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 가족이 함께 푸는 불교교리 (60)

기자명 법보

1. 【보기】 중 대승불교(大乘佛敎)에 해당하는 내용을 바르게 고른 것은?

【보기】 
ㄱ. 초기불교와 부파불교를 철저히 배척했다.
ㄴ. 수행의 핵심으로 6바라밀을 제시했다.
ㄷ. 부처님의 10대 제자를 이상적 인간상으로 설정했다.
ㄹ. 깨달음을 추구하고 중생을 교화하는 삶을 추구했다.
ㅁ. 아라한이 되어 생사의 윤회를 벗어남을 궁극의 목표로 삼았다.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ㄹ, ㅁ
⑤ ㄷ, ㅁ

 

2. 대승불교는 원력의 불교라고 일컬을 만큼 서원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을 강조한다. 서원을 세우는 것을 발원(發願)이라고 하는데, 그 의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욕망으로 물든 삶을 나눔과 배려의 삶으로 전환한다.
② 성취의지를 표현하기보다는 구원과 복의 성취를 추구한다.
③ 대립과 경쟁보다는 함께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을 추구한다.
④ 보편타당한 삶의 지향점을 찾게 하는 인생의 중요한 덕목이다.
⑤ 끌려다니는 업생(業生)이 아니라 원생(願生)으로 나아가게 한다.

 

3. 대승불교의 경전이 아닌 것은?
① 화엄경     
② 법화경 
③ 금강경
④ 아함경
⑤ 무량수경

 

4. 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가리키는 말은?
① 보살    
② 성문
③ 대선사  
④ 아라한
⑤ 벽지불

 

5.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진정한 부처님의 사상과 정신을 회복하고자 했다.
·재가불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혁신적인 출가 스님들이 주축이 됐다.
·현실 속에서 깨달음을 구하면서 다른 사람들을 구제하고자 하는 보살의 불교다.

① 초기불교운동    
② 대승불교운동
③ 부파불교운동    
④ 격의불교운동
⑤ 현대불교운동

 

6. 대승불교의 인간형인 보살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깨달음을 추구하는 중생이라는 뜻이다.
② 보살은 원래 성불하기 이전의 부처님을 가리키는 말이다.
③ 보디사트바(bodhisattva)라는 말의 음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④ 지금은 불교에 귀의하고 입문한 모든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한다.
⑤ 신도회에 속해서 불사에 재정적으로 많이 기여한 사람만을 부르는 말이다.

(재)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공
정답
1.②    2.②    3.④    4.①    5.②    6.⑤

 

[1584호 / 2021년 5월5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