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육바라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보살이 실천해야 할 6가지 실천덕목을 말한다.
② 오늘날 우리 사회의 ‘재능기부’는 보시바라밀에 해당한다.
③ 과소비, 자기 자랑, 게으름 등을 극복하는 것은 인욕바라밀에 해당한다.
④ 몸과 마음을 순수하게 집중하는 참선은 학습 능력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이 과학적 실험으로도 증명됐다.
⑤ 지혜바라밀이란 학문적 지식과 사회의 정보와 기능을 많이 습득하여 다른 사람과 자연 앞에 우월하게 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대승불교의 바라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대승보살이 실천해야 할 길을 의미한다.
② 바라밀이란 피안에 도달한 상태를 말한다.
③ 바라밀의 산스크리트 원어는 파라미타다.
④ 보살의 바라밀엔 대표적으로 여섯 가지가 있다.
⑤ 반야바라밀은 이분법적 분별을 바탕에 깔고 있는 지혜의 길이다.
3.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이루기 위해서 보살(菩薩, Bodhisattva)이 갖춰야 할 여섯 가지 덕목을 육바라밀이라고 한다. 마음을 어떤 대상에 집중시켜 어지러운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신을 맑게 통일하는 것을 나타내는 덕목은?
① 지계(持戒)바라밀
② 인욕(忍辱)바라밀
③ 정진(精進)바라밀
④ 선정(禪定)바라밀
⑤ 반야(般若)바라밀
4. 대승불교에서는 육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이 중 반야바라밀다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삶의 허무를 강조한다.
② 상대적이고 분석적인 지식이다.
③ 소승불교의 성자인 아라한의 지식이다.
④ 제법이 연기하기 때문에 공성(空性)임을 통찰하는 지혜이다.
⑤ 대승불교에서는 반야바라밀보다 지계바라밀다를 더 중시한다.
5. 정토사상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우리나라에서 거의 신앙되지 않았다.
② 중국에서는 어려운 수행으로 간주했다.
③ 정토는 죽은 후에만 도달할 수 있는 세계이다.
④ ‘아함경’ ‘반야경’ ‘법화경’ 속에 잘 소개돼 있다.
⑤ 정토사상은 자기 한계와 난관에 봉착한 중생을 구원하고자 하는 자비의 가르침이다.
6. 불교의 오계는 불자들이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삶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다음 중 오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나 이외의 다른 신을 섬기지 마라.
② 거짓을 말하지 말고 진실을 말하라.
③ 예의와 순결을 지키고 청정한 삶을 살라.
④ 주지 않는 것은 갖지 말고 아낌없이 베풀라.
⑤ 살아 있는 생명을 해치지 말고 자비심으로 보호하라.
(재)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공
정답 1.⑤ 2.⑤ 3.④ 4.④ 5.⑤ 6.①
[1588호 / 2021년 6월9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