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nka Speech ②

기자명 법보신문
One of the first stories I heard about Zen was a story about Zen Master Un Mun. One day as Un Mun was on his way to the outhouse, a new monk approached him and said, “Please, Zen Master, tell me, what is the first principle of Zen?” Then Un Mun said, “Excuse me, I have to take a piss and marched off. Then, as he was walking away, he turned around, looked back at the student, and said, “Imagine, even such a simple thing I have to do myself.”

The teaching style of Zen is very uncompromising. As the story illustrates, the student is thrown back on his own resources. There is no explanation to help the student to understand. Rather, the teacher’s intent is to evoke a direct experience of the truth. A very famous kong-an in the Mu Mun Kwan, Nam Cheon’s “Every Day Mind is the Path” (case 19), speaks directly about understanding and true life.

One day Joju went to Zen Master Nam Cheon and asked “What is the true way?” Joju was a very high class practitioner but still he had some doubt, some question.

Nam Cheon answered, “Everyday mind is the true way.” We have all heard many times that Zen is very, very simple, that Zen is not special. So, everyday mind: what could be more simple than this clear, unattached, spontaneously manifes ting mind that we all possess - everyday mind.

But still there is some doubt in Joju’s mind, so he says, “Then should I try to keep it or not?” Nam Cheon then says, “If you try to keep it, already you are mistaken.” If you want something, or are holding on to something, already you have made a mistake. It is not possible to hold on to anything in this life. Try to keep it? Already a mistake.

Then Joju has a further question. “If I do not try, how can I understand the true way?” Again, the deep desire that we all have: I want to understand life, figure it out.
Nam Cheon replies, “The true way is not dependent on understanding or not understanding. Understanding is illusion; not understanding is blankness. If you completely attain the true way of not thinking, it is like space, clear and void. So, why do you make right and wrong?” Then, Joju suddenly got enlightenment, realization.
The question put to Nam Cheon is also our question: “What is the true way?” Any time we grasp for anything, any time we want something, we are already in the quagmire of opposites-thinking. We are separated from the true way.

Hits table with stick

Sosan Taesa said, “Before Ancient Buddha appeared, one thing was already perfectly clear. Shakyamuni Buddha did not understand it; how could he transmit it to Mahaka shyapa?”

Hits table with stick

The fourth great vow says, “The Buddha way is inconceivable; I vow to attain it.”
Hits table with stick

The view of all Buddhas and Patriarchs is the same - no view.

Which one of these statements is correct?

KATZ!

Outside, it is dark. Inside, the candles are burning bright.


인가 법문 ②

제가 선에 관해서 처음 들은 일화는 운문 대사의 이야기입니다. 어느날 운문대사가 화장실을 가던 길에 신참 스님이 다가와서는 물었습니다. “스님! 선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는 무엇입니까?” 그러자 운문대사는 “미안하네만, 난 오줌을 좀 누어야겠네”라고 말하고는 성큼성큼 걸어갔습니다. 몇 발짝 걷던 대사는 몸을 돌려서는 신참 스님을 돌아보며 말했습니다. “생각해보게! 이렇게 간단한 일조차도 손수 해야만 해결되지 않는가.”

선의 교수법은 타협의 여지가 없습니다. 위의 일화에서 보듯이 학인은 스스로 답을 찾아야만 합니다. 학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설명이 없습니다.

스승은 학인이 진리를 직접 체험하도록 이끌어줄 뿐입니다. 무문관에서 매우 유명한 화두는 남전 스님의 ‘평상심이 도’라는 것인데(제19칙) 이 화두는 이해가 무엇이고 진정한 삶이 무엇인지를 직설적으로 말해주고 있습니다.

어느날 조주 스님은 남전스님께 가서 “도가 무엇입니까?”하고 물었습니다. 조주 스님은 경지가 높은 수행자였지만 아직 마음 속의 의심을 다 풀지 못했던 것입니다. 남전 스님이 말했습니다. “평상심이 도이다.” 우리는 모두 선은 단순한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선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고 자주 들었습니다. 평상심이라. 이처럼 분명하고 걸림없고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마음, 우리 모두가 가진 이 마음보다 더 단순한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래도 조주 스님의 마음 속에는 아직 한 가닥 의심이 남아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그 마음을 간직해야 합니까?” 남전 스님은 말했어요. “간직하려고 한다면 이미 잘못이니라.” 우리가 무언가를 원한다면 또는 무언가를 붙잡고 있다면 이미 잘못한 것입니다. 인간의 삶에서 무언가를 붙잡는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간직한다고요? 이미 잘못이지요.

조주 스님은 다시 물었습니다. “간직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도를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우리 모두가 가진 깊은 갈망입니다. 나는 삶을 이해하고 싶다. 삶이 무엇인지 알아내고 싶다는 것이지요. 남전 스님은 대답합니다. “도는 이해에도 불이해에도 있지 않다. 이해는 헛된 것이요, 불이해는 멍한 것이다. 생각이 끊어진 도를 온전히 이루면 허공처럼 맑고 텅 빈 것과 같다. 그러니 무엇 때문에 옳고 그름을 따지겠는가?” 그러자 조주 스님은 단번에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조주 스님이 남전 스님께 한 질문은 우리 모두의 질문이기도 합니다. “도란 무엇인가?” 우리가 무언가를 붙잡으려 할 때마다, 무언가를 원할 때마다 우리는 이미 이분법의 구렁텅이에 빠진 것입니다. 우리는 도에서 분리된 것입니다.

(주장자를 내려치며) 서산 대사는 말씀했습니다. “고불이 나기 전에 한 가지 자명한 사실이 있었노라. 석가모니 부처도 그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런데 어떻게 그것을 마하가섭에게 전할 수 있었는가?”

(주장자를 내려치며) 사홍서원 중 4번째 서원은 “불도를 다 헤아릴 수는 없지만 그를 이루오리다”입니다.

(주장자를 내려치며) 모든 부처와 조사들의 견해는 다 같습니다. 바로 아무런 견해가 없다는 것입니다.

방금 말한 세가지 중 어떤 것이 맞는 말입니까?

할!

밖은 어둡습니다. 안에는 촛불이 밝게 타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