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명대 교수 “청와대 불상, 경복궁 내불당에 제대로 모셔야”

  • 기고
  • 입력 2022.08.21 10:48
  • 수정 2022.08.27 16:54
  • 호수 1645
  • 댓글 2

특별기고 - 청와대 석불좌상 활용방안

경복궁 내불당, 조선 초 궁궐 중심부 있었으나 세종 30년 동쪽 이동
대통령 관저 뒤 보물 부처님, 역사성 살린 현대식 내불당에 모셔야

우리나라에서 현재 가장 큰 국민적 관심사의 하나가 청와대의 활용 방안이다. 청와대를 사적지로 지정하여 일체의 훼손을 방지하자는 안과, 이보다는 청와대 원래 개방 취지대로 모든 국민에게 완전 개방하자는 안, 그리고 사적지로도 지정하고 국민도 활용하는 절충안 등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가운데 현실적으로 가장 좋은 방안은 세 번째 ‘사적지로 지정하여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국민들도 활용하는 절충안’이 아닐까 한다. 

청와대 본관이나 춘추관은 원 건물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역대 대통령의 통치 유물과 외국에서 받은 선물, 소장 미술품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국민들에게 역대 대통령의 모든 것을 알 수 있게 배려하는 ‘대통령 박물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또본관 앞 광장 등에 ‘야외 공연장’을 마련하여 주기적으로 세계적인 전통 공연을 하는 장도 필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불교계에는 현안의 과제가 놓여 있다. 바로 대통령 관저 뒤에 봉안된 보물 석불좌상이다. 이 불상의 거취에 대해서는 예부터 이견이 분분하다. 출처는 경주이지만 경주의 이거사지인지 남산인지 어디인지 알 수 없어 무작정 경주로 내려가는 방안도 큰 의미가 없을 것이다. 박물관(불교중앙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으로 이관되는 것에도 별 의미가 없다.

청와대 석불좌상을 위한 가장 좋은 방안은 현재 위치에 잘 봉안해 격에 맞게 모시는 일이다. 현 장소에 경복궁 내불당(內佛堂)을 현대식으로 복원해 내불당 주불로 봉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왼쪽은 조선 초 ‘내불당도’. 동그라미 친 부분이 경복궁 내불당이다. 작자미상 (作者 未詳), 비단에 채색, 46.5cm x 91.4cm, 호암미술관 소장.
왼쪽은 조선 초 ‘내불당도’. 동그라미 친 부분이 경복궁 내불당이다. 작자미상 (作者 未詳), 비단에 채색, 46.5cm x 91.4cm, 호암미술관 소장.

기존에 경복궁을 복원하면서 내불당에 대한 언급은 일체 없었다(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에 따르면 경복궁은 1990~2010년 89동을 복원하는 1차 정비사업을 마쳤고,  2011~2045년 2차 정비사업으로 80동을 복원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 경복궁 내불당은 궁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삼국시대에 불교를 수용한 이래 궁궐에서 내불당이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기도 하다. 

삼국, 통일신라, 고려시대도 궁중사원을 내제석사(內帝釋寺)로 왕실·국가와 국민을 수호해주는 제석천을 주불로 봉안했던 것이 관례였다. 하지만 조선시대는 경복궁을 창건하면서 이를 내불당으로 명명하고 있다. 경복궁 내불당은 세종 때 폐사했다가 세종 30년(1448)에 다시 복원하였는데 위치는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 궁궐도인 내불당도를 보면 내불당이 궁궐 중심부 가까이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세종 30년(1448) 내불당을 중창하면서 궁궐 동북 쪽으로 이동했다고 한다.

궁궐 동북 쪽으로 이동한 위치는 현재 청와대를 찾는 방문객들의 출입구와 가깝기도 하다. 또 청와대 석불좌상이 봉안된 위치와도 멀지 않은 거리이다. 

때문에 불교계가 경복궁 내불당 복원에 대한 논의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 물론 정확한 위치를 찾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내불당이 있던 장소 인근에 마침 청와대 불상 있어 미남불을 내불당 본존불로 삼아 복원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그간 청와대 불상을 둘러싼 여러 이견을 잠재울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청와대 불상을 다른 지역으로 이안하지 않고 보물 부처님을 주불(主佛)로 삼아 현대식 내불당을 복원하는 방안이 매우 시급하다. 

세종성왕은 정화 작업을 벌여, 세종 6년(1424) 음력 4월 선교(禪敎) 양종(兩宗)의 36사(寺)만을 남겨 불도(佛道)를 정하게 닦도록 하였으며, 세종 30년(1448)에는 경복궁(景福宮)안에 내불당(內佛堂)을 짓게 하고, 불교 서적의 간행 배포와 과거의 승과(僧科)를 설치하는 등 불교 발전에 노력함은 물론 신앙심을 보이시니, 이로 말미암아 유교와 불교의 조화된 찬란한 문화가 이루어졌다. 이 그림의 내용은 세종 30년 음력 7월 유신(儒臣)과 성균관생(成均館生)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경복궁 안에 불당(佛堂)을 건립하는 광경이다. 
세종성왕은 정화 작업을 벌여, 세종 6년(1424) 음력 4월 선교(禪敎) 양종(兩宗)의 36사(寺)만을 남겨 불도(佛道)를 정하게 닦도록 하였으며, 세종 30년(1448)에는 경복궁(景福宮)안에 내불당(內佛堂)을 짓게 하고, 불교 서적의 간행 배포와 과거의 승과(僧科)를 설치하는 등 불교 발전에 노력함은 물론 신앙심을 보이시니, 이로 말미암아 유교와 불교의 조화된 찬란한 문화가 이루어졌다. 이 그림의 내용은 세종 30년 음력 7월 유신(儒臣)과 성균관생(成均館生)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경복궁 안에 불당(佛堂)을 건립하는 광경이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문명대 한국미술사연구소장·동국대 명예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