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사(대표 윤재승)의 ‘역사 속 한국 비구니’(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 지음, 전영숙 집필)가 2025년을 빛낸 우수 불서로 선정되며 한 해를 뜻깊게 마무리했다.

조계종 총무원(총무원장 진우 스님)과 불교출판문화협회(회장 윤창화)는 11월 25일 대한출판문화협회에서 ‘제22회 불교출판문화상 및 올해의 불서 10 시상식’을 열고, 올해의 우수 불서와 모범 독자를 격려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화부장 성원, 문화국장 성만, 전국비구니회장 광용,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장 심원 스님을 비롯해 윤창화 불교출판문화협회장, 이병두 종교평화연구원장, 남지심 작가 등이 참석했다.


총무원장 진우 스님은 문화부장 성원 스님이 대독한 축사에서 “진리를 전하는 불서 출판인들의 정진은 곧 수행”이라며 “출판의 길이 결코 쉽지 않지만, 여러분의 노력과 정성이 불교 출판문화의 새로운 미래를 열 것”이라고 격려했다. 전국비구니회장 광용 스님은 “‘역사 속 한국비구니’의 저자 수경 스님과 전영숙 연구원이 자료 정리와 집필에 많이 힘쓰셨다”며 “수상자 모두 우리 시대를 기록으로 남긴 만큼, 깊이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윤창화 불교출판문화협회장은 인사말에서 “대상 수상작인 ‘역사 속 한국비구니’는 최초로 비구니 승가의 위상과 역할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며 “불교 서적 출판사들의 노력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시대의 언어로 재해석해 우리 삶 속에서 살아 숨 쉬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병두 종교평화연구원장은 “올해 선정된 10권의 책 모두 내용 면에서 훌륭했다”며 “특히 ‘역사 속 한국비구니’의 내용이 탄탄하고 학술적으로도 유례가 없어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시상식에서 ‘역사 속 한국 비구니’가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집필자인 전영숙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승단을 지탱한 비구니 스님들의 원력 덕분에 지금까지 불자로 살아올 수 있었다는 사실이 큰 복”이라며 “이 책이 앞으로 문학, 영화, 미술 분야에서도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우수상은 담앤북스의 ‘정원예찬(현진 스님 지음)’과 불광출판사의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절집 말씀(목경찬 지음)’이 수상했다. 한길번역상은 씨아이알의 ‘유식이십론(강형철·유리·구미숙 역주)’, 붓다북학술상은 동국대출판문화원의 ‘대승불교는 어떻게 발전했는가(한지연 지음)’, 보덕전법상은 수류산방의 ‘붓다의 수첩·담마(성찬 스님 지음)’에 돌아갔다.
현진 스님은 “지난 3년간 사찰 정원을 가꾸면서 꽃과 나무로 부처님 가르침을 전하는 ‘정원 전법’을 주창해왔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더 많은 분이 ‘정원 전법’에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밖에 입선작으로는 모과나무의 ‘거룩한 불편(유정길 지음)’과 현암주니어의 ‘바위에 새긴 미소(문영숙 글, 김태현 그림)’, 한문화의 ‘일단 앉아볼까요(페마 초드론 지음, 이혜진 옮김)’, 운주사의 ‘젠더를 넘어서는 불교(리타 그로스 지음, 김민정 옮김)’가 선정됐다.
올해 신설된 ‘독자상’은 불서 읽기 모임인 ‘붓다와 함께 떠나는 책 여행’과 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 책 읽기 소모임 ‘보리수아래’에 돌아갔다.
대상작에는 1000만 원, 우수상과 한길번역상에는 각각 400만 원, 붓다북학술상과 보덕전법상에는 각각 200만 원, 독자상에는 각각 1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한편 ‘역사 속 한국 비구니’는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가 40여 종의 고문헌을 토대로 비구니 승가의 위상을 조명한 책이다. 총 6장으로 구성됐으며, 1장과 2장은 각각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비구니들의 역할을 살핀다. 3장은 조선시대 비구니들의 헌신, 4장은 독립운동에 참여한 비구니들, 5장은 비구니 공동체의 성장과 비구니 선원의 성과, 6장은 전국비구니회관 건립 과정과 비구니 승가의 미래 비전 등을 다룬다.
백진호 기자 kpio99@beopbo.com
[1803호 / 2025년 12월 3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