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문화재 보유 사찰을 옥죄던 고액 전기료 부담이 크게 줄어들 예정이다. 또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도 전산화돼 국민들의 불교문화유산 접근성을 높일 전망이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이 8월30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예산·기금 정부안을 1조 2935억 원으로 편성했다”며 “‘국민과 동행하는 문화유산 보존·활용’이라는 문화유산 관련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한 새정부 의지”라고 전했다.
이는 올해보다 1조2014억원보다 7.7%(921억원) 늘어난 수치다. 전체 예산의 70%가량인 8천983억원이 문화유산 보존관리와 보호에 사용된다.
이 가운데 내년 주요 신규사업으로 선정된 ‘문화재 사찰 보존 지원’과 ‘팔만대장경 디지털 DB화 구축’에는 54억원과 11억원이 각각 편성됐다.
먼저 ‘문화재 사찰 보존 지원’은 그간 한국전력공사(한전)의 가장 비싼 ‘일반용 요금제’를 납부해온 국가지정문화재 보유 사찰 281곳이 ‘교육용 요금제’로 납부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이 차액 만큼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용 요금제’는 사설 박물관과 미술관에 적용되는 요금제이다.
또 ‘팔만대장경 디지털 DB 구축’은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의 전체 인경본과 목판을 디지털화하는 사업이다. 대장경 전산화본(DB)의 일부는 현재 동국대 동국역경원이 고려대장경연구소로부터 기증받아 열람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으나 문화재청은 이에 더해 대장경 인경본 전권을 전산화하고 경판(목판)을 3D 이미지로 스캔할 방침이다. 대장경 관리상태도 종합적으로 진단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보·보물 등 문화재 보수 정비에는 594억원이 증액됐다. 발표된 정부안은 국회 예산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돼 내년부터 시행한다.
정주연 기자 jeongjy@beopbo.com
[1647호 / 2022년 9월7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