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량수경』 ①

기자명 법보신문

불자 참 생명이 부처님임을 증명하는 경

자신을 여자라고만, 며느리라고만 혹은 아들이라고만, 남편이라고만 여기며 살기 바쁜 일상이다. 그럼 이렇게 다람쥐쳇바퀴 돌 듯 하는 게 삶의 모든 것일까? 다행스레 경전(經典)을 만날 수 있는 복(福)이 있다면, 엄청난 국면이 전개되기 시작한다. 마치 기억(記憶)을 상실(喪失)했던 사람마냥 살다가, 비로소 자신의 진면목(眞面目)과 마주하는 격이다.

경전은 단순한 문자(文字)의 나열이 아니다. 참된 생명가치(生命價値)가 무엇인지를 기록한 불변(不變)의 진리 그 자체이다. 그러므로 경전을 읽는 것은 신경안정제를 먹어서 잠시 마음을 안정시키려는 시도가 아니다. 독경(讀經)을 하는 이유는 철저히 부처님의 법문(法門)을 듣고자 함이다.

그렇다. 이제부터 우리는 무량수경(無量壽經)을 통해서 부처님의 법문을 듣는다. 그리하여 미처 깨닫지 못했던 자신의 정체(正體)를 알 수 있다. 스스로가 누구인지를 알고, 마침내 아는 그대로 사는 사람을 불자(佛子)라고 이르지 않는가?

그런데 무량수경은 불자의 참생명이 부처님생명임을 거침없이 드러내면서, 그 말씀대로 사는 길을 염불(念佛)이라고 가르친다. 따라서 우리가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하며 염불하는 것은, 뜻도 모를 주문(呪文)을 적당히 주억거리며 신비(神秘)한 현상이나 추구하고자 함이 아니다.

염불이란, 오직 자신의 생명가치가 아미타(阿彌陀, Amita는 상대적인 입장으로는 도저히 헤아릴 수 없다는 뜻)로서 시간적인 영원성(無量壽)와 공간적인 무한성(無量光)을 갖는 부처님생명임을 믿어 의심치 않기에, 잠시의 꾸물거림도 용납치 않으려는 결단(決斷)이다. 진실(眞實)이외의 그 어떠한 상대적인 추구도 의미가 없음에 동의하기에 말이다.

그러나 배운 게 부족하다거나, 나이가 많다거나, 지난 날 많은 실패를 했다거나 하는 식의 자기한정(自己限定)을 바탕으로 하는 한, 이 또한 아무런 의미도 없다. 다시 말해서 공염불(空念佛)을 하려는 사람이 어찌 하나 둘로 그치겠는가? 비록 그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시도는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못나고 힘이 없고 실패하기를 작정하기에,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부정적인 현상이 벌어지기 마련이다.

무엇을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는가? 기대한 대로 벌어지는 것이 인생이다. 입으로 아무리 큰소리를 내며 많은 염불을 해도, 만해(卍海)의 지적과 같이 입 아프게 소리만 질러대는 호불(呼佛)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니 하면 할수록 허망(虛妄)의 늪으로 점점 더 빠져들 뿐이다.

이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믿지 않고, 스스로를 못난 중생(衆生)이라고 자처하기에 여념이 없다. 행여 그런 태도를 겸손이라는 구실로 합리화하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보다 더 부처님을 욕보이는 일이 어디 있겠는가? 부처님이 하신 증언인 경전의 말씀을 그대로 믿지 않으려는 자기식의 교만(驕慢)이외에 아무 것도 아니다.

염불(念佛)한다는 것은, 염불하는 자신과 아미타불이 전혀 다르지 않은 동일생명으로서, 무량수경(無量壽經)의 말씀과 같이 ‘이미 성불(成佛)했음(已成佛)’을 믿는 것이다. 따라서 염불행자(念佛行者)는 이미 성불이 끝났음을 믿으므로, 성불을 새삼스레 목적격(目的格)으로 삼지 않는다. 상대적(相對的)인 가치를 바탕으로 궁극의 삶을 평가하지도 않는다. 상대적인 측정에 말미암아, 이른바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이라는 삼악도(三惡道)가 벌어짐을 알기에 그렇다.

염불은 자신에게 부처님의 무량공덕(無量功德)이 가득 차 있음을 믿고, 믿는 대로 몸과 말과 뜻으로 부처님의 무량공덕을 지어 가는 적극적인 태도이다. 이렇게 “나의 참생명은 부처님생명입니다. 만나는 생명마다를 부처님생명으로 모시며 살겠습니다”하는 삶을 멈추지 않으니, 어찌 지금 여기가 극락(極樂)이 아니겠는가?

여여 법사
문사수법회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