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억불시대 불교 ‘계모임’이 지켰다”

기자명 법보신문
  • 교학
  • 입력 2007.01.29 15:21
  • 수정 2011.08.08 17:41
  • 댓글 0

한상길 불문연 교수 『조선후기 사찰계』 발간

조선전기 숭유억불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내세워 시행되던 승려억제 정책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 승려들이 더 이상 국가의 역을 피하는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이후 승려들이 남한산성이나 궁궐 보수사업 등 주요 군역에 동원되면서 조선 정부는 승려들을 적극 활용해 국역체계의 공백을 채우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했다. 이 과정에서 사찰은 부역뿐만 아니라 조세 부과대상이 되어 지방특산품이나 관청의 종이 및 물품을 대는 재정원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 조세가 얼마나 극심했던지 오히려 이를 피해 도망가는 승려들이 늘어나 사찰이 텅텅 빌 지경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였다.


이같은 경제적 탄압에 맞서 불교계가 나름의 자구책을 강구한 것이 바로 ‘사찰계’였다. 조선후기에는 지역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사찰에 계가 만들어졌다. 이는 조선후기 사찰의 신앙적·경제적 기반을 확충시켜 나가는 원동력으로 기능했다.

 

‘조선후기 사찰계’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한상길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가 박사학위를 저본으로 『조선후기 불교와 사찰계』를 출간했다.

 

한 교수는 조선후기 사찰계를 크게 두가지로 분류했다. 신앙활동으로서의 사찰계와 경제활동으로서의 사찰계가 그것이다. 신앙활동 차원의 사찰계는 염불계·칠성계·지장계 등이 있었으며, 경제활동 차원의 사찰계는 같은 띠의 승려들끼리 계를 모은 갑계, 사찰 운영에 필요한 전답과 기물·재화 등을 마련하기 위해 승속이 함께 결성한 불량계, 불전을 밝히는 등촉을 시주하는 등촉계, 같은 스승을 모신 승려들이 스승의 법을 계승하고 봉양하기 위해 결성한 문도계, 사찰내 운영조직의 하나인 청(廳)에 소속된 승려들이 조직한 청계 등이 있었다.

 

그런데 처음에는 신앙공동체를 통해 상호간의 수행을 독려하기 위해 시작된 계에 속인들도 참여하게 되었다. 이는 승려만의 역량으로 계가 결성되는 것이 역부족이었기 때문이다.


한 교수는 “사찰계의 결성이 단순히 재정적 어려움을 위한 경제적 결합을 넘어, 억불 사회에서 승려와 승려, 또는 승려와 세속이 사찰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신앙적 결합이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일반인들과 승려들의 불교신앙을 고취하려는 데 더 큰 목적이 있었다”는게 이 책의 요지다. 

 

탁효정 기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