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도 운문사 ‘관음보살·달마벽화’ 보물됐다

  • 교학
  • 입력 2014.03.12 16:35
  • 수정 2014.03.25 04:28
  • 댓글 0

문화재청, 3월12일 보물 지정
운길산 수종사 일원은 ‘명승’

벽면 한 곳에 관음보살과 달마대사를 동시에 표현한 유일한 사례인 청도 운문사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가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3월12일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와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등 7건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보물 제1817호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는 한 화면에 관음과 달마를 나란히 표현한 유일한 사례이자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경의 불화양식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됐다.

보물 제1816호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는 보타락가산에서 설법하는 관음보살을 벽면 전체에 걸쳐 그렸다.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한편 관음보살이 머무는 보타락가산을 그리면서 특징적인 물가 표현을 생략하는 등 색다른 표현 형식이 나타나 의미가 크다.

보물 제1818호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은 조선 초기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규모의 금동으로 제작된 상이다. 여성적 면모가 느껴지는 얼굴 표현과 옷주름 형식은 조선 초기 보살상에서 볼 수 있는 양식적 특징으로, 조선 초기에 왕실이나 지배층이 발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요소이다.

보물 제1819호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조선 후기 1651년 조각승 승일(勝一) 스님이 중심이 되어 제작한 상이다. 1765년의 개금발원문(改金發願文)을 통해 1689년 무렵 화재가 발생하여 본존 석가여래상을 새로 조성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삼불좌상 모두 조각적으로 우수하고, 발원문을 갖추고 있어 17세기 중후반의 불교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됐다.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은 5미터가 넘는 대형 마애상으로 엄숙하고도 단정한 보살상의 얼굴 표현, 유려한 설법인(說法印)의 손 모양 등 뛰어난 조각적 완성도를 보여준다.

보물 제1821호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지장보살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 귀왕(鬼王), 판관(判官) 등이 잘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명부전 조각의 구성형식을 잘 보여준다. 또 승일 스님이 책임 조각승으로 제작한 상으로 작가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보물 제1822호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조각승 영철(靈哲) 스님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지장보살삼존상과 함께 시왕, 판관, 사자(使者), 인왕(仁王) 등 총 25구이다. 당당한 신체와 율동적인 옷주름 묘사 등에서 수연(守衍), 영철 스님으로 이어지는 수연파의 작품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이번에 지정된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등 벽화 2건은 문화재청이 시행한 사찰건축물벽화 조사사업을 거쳐 국가문화재로 지정됐다.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등 5건은 불교문화재 일제조사사업을 통해 국가문화재로 지정됐다.

한편 문화재청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등에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일원’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 제109호로 지정했다. 수종사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 하천경관을 바라볼 수 있고, 운길산 정상에서는 한강은 물론 서울 북동쪽지역의 산지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특히 두물머리는 금강산에서 발원한 북한강과 강원도 금대봉 검룡소(儉龍沼, 명승 제73호)에서 발원한 남한강이 합쳐지는 장소로 사계절 시시각각 변하는 풍경이 아름다운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이재형 기자 mitra@beopbo.com
 

[1237호 / 2014년 3월 19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