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⑬ 재가불자의 포살

기자명 법보신문

포살, 참회 통해 청정 회복하려는 다짐
정기적 포살 실천…지계 의지 되새겨야

불교교단에는 포살(布薩, uposatha)이라 불리는 것이 있다. 이것은 출가자에게 적용될 때는 승단의 화합과 청정을 위해 보름 마다 한 번씩 실행하는 중요한 의식을 가리키지만, 재가자의 경우에는 청정한 생활을 보내야 할 재일(齋日)의 의미를 지닌다. 재가불자의 포살일은 한 달에 6일, 즉 8, 14, 15, 23, 29, 30일이 기본이지만, 강제성은 없다. 출가자의 포살과 달리 재가불자의 경우에는 오로지 본인의 자발적인 의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한 달에 6일 모두 실천하지 않아도 무관하며, 또 할 수만 있다면 매일 해도 좋다고 한다. 재가불자에게 있어 포살일은 일종의 정진일이다. 재가불자의 경우, 평소 가업에 쫓겨 불도 수행에 전념하기도 어렵고 또 계를 지키는 것도 생각처럼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한 달에 며칠만이라도 정해진 날에 자신의 심신을 돌아보며 의식적으로 경건한 하루를 보내고자 하는 것이다.

포살일이 되면 재가불자는 몸을 정결히 하고 절에 가서 스님으로부터 팔재계(八齋戒)라 불리는 8종의 계를 받아 지키며 경건한 하루를 보내거나, 혹은 명상을 실천하거나 설법을 들으며 선법(善法)을 증장하고 불선법(不善法)을 청정히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때로 절에 가기 어려운 경우에는 스스로 마음속으로 다짐하며 이런 것들을 실천해도 좋다고 한다. 재가불자의 포살은 부처님 당시 바라문교의 종교 행사 가운데 하나였던 우빠와사타(upavasatha)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우빠와사타란 소마제(Soma祭), 즉 신월제(新月祭)와 만월제(滿月祭)라 해서 신월과 만월의 날에 재가자들이 선조들을 위해 거행하던 공양제의 전날 철야하는 것을 일컫는 말인데, 이때가 되면 수행자들은 물론이거니와 일반 재가자들도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고기와 같은 일부의 음식물이나 육체적 욕망 등을 자제하며 엄숙하게 지냈다. 또 이 날은 종교인들을 찾아 가 가르침을 듣는 날이기도 했다.『사문과경』에 의하면, 아사세왕은 보름달이 휘영청 뜬 포살일에 어느 종교가를 찾아 가서 가르침을 들을까 고민하다 결국 부처님을 찾아 가 가르침을 듣고 불교에 귀의하게 되었다고 한다. 둥그런 보름달 아래 옹기종기 모여 앉아 부처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듣는 재가불자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재가자의 포살은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불교국가에서는 제대로 실행되고 있지 않지만, 초기불교의 전통을 잘 계승하고 있는 스리랑카의 경우, 출가자의 포살보다 오히려 한 달에 네 번 있는 재가신자들의 포살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리랑카에서는 포살일을 포야 데이(Pya day)라고 하는데, 특히 만월에 이루어지는 포야 데이를 가장 중요하게 여겨 이 날은 휴일로 정해져 있다. 포야 데이는 재가불자들에게 있어서는 더할 나위없는 중요한 정진일이다. 특히 만월의 날이 되면 아침 6시경부터 마을 사람들이 사원에 모여 팔재계를 받고, 강당에서 정좌한 채 명상을 하거나, 법을 듣거나, 불전에 공양을 반복하며 많게는 12시간, 때로는 24시간에 걸쳐 지계의 하루를 보낸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식적인 불교국가는 아니므로 현실적으로 포살일을 휴일로 정하거나 또 직장을 쉬면서까지 실천할 수는 없지만, 포살이 갖는 의미를 되새기며 적어도 한 달에 며칠만이라도 8종의 재계를 지키고 스님들의 설법을 들으며 경건한 하루를 보내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포살을 통해 한 점 부끄럼 없이 청정한 모습으로 거듭난 화합 승단, 그리고 경건한 포살일을 보내며 정결한 심신을 갖춘 재가불자들. 이 양자가 한 자리에 모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주고받으며 불도 수행에 힘쓰는 모습이 한국불교교단에서도 실현된다면 이 얼마나 아름다운 정경이 될 것인가.
 
도쿄대 외국인 특별연구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