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30년대 일본불교, 맑시즘과 손잡았다”

기자명 법보신문
  • 교학
  • 입력 2006.12.06 09:39
  • 댓글 0

사토 아츠시·원익선 ‘전시체제 불교계 저항’ 발표

근대를 거치면서 일본 불교는 크게 세 번의 폭격을 맞았다. 천황을 신으로 승격시키기 위한 신도 강화정책(신불분리정책) 과정에서 야기된 폐불훼석, 국가신도체제의 확립에 따른 종교계의 순응과 전시체제 확립, 그리고 중일전쟁에서 제2차세계대전까지 국가총동원체제 속에서 이루어진 종교 탄압이 그것이다.

11월 25일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계의 대응’을 주제로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점연구소가 개최한 중간발표회에서 원익선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와 사토 아츠시 연구원은 1930년대 전시체제 속에서 불교계의 저항운동을 사회주의 노선과 불교 지식인들의 활동으로 나누어 소개했다.

흔히 종교를 아편으로 간주하는 사회주의는 불교와 결코 공존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로 간주된다. 하지만 1931년 일본의 세노오 기로에 의해 결성된 신흥불교청년동맹에게 있어서 이상적인 사회주의 세상은 부처님 당시 사유재산이 없는, 그리고 무아와 무소유를 가르치는 승가사회와 동등한 개념이었다. ‘1930년대 일본과 신흥불교청년동맹’을 발표한 사토 연구원은 “신흥불교청년동맹은 석가모니에게의 귀일, 전통 종파의 박멸, 자본주의 사회의 개조를 주창하면서 군국주의에의 저항운동을 전개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기 다른 한편에서는 토모마츠 엔타이와 타카가미 카쿠쇼오와 같은 불교 지식인들이 기존 불교교단이 지니고 있는 편협성과 추종의 틀을 벗어나 전시체제하의 민중들에게 새로운 탈출구를 제공해 주었다. ‘전시체제의 종교탄압과 불교계의 저항’을 발표한 원익선 교수는 “당시 불교지식인들은 전시체제에 대한 소극적인 성향을 드러내고 있었지만 민중들에게 삶을 포기하지 않는 신앙의 힘을 불어넣어 주었고, 선의 보편성을 강조함으로써 일본중심의 세계관에 사로잡히지 말 것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