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좋은 업을 지어야 한다. 열 가지 좋은 업이 아닌 것은?
① 자비심이 가득한 마음
② 부드럽고 따뜻한 칭찬
③ 다른 생명을 살리는 행동
④ 거짓말이 아닌 진실한 말
⑤ 크고 많은 것에 만족하는 마음
2. 부처님께서 사르나트(녹야원)에서 다섯 수행자들에게 말한 최초의 설법을 초전법륜이라 한다. 다음 중 초전법륜의 내용은?
① 공
② 사성제
③ 반야사상
④ 유식사상
⑤ 정토사상
3. 삼학(三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탐·진·치 삼독을 제거하는 공부이다.
② 계학은 악업을 막고 선업을 실천하는 행동 규범이다.
③ 정학은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혀 삼매에 드는 공부이다.
④ 수학은 목석처럼 움직이지 않는 것을 고수하는 공부이다,
⑤ 혜학은 존재와 세계에 대한 바른 통찰이며, 무상·고·무아의 통찰을 강조한다.
4. 열 가지 선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거짓이 아닌 진실한 말
② 다툼을 부추기는 이간질
③ 내 것을 남에게 베푸는 행동
④ 생명을 해치지 않고 살리는 행동
⑤ 작은 것에도 만족할 줄 아는 마음
5. 부처님은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생멸하므로 변화한다’고 말씀하셨다. 이 교설을 지칭하는 불교교리 용어는?
① 제법무아
② 십이연기
③ 열반적정
④ 일체개고
⑤ 제행무상
6. 제법무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이 세상에는 변하지 않고 고정적으로 존재하는 실체가 없다.
② 인연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인연이 다하면 소멸할 수밖에 없다.
③ 모든 것은 변하므로 현재의 삶을 즐기며 자유롭게 살아야 한다.
④ 어떤 경우든 집착과 분별심을 떠나 자기를 비우고 살아야 한다.
⑤ 불교의 공사상은 무아, 연기를 확대한 개념이다.
7. 사법인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모든 변하는 것에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
② 모든 것은 고정됨이 없고 끝없이 변한다.
③ 모든 것은 신의 뜻에 따라 몸과 마음이 만들어낸 것이다.
④ 모든 것이 변하는데도 변하지 않는다고 집착하기에 고통이 발생한다.
⑤ 집착을 내려놓으면 모든 번뇌가 사라져 고요한 평화와 행복이 찾아온다.
(재)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공
정답 1.⑤ 2. ② 3. ④ 4. ② 5. ⑤ 6. ③ 7. ③
[1576호 / 2021년 3월1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