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구불교 법사들의 회의

기자명 법보신문

“서양불교, 한국기독교 선교를 막아내다”

불교, 아시아서 서구사회로 전래
서구불교, 이젠 동양불교에 영향
서로 교류하며 새로운 문화 형성

 

 

▲수미런던 법사와 서구의 불교 법사들이 새로운 환경에서의 전법과 포교를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6월 초, 다행스럽게도 나는 미국과 캐나다,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200여명의 불교 법사들이 참여하는 회의에 함께하게 되었다. 회의 주간 동안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그러한 경험들은 나를 변화시켰다. 나는 이러한 경험들에 관한 내용을 주제로 칼럼을 쓰고자 한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어떻게 보존하고 있으며 수행을 어떻게 전(傳)할 것인가에 대해 서구의 법사들은 어떤 내용에 대해 토론을 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의 기간 중 어느 날 오후 시간에 홍법(弘法)에 관한 깊이(深)와 넓이(幅)의 균형점에 대해 탐색하는 기회가 마련됐다. ‘어떻게 새로운 환경에서 깊이를 잃지 않으면서 불법(佛法)을 보존하고 포교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와 함께 유명 법사들로 구성된 토론자단의 패널 토론이 시작되었다. 나는 ‘넓이’의 측면에 대해 탐색하게 되었고 이 글에서 나의 관점을 밝히고자 한다.


얼마 전, 내가 생활하면서 일하고 있는 듀크 대학의 불자 학생들과 함께 ‘티베트 사자의 서’를 소재로 한 영화를 보고 있었다. 그 영화는 라다크 지방 촌로(村老)의 죽음, 그의 가족, 경전에 기술된 방식대로 의식(儀式)을 집전하는 라마승에 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는 다큐멘터리였다. 영화가 어느 시점에 이르자 나는 영화의 내용을 영적인 추구보다는 문화적인 탐구로 이해하면서 문화인류학적인 관점을 견지하고 있었다. 그런 티베트의 관례가 불교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신뢰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문화의 괴리감이 너무나도 커 극단적으로 낯설게 다가올 것 이라는 우려가 엄습했다. 만약 옥스퍼드 대학의 ‘에번스 웬츠’ 박사가 84년 전 이 책을 번역해서 우리들에게 친숙하도록 하지 않았다면, 기실 그것은 우리의 문화 테두리에서 아주 동떨어진 문화로 다가왔을 것이다.

 

마치 남편의 화장(火葬) 때 아내도 산채로 화장하는 힌두의 풍습처럼 말이다. 50여년 전 아시아의 전통적인 불교와 서양의 영적인 열망 사이에 놓여있었던 엄청난 간극을 이해하게 된 것은 바로 그 때였다. 그런 점에서 다르마(法)의 광채가 동양에서 서양으로 옮겨왔고 좀 더 대담하게 서술하자면 다르마의 깊이도 함께 전승된 것은 대단히 놀라운 일이다. 아시아의 문화적인 배경을 가진 ‘불교’를 받아들여 이를 어떻게든 서구인들이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엄청난 도전이었다는 사실은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는 대목이다. 좀 더 전통을 중시하는 출가 수행자들에 의해 현대화를 추구하는 사람과 개혁가 등으로 평가되는 아시아 출신 스승들의 전법 활동과 불교 속에서 자신의 영적인 추구에 유용한 점을 찾고자 기꺼이 뛰어든 서양인들의 호기심과 열정에 의해 그것은 가능했으리라.


나는 나의 스승들과 2차 세계대전 후 1946년에서 196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들이 보여 준 용기에 대해 오랫동안 경외감을 갖고 있었다. 그들의 시대에 불교는 미국문화의 주류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상황이었고 따라서 큰 변화를 가져오는 가르침을 받아들이게 됨에 따라 권위와 여성의 지위, 권력, 계층, 성별 등과 관련된 수많은 문화적 쟁점들과 갈등해야 했다는 사실을 나는 되새겨 보았다. 베이비붐 세대 이후 태어난 우리들은 이전 세대들의 실책과 혼란, 불충분한 노력 등에 대해 비판할 때는 이런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불교 전래 이후 그 다음은 불교적인 가르침과 공동체, 수행의 형태, 창조적인 시도, 불교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에 대해서조차도 엄청난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첫 번째 세대뿐만 아니라 그들의 선례를 이어가는 우리 세대조차도 이런 탐구를 이어가고 있다. 오늘날에는 수감자나 임종을 맞이하는 사람들, 노숙자, 자살 상담 서비스, 난민, 타국에서 온 소외 집단 등을 위해서 일하는 동료들이 있다. 환경과 사회정의, 예술, 음악, 대중문화, 알코올 중독, 섭식(攝食) 장애, 기독교, 대중매체, 오토바이 정비(1970년대 유명한 책 ‘선(禪)과 모터사이클 관리술’에서 인용) 등 아주 특별한 분야와 불교의 연관성을 찾아내고 있는 동료들도 있다.


며칠 전에 있었던 사전 미팅에서 젊은 세대 법사들은 선배 법사들에게 세 가지 항목의 성명을 제시했다. 내가 보기엔 그 중 한 항목은 향후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를 아주 정확하고 멋지게 표현하고 있었다.


“감사와 책임감의 마음으로, 당신들의 개척 정신을 이어받아 우리는 다르마를 변용시킬 것입니다. 외형적으로 우리가 가르치는 방식은 당신들과는 달라 보일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계속해서 우리의 가르침을 통해 불법의 수승한 진리가 구현되도록 할 것입니다.”


‘피자 효과’란 용어를 들어 본 적이 있는가? 학계에 몸담고 있는 여러분들에게는 이 용어는 좀 더 정확하게 ‘해석학적인 피드백 회로’로 알려져 있다. 본래는 이탈리아 요리였는데 미국인들에 의해 재해석되고 변형되었고 이어서 이탈리아로 역수출 되었다는 것이 ‘피자 효과’의 주된 내용이다. 오늘날 로마에 가면 미국계 체인인 ‘도미노 피자’나 ‘피자헛’ 전문점을 발견할 수 있다. 불교에서 불교식 피자 효과 현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아마도 놀라게 될 것이다. 결코 비하하는 말은 아니다. 즉 서구에서 변형된 불교는 이제 아시아로 재유입 되고 있고 아시아 불교 양식에서도 주목할 만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햄프셔 대학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한국인 승려 혜민 스님은 최근 아주 훌륭한 논문을 발표했다. 주제는 ‘서구로부터의 역류 : 현대 한국 사회에 대두된 벽안(碧眼)의 선사, 위빠사나 수행, 불교심리요법’이다. 요지는 다음과 같다.


“현대 한국 불교계에 놀랍지만 그러나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은 미국과 유럽 불교가 한국 불교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1989년에서 2009년 사이에, 한국 언론을 통해 한국인들은 한국사찰에서 수행하고 있는 훌륭한 교육을 받은 벽안의 수행자들을 목격했고 ‘틱낫한’과 ‘잭 콘필드’ 같은 작가들에 의해 최초에는 서구 독자를 위해 집필되었고 이어 한국어로 번역된 새로운 베스트셀러가 등장하고 있는 것도 지켜보았다. 서구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가르침은 간화선에 대한 대안으로서 위빠사나에 대한 관심을 순식간에 증폭시켰고 새로운 학문 분야로서 ‘불교심리요법’의 출현을 가능하게 했다. 서구로부터의 국경을 초월한 새로운 영향의 물결은 한국인들의 불교수행 형태뿐만 아니라 한국불교역사 및 정체성에 대한 인식도 바꾸어 놓았다. 게다가 서구에서 불교가 누리고 있는 명성은 타종교, 특히 한국 복음주의기독교로부터 불교를 방어하는데 있어서 수사적 효과를 줄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무척 매력적인 내용이 아닌가? 서구의 불교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우리는 이제 범세계적인 차원에서 현재 여기서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아야 한다. 지금으로부터 20년 후 새로운 형태의 한국형 위빠사나 심리요법이 어떻게든 외국으로 재진입 한다고 해도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상당수의 청중들은 서구의 불교가 아시아 불교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 자체에 대해 매우 놀라워했다는 사실을 주목하고자 한다. 회의에 참가했던 한국불교의 한 여성 학자는 나의 풍부한 열정을 인정하면서 혜민 스님도 동의했던 몇 가지 사실을 추가해서 제시했다. 첫 번째로 서양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관계없이 한국불교가 독자적으로 계속해서 변화해가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서양의 불교는 한국불교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고 그런 관점에서 볼 때 혜민 스님의 글을 오해하지 않아야 된다는 것이었다.

 

▲수미런던 지도법사

그럼에도 서구에 있는 우리는 세계적인 관점을 견지해야 하고 고립되어 일을 하고 있다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혜민 스님의 글을 통해 인식하고 있다. 
 

수미런던 듀크 불교공동체 지도법사 simplysumi@gmail.com 

번역 백영일 위원 yipaik@wooribank.com


다음은 영어원고 전문

 

The Western Buddhist Teachers Council


In early June, I was lucky enough to attend a conference of about 200 Buddhist teachers who teach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Europe. The experience of that week was so rich and transformative for me that I would like to write about it over the next few columns. You’ll get a good idea of what kinds of discussions teachers in the West are having about how to preserve, practice, and transmit the Buddha’s teachings.


One afternoon of the conference was dedicated to exploring the balance of depth and breadth. A panel of well-known Buddhist teachers opened by looking at how to “preserve and adapt the Dharma in new conditions without losing depth.” I was asked to address the issue of breadth. I would like to share my remarks with you, here.


“Not long ago I was watching a film about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with the Buddhist students at Duke University, where I live and work. Much of the documentary follows the story of the death of one Ladakhi village elder, his family, and the local lama’s progression through the rituals prescribed in the Book. At some point, I stepped into an anthropologist’s perspective, watching the film as a cultural rather than spiritual exploration. And it suddenly struck me how incredibly and utterly foreign this practice is for those unfamiliar with Buddhism. If Evenz-Wentz hadn’t translated the text into English 84 years ago, making these rituals familiar to us today, we would find them, in truth, as far removed from our cultural framework as that of, say, the Hindu practice of suttee [widow burning].


“It was at that moment that I understood the immense gulf that, fifty or so years ago, lay between the traditional Buddhisms of Asia and Western spiritual aspirations. From that perspective, it is astonishing that not just the spark of the Dharma was somehow translated from East to West but, if I could be so bold, the depth of Dharma was transmitted, as well. I don’t think we can underestimate the enormous challenge it was to take the deeply cultural Buddhisms of Asia and somehow make that accessible to the West. That was made possible by the outstretched hands of Asian teachers who themselves were thought of as modernizers and reformers by their more traditional monastic peers and the curiosity and passion of Westerners willing to plunge themselves into seeing what, in this religion, could be useful to their spiritual path.


“I have long stood in awe at the courage of my teachers and others in the baby boom generation [those born after WWII, from 1946 to 1964]. I try to remember that in their time Buddhism was far outside mainstream American culture and that as they received profound teachings they had to grapple with enormous cultural issues around authority, the place of women, power, hierarchy, sexuality and more. In that regard, those of us born after the baby boomers should bear this in mind when we are critical of the elder generation’s missteps, confusion, and incomplete efforts. [Laughter.] And given that Buddhism came to the West by way of monastics for the most part, is it any wonder that the initial scope of Buddhism in the West has been rather monastic-like, with the primary form of institutional expression being the silent meditation retreat center?


“So, after this initial great and stunning translation, what next? We are beginning to see a tremendous diversification of models of teaching, of community, of styles of practice, of creative exploration, and even of the conventional definition of Buddhism. Both the first generation as well as those of us following in their footsteps are carrying out these explorations. Today there are those of us working with prisoners, the dying, the homeless, on suicide hotlines, with refugees, with marginalized groups in other countries; teaching in the medical world, in public schools, at yoga centers, in universities, with corporations, in the tech world; and creating connections between Buddhist teachings and the environment, social justice, art, music, pop culture, alcoholism, eating disorders, Christianity, social media, and of course, motorcycle maintenance [refers to a popular book from the 1970s, Zen and the Art of Motorcycle Maintenance]. [Laughter.]


“In the preconference meeting a few days ago, the younger generation of teachers presented three statements to the older generation. One of these expresses beautifully, I think, what’s to come:


And in the spirit of gratitude and responsibility, and following in your pioneering spirit, we will transform the Dharma. In outward expression the way we teach may not look like yours; yet we will be continually working in our teaching to honor the deepest truth of the Buddhadharma.


“I don’t know if you’ve heard of the term “the Pizza Effect.” For those of you in academia, it’s more properly known as the “hermeneutical feedback loop.” The idea here is that somehow Italian cuisine was reinterpreted by Americans and then exported back to Italy such that, if you’re in Rome today you just might come across the American chains Domino’s Pizza or Pizza Hut. It might surprise you to hear that Buddhism is having it’s own Pizza Effect ? and I don’t mean this in a demeaning way. That is, the translations of Buddhism in the West are now being introduced back to Asia, and these exports are having a noticeable impact on changing the way Buddhism is done there.


“A wonderful article was recently published by the Korean monk Haemin Sunim, a professor of Buddhist Studies at Hampshire College.


“The title is: Countercurrents from the West: “Blue-Eyed” Zen Masters, Vipassan? Meditation, and Buddhist Psychotherapy in Contemporary Korea[1]


“And here’s what his abstract says:


One surprising and yet relatively unknown aspect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i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American and European Buddhism. Between 1989 and 2009, South Koreans witnessed well-educated “blue-eyed” monastic residents via the Korean media, and the emergence of new bestsellers by authors like Thich Nhat Hahn and Jack Kornfield, written initially for Western audiences but since translated into Korean. The new teachings from the West have inspired a sudden growth of interest in vipassan? meditation as an “alternative” to Kanhwa S?n practice, and the emergence of a new academic field: Buddhist psychotherapy. This new wave of transnational influence from the West has changed not only the way Koreans practice Buddhism but also how they perceive Buddhist history and their own identities. In addition, the perceived “prestige” of Buddhism in the West has provided a new rhetorical strategy to defend Buddhism against other religions, particularly Korean evangelical Christianity.


“Fascinating, isn’t it? So when we think about the breadth of Buddhism in the West, we really now must think globally, that the work we’re doing here has far-reaching implications. And, I wouldn’t be surprised if twenty years from now a new form of Korean-vipassana-psychotherapy somehow comes back to the shores of other countries. We are entering a whole new era in Buddhism, a new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that offers promise and accessibility to a great diversity of people.”


Let me say that a number of people in the audience were very surprised to hear that Buddhism in the West was having any sort of impact on Buddhism in Asia. One female scholar of Korean Buddhism at the conference, however, noted my abundant enthusiasm and offered an additional perspective, which Haemin Sunim agrees with. First, that Korean Buddhism continues to change on its own, regardless of what’s happening in the West. Second, that Buddhism in the West affects some but not all of Korean Buddhism and I should not mistake the article as saying this (it doesn’t). Nonetheless, Haemin Sunim’s article reminded us here in the West that we should keep a global perspective in mind and not assume we are doing what we do in isolation.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