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법인(四法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제행무상(諸行無常)
② 제법무아(諸法無我)
③ 십이연기(十二緣起)
④ 일체개고(一切皆苦)
⑤ 열반적정(涅槃寂靜)
2. 팔정도(八正道)의 덕목 중 ‘폭력을 쓰지 않고, 바른 행동으로 자신과 남에게 이롭게 행함’을 의미하는 것은?
① 정견(正見)
② 정정(正定)
③ 정명(正命)
④ 정업(正業)
⑤ 정사유(正思惟)
3. 불교에서 ‘아집을 버린다, 나를 버린다’를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무엇이든 받아들일 수 있는 허공과 같은 마음을 가져라.
② 있지도 않은 나를 있다고 생각하는 집착의 마음을 버려라.
③ 모든 것은 끝없이 변화하므로 모든 것을 빨리 체념하는 것이 좋다.
④ 나와 내 경험이라는 고집을 버리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라.
⑤ 끝없이 변화하는 육체, 감정, 생각,의지, 의식에는 고정된 실체가 없음을 알라.
4. 사성제(四聖諦)는 ‘괴로움, 괴로움이 일어나는 원인,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를 가르치는 불교의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이다. 이 중 두 번째 괴로움의 원인의 진리를 지칭하는 용어는?
① 집성제
② 고성제
③ 삼성제
④ 팔정도
⑤ 멸성제
5. 사성제 중 팔정도는 어디에 해당하는가?
① 멸성제
② 도성제
③ 집성제
④ 고성제
⑤ 팔성제
6. ‘중도 사상’의 의의를 바르게 말한 것은?
① 대립과 갈등
② 조화와 균형
③ 신앙과 맏음
④ 파괴와 창조
⑤ 시작과 종말
7. 팔정도(八正道)에 대한 서술로 바른 것은?
① 불교의 우주관, 세계관을 설명한 것이다.
② 내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기 위한 수행법이다.
③ 진리에 대한 바른 인식에 입각한 열반 성취의 길이다.
④ 해탈의 길은 오직 고요한 명상 속에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⑤ 몸으로 행하는 실천의 중요성은 무시되고 정신수행만을 강조하는 수행법이다.
(재)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공
정답 1.③ 2.④ 3.③ 4.① 5.② 6.② 7.③
[1578호 / 2021년 3월24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