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식이 넘칠 때는 지식이 외려 화근 때론 무조건 가라

기자명 법보신문

“한 생각이라도 단 한 생각이라도 의심을 품지 말라(念念勿生疑).”(관음경)


‘누군가가 해주겠지…’ 이런 식으로 뜨뜻미지근한 태도를 가져서는 진리는커녕 도토리 개밥도 안 된다. 하려면 한번 미쳐 보는 것이다. 앞뒤 좌우를 다 보다가는 정말 진리의 문도 열 수 없고 또 삶의 바다에도 뛰어들어갈 수 없다. 젖 달라고 결사적으로 우는 어린 아기에게 어머니는 젖을 준다는 이 사실을 특히 불교인들은 명심해야 한다. 요즈음의 우리나라 불교인들만큼 미적지근하고 또 눈치를 살피는 종교인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을 것이다.


이처럼 우리가 눈치를 살피고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는 것은 의심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과연 그렇게 될까’ 하고 의심하는 이것도 일종은 ‘의(疑·vicikitsa)’라는 하나의 큰 번뇌인 것이다. 체험을 해 본 일이 없기 때문에 확신이 서지 않으니까 머뭇거리는 것이다. 이처럼 생각이 여러 갈래로 흩어지게 되면 그 흩어진 틈 사이로 두려움이 들어오는 것이다.


옹달샘의 경우 물을 떠 마실 때는 그 바닥이 얕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살짝 떠야 한다. 그러나 물을 더 많이 뜨려고 푹 뜨게 되면 오히려 바닥에 잠겼던 흙탕물이 일어 물을 먹을 수 없다. 이처럼 우리 인간의 두뇌란 이 우주에 비해서 크기를 봐도 아주 작은 것이다. 이 작은 두뇌로 아무리 따지고 생각을 하여 머리를 굴리게 되면 거기 흙탕물만 일뿐이다. 번뇌의 흙탕물만이…. 그래서 아무것도 잡히지 않고 또 보이지 않는 것이다.


말하자면 지나친 생각의 흙탕물 때문에 영감이 다 부서져 버린다는 소리다. 물론 어느 정도의 이론적인 탐구는 필요하다. 그러나 이것이 지나칠 때는, 즉 지식이 넘칠 때는 이 지식이 오히려 화근이 된다. 그 다음은 무조건 가는 것이다. 막무가내로 말이다. 그러면 두려움은 결코 생기지 않는다.


▲석지현 스님
두려움과 회의감은 배에 틈이 생긴 것과 같다. 이 틈새로 바닷물이 들어오게 되면 배는 마침내 가라앉고 만다. 그러나 잠수함은 바다 속으로 가는대도 가라앉지 않는다. 물이 새는 틈이 없기 때문이다. 신심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