her/That very broadly. To put a positive spin on it, spiritual-only people are explorers and are open-minded.

 

Though I think that a sense of spirituality is important, I would like to argue, and ask you to think about, whether it really is possible to be spiritual without being religious. This question is especially relevant for young Koreans because modern culture pushes you to shed traditions. There is more pressure on you to leave the temple environment, to not learn practices, to not consider Buddhist ethics, than there are pressures for you to consider what Korean Buddhism has to offer you in the same way it offers something to your parents and grandparents.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why I do not think it is possible to have a true, deep, abiding spirituality without doing some religious-type things, but the biggest argument I would make has to do with community. Spiritual-only people usually have no community in which to ground themselves because, as explorers open to all traditions, they move around among temples, churches and health centers, or they define their spirituality as something interior.

 

Yet, I suggest that without community we have nobody to help us reflect on whether our decisions are wise and skillful, to help us reflect on whether we are really maturing as human beings, and to support us when we are having difficulties. This is why, I believe, the Buddha placed community as one of the three jewels of Buddhism, because it is so very important to the path to awakening. In order to participate in community, we have to join a shared space (a temple) and a shared set of activities (worship) and shared values (ethics and teachings). To be spiritual without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is like trying to grow a plant in the air: how can roots go deep and a flower blossom if the seed has no soil in which to grow? In my view, community is the earth that we ground ourselves in: the practice of religion and participation in tradition gives rise to an authentic sense of spirituality.

 

The second problem that arises from a spiritual-but-not-religious approach is that one’s standards become self-defined. Although some of us have the strength to set our standards beyond our comfort zone, most of us tend to accept where we are without pushing ourselves. Religions, on the other hand, demand that its members work hard to become like Christ, to become a bodhisattva, to become like Mohammad. It says, “You are expected to not harm others, to not steal, to speak kindly, to refrain from intoxicants, to use your sexuality carefully.” We are not always happy about these expectations, and yet we know that our lives are the better for trying to meet them. A spiritual-only person, however, will not grow beyond their own habits, pettinesses, small-minded ways, and so on because nothing, no one, expects them to.

 

What do you think?
 
Part II. Religious, but not spiritual.

One time, I found myself in Singapore chatting with young Buddhist college students. I asked one of the girls, “Why are you a Buddhist?” After a long pause, she smiled bashfully and said, “Because my parents and friends are.” I inquired, “What do you do as a Buddhist?” She replied, “On Sundays, I go to the temple, make offerings, chant, bow, and then have lunch with my friends.” I pressed her further, “So what does it mean to be a Buddhist?” “Just…be a good person!” she said. We went on like this for fifteen minutes, where she became more aware, and a little embarrassed, that she was a Buddhist who went through the motions but did not have a strong sense of what Buddhism actually meant, how it related to her behavior, or how it gave purpose to her life. She reminded me of some of the young Americans I have known who are Catholic, not because the Catholic teachings are profound and transformative, but because that’s simply what they were raised with.

 

Previously, I wrote about how modern culture pushes people to disassociate themselves from religious traditions. As a result, people find themselves saying, “I am spiritual but not religious.” I argu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attain depth of spirituality without being religious, without committing to community and tradition.

 

Equally problematic are those people who are devoutly religious but who have lost a sense of spirituality. Such people follow all the holidays but have no feeling for the mystery of life, for how religious teachings actually apply to their actions, or for what kind of meaning and vision the teachings indicate. In short, there is no sustained examination, no questioning and doubting, no attentiveness to what Buddhism is all about.

I must admit that I have had this problem myself. Since I was raised Buddhist, I just assumed I knew what it meant and how it all fit together. I was Buddhist simply by virtue of association, by having Buddhist parents. When I went to college, though, people began asking me about karma and rebirth, about the Four Noble Truths, and about how meditation practice related to Buddhist philosophy. I realized, as I fumbled for answers, that I had no clue. I was a Sunday-morning Buddhist, and Monday through Saturday, I was someone else.

 

Recently, I was reading an essay by a young Asian-American woman who was raised in California by parents who emigrated from Thailand. She wrote that it broke her heart to see her parents go to the temple on Sundays in order to “fill up” on merit and then come home and be as angry and hurt-filled as usual. The Buddha’s teachings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ir daily life, she observed.

 

Of course, it is important to enjoy a social life at the temple, to create good merit, to chant and bow, even if we are not sure what it means exactly (I myself am still learning). But, the Buddhist life is much richer if we can be mindful about bringing spirituality to religious activities continuously--to be filled with wonder, to have a sense of deep connection to ourselves and others, to consider that there is mystery, and to consciously apply principles to our body, speech and mind, to read books that make us really think about things for ourselves.

 

In sum, we should guard against being either vaguely spiritual or blindly religious.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