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 임이의 ‘지둔애마도(支遁愛馬圖)’

기자명 김영욱

반야의 ‘공’과 노장의 ‘무’는 동일하다

말·학 사랑한 동진 승려 지둔
강남 지역 불교 홍포에 공헌
청나라 화가 임이가 그린 작품
맑고 우아한 색채로 정신 담아

임이 作 ‘지둔애마도’, 종이에 먹과 엷은 채색, 135.5×30.0㎝, 1876년, 중국 상하이박물관.
임이 作 ‘지둔애마도’, 종이에 먹과 엷은 채색, 135.5×30.0㎝, 1876년, 중국 상하이박물관.

生來死去處(생래사거처)
畢竟如何是(필경여하시)
太虛本寂寥(태허본적요)
脚下淸風起(각하청풍기)

‘태어나 와서 죽으면 가는 곳 결국은 어느 곳인가? 태허는 본래 고요하니 다리 아래로 맑은 바람이 이는구나.’ 청허당 휴정(淸虛堂 休靜, 1520~1604), ‘고향으로 돌아가는 노래(還鄕曲)’.

‘고승전(高僧傳)’을 읽다보면, 말과 학을 사랑한 동진(東晉)의 승려 지둔(支遁, 314~366)의 일화를 접할 수 있다. 그의 생애가 담긴 ‘세설신어(世說新語)’에도 비슷한 일화가 전한다. 그 일화를 함께 다듬어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둔이 강동의 섬산(剡山)에 머물 때, 어떤 이가 말 1필과 황금 50냥을 전해주었다. 지둔은 황금을 버리고 말을 귀여워하며 정성스레 키웠다. 황금은 이자를 남길 수 있지만, 말은 풀만 뜯어 먹을 뿐이다. 이렇게 생각한 사람들이 그에게 물어보니, 지둔이 환하게 웃으며 “저는 그저 이 말이 가진 성품을 사랑할 뿐”이라고 답했다.

또 하루는 어떤 사람이 학 2마리를 선사하였다. 학이 날아오르려고 하였기에 날개를 부러뜨려 놓았는데, 날 수 없었던 학이 지둔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슬퍼하였다. 이에 지둔이 “넓은 하늘을 나는 새가 어찌 사람들의 눈과 귀의 노리개가 될 수 있겠는가?” 말하고, 학이 날개를 펼 수 있게 되자 넓은 하늘에 놓아주었다.

이번에 소개하는 ‘지둔애마도’는 청대 화가 임이(任頤, 1840~1896)가 그린 작품이다. ‘임백년(任伯年)’으로도 잘 알려진 그는 청대 말기 상하이를 중심으로 그 시대 화풍에 큰 영향을 끼친 해상화파(海上畵派)의 지도자였다. 특히 맑고 우아한 색채와 생동감 있는 필치로 당시 대중들이 선호하는 현대적 화풍을 창출한 것으로 유명하다.

세로로 긴 화면에 선인(仙人)을 상징하는 길게 솟은 파초가 특유의 맑은 채색이 더해져 한껏 청신함을 자랑한다. 그 아래로 옅은 갈색 가사를 입은 지둔이 긴 지팡이를 잡은 손에 다른 손을 올려둔 채로 말의 눈을 바라본다. 말은 담묵(淡墨)을 이용한 몰골(沒骨)로 시원스레 그려냈으나, 그 형상에 골격과 정신이 잘 녹아있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질 무렵, 화북 지방에서 도안(道安)이 불교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면, 지둔은 노장의 현학에 몰두한 강남 지역 문화에 반야를 중심으로 불교를 널리 퍼뜨리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이처럼 노장(老莊)의 현학적 불교를 대표하는 지둔의 일화는, 반야(般若)의 ‘공(空)’과 노장의 ‘무(無)’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한 그의 사상을 잘 보여준다.

지둔은 말한다. “물(物)에 구애받지 않는 진정한 소요(逍遙)를 통해 태허(太虛), 즉 불가의 진리인 ‘공(空)’에 이를 수 있다.” 황금을 버리고 말의 성품을 사랑하여 기른 지둔의 마음이 담긴 한 장의 그림 속에 맑은 ‘공’의 바람이 불어오는 듯하다.

김영욱 한국전통문화대 강사 zodiacknight@hanmail.net

 

[1510호 / 2019년 10월 3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