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63. 합창단

기자명 법보신문

1974년 삼보법회서 최초 성인합창단 창단

반영규·김재영 등 공로…첫 단장은 서효숙
어린이는 운문 스님 창단한 조계사가 처음

 
삼보법회는 1974년 불교계 최초로 성인 합창단을 창단했다. 창단 초 법회를 마친 단원들이 탄허 스님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불보살을 찬탄하는 노래’를 통칭하는 찬불가는 역사적으로 경전상 『남해기귀내법전』에 처음 나타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1925년 권상로의 『부모은듕경전』이라는 악보집에서 처음으로 찬불가라는 용어를 볼 수 있으며, 이 기록에서 찬불가라는 말이 노래의 곡명으로 쓰였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또 1931년 12월 법륜사에서 발행한 『불자필람』이라는 책의 부록에 실려 있는 ‘강연의식’을 통해 ‘찬불가’가 그 이름 자체로 노래의 제목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찬불가가 본격적으로 출현한 것은 1920년대부터 조학유, 백용성, 권상로, 김대운, 김정묵 등이 주축이 되어 찬불가를 제작하면서부터다. 기록에 따르면 조학유는 「불교」지에 직접 작사한 찬불가를 연재했고, 백용성은 1927년 『대각교의식』에 ‘왕생가’와 ‘권세가’라는 악보를 남기기도 했다. 또 권상로는 『부모은듕경전』에 ‘삼귀의’라는 악보를 남겨 놓고 있다. 특히 권상로의 『부모은듕경전』에는 찬불가 10곡과 신불가 12곡이 수록돼 있어 당시의 찬불가 경향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후 1950년대에 들어서기까지 새롭게 작곡된 찬불가의 모습을 볼 수 없으나, 운문 스님이 활약하기 시작한 1950년대부터 다시 찬불가가 등장하고 있다. 운문 스님은 직접 가사를 짓고 작곡가들에게 곡을 의뢰하면서 찬불가 전파에 나섰다. 스님은 어린이 포교 활성화를 위해 어린이들이 법회에서 즐겨 부를 수 있는 찬불가를 보급시키고자 헌신했고, 오늘날까지도 찬불가 보급과 발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찬불가 보급 운동이 창단 배경

그리고 1970년대 들어서면서 작사가 반영규가 찬불가 보급에 크게 기여했다. 반영규는 1972년 서창업을 만나면서 찬불가 작곡을 시작했고, 서창업은 1974년 6월 불교음악연구원을 설립해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산하단체로 등록한 이래 1980년대까지 무려 160여 곡에 달하는 찬불가를 발표할 정도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이어 1980년대는 찬불가 보급 운동이 더욱 활발하게 전개됐고, 찬불가가 한 권의 책으로 엮어져 나오기도 했다. 1983년에 김용호가 발표한 『새 찬불가』에 이어 운문 스님이 『불교성가집』, 최영철이 『찬불가 1집』, 변규백이 『청산은 나를 보고』 등을 잇따라 출간해 찬불가 보급에 앞장 선 것. 이렇게 찬불가를 보급하는 과정에서 오늘날 법회 때마다 볼 수 있는 불교합창단이 탄생하게 됐다.

불교계 최초의 합창단은 1962년 운문 스님이 조계사에서 창단한 연화어린이합창단이다. 운문 스님의 발심으로 탄생하게 된 연화어린이합창단은 이찬우가 노래 지도를 맡고 김기영이 지휘를 맡으면서 합창단의 면모를 갖췄고, 연습을 통해 실력을 다진 후 1964년 4월 동국대학교에서 찬불가 발표회를 갖기도 했다.

그러나 1965년 3월 운문 스님이 조계사 주지를 사임하면서 사라졌다가, 운문 스님이 1970년 다시 조계사 주지로 취임하고 1971년 조계종 총무원 재무부장이 되면서 1972년 연화어린이합창단이 재창단 됐다. 하지만 이 역시 스님이 총무원과 조계사를 떠나면서 사라지게 됐다. 지금의 합창단은 훗날 다시 만들어졌다.

여하튼 조계사 연화어린이합창단은 공식적으로 활동한 첫 불교합창단이다. 이어 1965년 서울 칠보사에서 소년소녀합창단을 창단, 어린이포교에 나서면서 자연스럽게 찬불가 보급에 나섰다. 그러나 당시 이들 어린이합창단의 역할에는 뚜렷한 한계가 있었고, 그 역량 또한 법회에서의 활동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리고 1974년 드디어 서효숙을 단장으로, 신영희를 지휘자로 한 최초의 성인합창단 삼보법회합창단이 창단됐다. 사실상 최초의 불교합창단이라고 할 수 있는 삼보법회합창단이 탄생하기까지는 반영규, 서창업, 김재영 등의 공로가 컸다. 당시 반영규는 찬불가 보급에 뜻을 두고 한 달에 한 곡씩 작곡해 문서포교지 「자비의 소리」와 함께 간행해 배부했으나, 불교단체들이 악보를 받고도 노래를 가르칠 사람은 물론 오르간조차 없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반영규는 한 기고문에서 “악보를 보내도 사용할 수가 없다는 소식을 듣고 궁여지책 끝에 동덕여자고등학교 불교학생회 학생들에게 노래를 가르쳐 녹음을 하고, 그 카세트테이프를 무료로 보급했다”고 당시를 회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학생들을 지도하던 김재영과 의논해 학생들에게 노래를 가르치는 한편 어렵게 충무로의 녹음실을 빌려 녹음한 카세트테이프를 보냈으나, 이번에는 테이프에 녹음된 노래를 들을 수 있는 카세트가 없었던 것이 문제가 됐다. 너나없이 모두가 어렵게 살아가던 시절의 한 단상이기도 하다.

70년대 도선·불광사 등 6개 창단

 
어린이 합창단은 새싹포교의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수국사 어린이합창단 창단법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영규를 비롯해 찬불가 보급에 뜻을 둔 사람들은 매달 새로운 찬불가를 만들어서 보급했고, 한편으로는 당시 매주 일요일마다 풍전호텔에서 법회를 열었던 삼보법회 청년들에게 찬불가를 가르쳐 법회 때마다 부를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이 곧 불교합창단 탄생의 배경이 됐다. 삼보법회는 이때 법회 때마다 찬불가를 불렀던 저력을 합창단 창단으로 승화시켰고, 마침내 1974년 최초의 성인 불교합창단을 출범시켰다.

삼보법회합창단의 출범은 이후 수많은 불교합창단 창단을 촉발시키는 촉매제가 되어, 1976년 한해에만 조계사합창단, 도선사합창단, 청룡사 마야합창단 등 3개의 합창단이 창단됐다. 이어 1977년 일붕선원합창단, 1978년에 조계사 청년회 보리수합창단, 1979년 불광바라밀다 합창단 등 삼보법회 합창단 창단 이후 1970년대에 6개의 성인 합창단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후 1980년대 들어서는 1980년 의정부 광동여자고등학교합창단을 비롯해 39개의 합창단이 탄생했다. 이들 합창단 가운데 의정부 광동여자고등학교합창단은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생긴 최초의 합창단이었고, 1985년에는 부산에서 처음으로 삼보사합창단이 창단됐다. 또 같은 해에 대구에서도 개천사합창단이 발족했고, 1986년에는 제주 황룡사에 합창단이 창단되는 등 전국적으로 합창단 창단 붐이 퍼져 나갔다.

불교합창단은 1970년대 들어 처음 등장한 이래 1980년대에 서서히 전국적으로 창단 붐이 일기 시작했고,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10년 동안 전국적으로 80개가 넘는 합창단이 탄생했다. 1990년대 창단된 합창단 중에서는 1994년 출범한 서울중앙불교합창단의 활동이 눈길을 끌었다. 남녀 108명으로 구성된 합창단은 특정 사찰에 소속되지 않아 활동이 비교적 자유로웠고, 때문에 범종단적으로 음악활동을 하면서 포교활동은 물론 불교음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 민선희는 석사학위논문 「불교합창단의 활동과 국악 찬불가의 전개」에서 “작곡가 박범훈이 단장 겸 지휘자를 맡았고, 그의 영향을 받아 찬불가를 우리 가락으로 창작하는 작업과 연계하면서 합창단에 국악적 특징을 반영하기도 했다”고 이 합창단의 특징을 설명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불교합창단 관련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찬불가와 합창단의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1994년에는 비구니 스님들만으로 발족한 문수합창단이 발족하기도 했다. 40명 안팎의 비구니 스님들로 구성된 문수회가 활동하면서 스님들이 직접 신도들에게 찬불가를 지도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문수회는 또 무대에 올라 공연을 펼침으로써 대중교화에 힘을 더하기도 했다.

1994년에는 불교합창단 역사에서 특별한 일들이 적지 않았다. 비구니 스님들로 구성된 문수합창단에 이어 최초의 거사합창단이 탄생한 것이다. 한마음선원이 1994년 3월 거사합창단인 법형제합창단을 창단해 기존에 여성 위주로 구성된 합창단과 다른 면모를 보였다. 거사합창단은 이후 2001년 5월 수원포교당이 아버지합창단을 출범시키며 큰 호응을 받았고, 같은해 조계사는 혼성합창단을 조직하기도 했다. 합창단에 남성들의 모습이 나타나면서 이들의 공연 역시 눈길을 끌며 찬불가 보급과 포교에 기여하고 있다.

거사 이어 오페라단까지 등장

불교합창단은 시대를 거치며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그치지 않고 질적으로도 상당한 발전을 이뤘다. 그리고 각종 경연대회는 합창단의 질적 발전을 이끄는 촉매제가 되었다. 그리고 전국규모의 합창단 경연대회 등을 통해 질적으로 향상된 실력을 갖추게된 불교합창단의 공연 무대 역시 자연스럽게 확대됐다.

사찰의 법회에서 주로 선보였던 실력을 외부 무대에서 펼치기 시작한 것이다. 실례로 1980년 칠보사 어린이합창단이 세종문화회관에서 발표회를 열어 찬불가를 널리 선보인데 이어, 1982년 불광법회의 바라밀다합창단이 세종문화회관에서 종합예술제 형식으로 ‘동방의 빛’을 공연하면서 불교합창단의 존재가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그 영향을 받아 많은 합창단들이 큰 무대에서의 공연을 꿈꾸며 한층 더 실력을 쌓았고, 세종문화회관을 비롯해 지역의 주요 문화공연장에서 공연을 갖는 등의 활동을 펼치며 찬불가 보급의 일등공신이 되고 있다.

불교합창단은 이처럼 1960년대 어린이로 시작해, 어머니, 청년에 이어 거사합창단까지 생겨나면서 활동 영역을 확대하고 있고, 찬불가 보급 등을 통해 불교음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2005년에는 한국불교 최초의 오페라단 ‘바라’가 창단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창단 기념 창작오페라 ‘야수다라와 아난다의 고백’을 선보이는 등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심정섭 기자 sjs88@beopbo.com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