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2. 법다운 수행자의 삶

기자명 법장 스님

출가자는 반드시 본분에 맞는 장소에 있어야

원효 스님 무애행 거론하며
계율을 가볍게 여기는 풍조
승려 한 사람의 잘못이라도
불교 전체가 어려움 겪을 것

불교의 포교는 최근 들어 사찰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유튜브나 여러 미디어를 활용한 포교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게 불교의 전법포교로 발전하고 있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포교공간 속에서 불교적 사상과 가르침이 온전하게 갖춰지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앞으로 불교계가 준비하며 고민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불교의 보살계를 대표하는 경전인 ‘범망경’의 제37경계에는 ‘고입난처계(故入難處戒)’라는 계목이 있다. 이는 “보살이 고의로 험난한 곳에 들어가는 일을 하지 마라”는 내용이다. 즉 승려가 자신의 본분에 걸맞지 않는 곳에 들어가거나 탐착심을 내면 반드시 문제가 생기기에 계율로 제정해 금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또 다른 불교문화 가운데 하나가 ‘무애행’의 일반화이다. 원효 스님 일대기에 등장하는 여러 무애행과 지범개차라는 계율 개방성을 잘못 이해해 누구나 원효 스님처럼 행동해도 되고 계율을 가볍게 여기는 경향도 곳곳에 서 나타난다.

원효 스님은 겉으로 보이는 일대기와는 달리 철저한 화엄교학을 통해 보살계를 실천하신, 말 그대로 보살의 삶을 사는 분이다. 그런 분을 그저 자신들이 활용하기 좋은 것만 뽑아 마치 원효 스님의 화신과도 같이 말하며 흉내 내고 모방하는 것은 그 자체로 계율을 파계하고 불법을 훼손시키는 것이다. 또한 계율의 지범개차도 보살로서 자신의 철저한 희생을 동반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행위에 한해서만 허용되는 것인데 그것을 자신의 즐거움과 안락을 위해 언제든지 활용해도 되는 방편처럼 인식하고 있는 것은 계율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리고 ‘고입난처계’에서는 출가수행자가 수행을 위한 공간이 아닌 곳에 들어가서도, 머물러서도 안 된다고 한다. 그 이유는 본분에 맞지 않는 곳에 있으면 그것을 질타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생겨나고 그로 인해 그 승려 한 명만이 어려움을 겪는 것이 아닌 출가자라는 대표성으로 인해 불교 전체가 같은 부류로 엮여 사회로부터 어려움을 겪게 되기에 계율로써 금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출가수행자 의식주에 대해서는 수행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공양만으로 충분하며 그 이상을 먹거나 원한다면 이는 수행을 방해하고 오히려 그 사람에게 병환을 생기게 하는 독이 된다고 한다. 일반적인 상식에서도 과식을 하거나 비만이 되면 사람이 게을러지고 당뇨·성인병 등 여러 질환이 생기게 되는 것과 같다. 하물며 승려가 그러해서는 더욱 안 된다. 다음으로 의복에 관해서 출가자가 지녀야 할 세 가지 기본 의복(삼의) 이외의 것이나 호화로운 재질의 의복을 입는다면 도둑질이나 강도를 당하는 환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에 수행을 하는데 몸을 지켜줄 정도의 것만 지녀야 한다고 말한다. 이 역시도 승려가 지나치게 좋은 명품이나 재질의 옷을 입으면 세간으로부터 질타를 받게 되는 것이기에 과거에나 지금에나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머무는 곳에 대해서는 승려는 당연히 사찰이나 선원, 혹은 수행공동체(승가)에 반드시 머물러야 한다고 설명한다. 승려는 출가자이다. 수행을 하기 위해 세간의 집을 나와 승가로 들어온 이가 바로 승려이다. 그렇기에 당연히 승가의 일원으로서 대중과 머물며, 자신을 내려놓고 매순간 살아있는 수행을 해야 한다.

다양해지는 포교환경 속에서 불교의 수행자는 무엇이고, 수행자다운 삶은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이 자주 나온다. 불교수행자는 불법에 귀의한 자로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율장과 경전의 가르침에 의지해 살아가면 된다. 그리고 철저히 자신을 내려놓고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을 닦아나가면 된다. 바로 부처님께서 마지막 순간까지도 우리 불제자들에게 내려주신 가르침이며 유언인 ‘자등명 법등명’을 일심으로 따르면 되는 것이다.

법장 스님 해인사승가대학 학감 buddhastory@naver.com

 

[1564호 / 2020년 12월9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