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의라도 ‘유색인종’이란 말을 쓰지마라”

기자명 법보신문

서구법사들에게 금기해야 할 질문(?)

서구유럽 법사들 대부분이 백인이기 때문에
유색인종, 동성애 등 차별적인 단어들 증오

 

 

▲성도성지인 인도의 보드가야 대탑에서 수행 중인 유럽의 청년 수행자.

 


서구유럽의 법사 40여명과 사흘 동안 함께 회의를 했다. 그들은 대부분 45세 이하의 젊은이였다. 어떻게 보면 대다수 미국 불교법사들과 비교해 그리 젊다고 할 수도 없었지만, 그들은 20~40년 차이의 후배들이다. 함께 한 시간 동안, 우리들은 주로 ‘다양성’이란 주제에 관해 집중해 논의했다. 수십 년 동안 대부분의 서구 불교계는 주로 백인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대개 백인들은 중류 또는 상류층에 속해 있었다.


지난 10년간 많은 법사들은 다른 공동체에 접근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해 왔다. 그 대상이 된 사람들을 피부가 백색이 아닌 다른 색이라는 의미의 ‘유색인종’이라고 부르도록 하면 좋을 듯 하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일부 서구불자공동체는 흑인, 아시아인, 때로는 히스패닉계 불자들의 동참으로 인해 구성 성향이 정말로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더군다나 많은 법사들도 다양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서 문화와 민족성, 성별, 성(性)적 특징, 사회경제적 계층 등에 대해 좀 더 민감해지게 되었다. 특히 젊은 법사들은 다양성에 대해 더욱 집중했다. 하지만, 내가 여기서 소개하고자 하는 대화를 통해 발견하게 되겠지만 젊은 세대들조차도 그것에 대한 심각한 예민함과 고통, 오해, 이슈 등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가 함께한 마지막 날 밤이 깊어가고 있었다. 우리는 원을 그리며 모였다. 나는 너무 피곤해서 꾸벅꾸벅 졸면서 ‘다양성’에 대한 토론에 멍하니 주의를 기울이고 있었다. 그때 한 백인 법사가 천천히 말을 시작했다. 나는 그를 대학에서 만난 이후 지속적으로 연락을 하면서 지내왔는데 그는 바로 내 앞에 앉아 있었다. 그의 이름은 ‘애덤’(Adam)이다. 요점을 말하자면 그는 자신을 ‘인간’이라기보다는 ‘생명체’로 생각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생명체도 명상센터에 오는 것을 환영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다양성에 대해서 생각할 때는 모든 생명체를 염두에 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즉각 또 다른 하버드대 대학원생인 백인 법사가 “‘애덤’이 백인남자라는 그 유일한 이유 때문에 스스로를 백인남자로서가 아니라 그런 ‘정체성을 넘어섰다’(beyond identity : 문화간의 대화에서 주체적 경험과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관점의 전환을 추구하는 현상, 역자 주)라고 말 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게 되었다”고 반박했다. 그 하버드대학 출신 법사는 ‘애덤’을 강력하게 비난하면서 자신의 지적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라고 요구했다. 그러자 동성애자인 또 다른 백인남자도 똑 같은 주장을 펼쳤다. 이 두 남자는 자신들의 관점을 강하게, 열성적으로 내세웠다. 그러자 또 다른 동성애자인 세번째 백인 남성법사가 다른 존재들(아마도 동물들을 염두에 둔 것 같음)에 대해 우선순위를 매김으로써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 등의 문제를 하찮게 다룬다고 ‘애덤’을 비난했다.


‘애덤’은 “자신의 삶 내내 스스로를 인간이라기보다는 ‘생명체’라고 생각해왔다”고 되풀이해 말하면서 스스로를 정당화했다. 그런 뒤 부연해 설명했다.


“내가 생명체라고 말할 때 그것은 우리 지구라는 행성 전체를 뜻하는 것이다. 인류가 타인에게 손상을 주는 것에 대해서 당신이 토론하고자 한다면, 그때 나는 자동차를 달리게 하고자 화석연료를 태우는 우리 북미대륙 거주자들의 특권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우리가 배출한 탄소로 인해 인도 어느 지역은 심각한 가뭄을 겪게 된다. 그곳 사람들은 물이 없어서 죽어가고 있다.”


나는 ‘애덤’의 이러한 견해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하고 또한 매우 심오하다고 여겼다. 그는 미국에서의 인종, 성적(性的) 특질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어떤 선택으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되는 다른 나라 주민들, 다른 생명체의 멸종에 대해서도 생각이 미칠 수 있도록 ‘다양성’에 대한 개념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모두가 다양성의 이슈에 대해 과민해져 있는 상태였기에 그의 발언 시점은 불행히도 매우 끔찍하리만큼 적당하지 못했던 것이다. 우리는 그 날 흑인이나 여자, 동성애자이기에 받고 있는 고통과, 불교공동체마저도 인종차별주의자, 여성 혐오자, 동성애 혐오자가 될 수 있는 미묘한 형태들에 대해 토론하면서 보냈다. 그래서 그 그룹의 젊은 법사들 중 일부는 ‘애덤’이 말하는 바를 받아들일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긴 논쟁만 이어졌다. 나는 어느 순간 참견해 대화에 끼어들었다.


“글세, ‘애덤’! 내가 보기에는 네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하는 방법에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해. 왜냐하면 내가 너의 말을 들으면서 생각하게 되었는데, 만약 너의 말을 듣는 사람들이 너의 광범위한 환경보호활동에 대해서 혹은 자연에 대한 너의 깊은 인식에 대해,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너의 봉사 활동에 대해 미리 알고 있었다면 그렇게 말하는 것이 이해가 되었을 거야. 그러나 그런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 네가 하는 말이 오해가 될 소지가 충분히 있지 않을까.”


‘애덤’은 계속 공격을 받았고 그 중 한 명이 사과를 요구하자, ‘애덤’은 정말로 진심으로 사죄를 했다. 그럼에도 그 방을 가득 메우고 있는 긴장감은 그다지 누그러지지 않았다. 그룹 내의 역학관계에서 이상했던 부분 중의 하나는 유색 인종 법사들과 나를 제외한 여성들은 오히려 침묵을 지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다양성 교육을 받았던 백인 남성법사들은 그 회의에 참석한 소수자들을 방어하고 보호하고 그들을 옹호해야 한다는 일종의 의무감을 느끼고 있는 것 같았다. 일부이기는 하나 이런 행동형태는 매우 감지하기 어려운 미묘한 심리적 차원에서 그들이 갖고 있는 백인 남성이라는 죄의식에서 기인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논쟁 직전에, ‘도온’(Dawn, 가명)이라는 백인 여성법사 또한 치명적인 상처를 받았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다양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고 그녀는 모두를 상대로 질문을 던졌다.


“만약 괜찮다면, 대부분 백인들로 구성된 불교공동체에 유색인종 법사 여러분이 참여해온 것이 어떠했는지 여러분들에게 듣고 싶어요. 저에게 당신들의 얘기를 해줄 수 있나요?”


한 동성애자 백인법사가 즉각 뛰어들어 다소 강경한 어조로 말했다. “그건 틀렸어. 유색인종에 관련된 이런 일을 질문해서는 안돼. 그 이야기를 함으로 인해 그들은 다시금 정신적 충격을 입게 되거든.”


‘도온’은 공포에 떨었고 즉각 사과했다. 법사 그룹은 매우 숙연해졌고 ‘도온’은 수치심을 느끼게 되었다. 미팅이 끝나고 난 뒤 그녀는 머리를 무릎 사이에 처박고 있었다. 눈에 눈물이 고인 채로 바닥에 앉아 있었다. 한 흑인 비구니와 공통의 친구 두 명이 그녀 옆에서 무릎을 꿇고 앉았다.


“괜찮아, 네가 선의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었을 거야.”


그들은 그녀를 안심시키기 위해 위로했다. 그녀는 내일 자기가 다시 사과를 해야 하는지 물었다. 법사 중 한 사람이 ‘도온’에게 너는 이미 충분히 사과했다고 말해주었다. 우리는 웃음을 터뜨렸다. 이제는 잠자리에 들 시간이 되었을 만큼 시간이 많이 흘렀다.

 

불교법사공동체 내에서 마저, 마음(心)을 깨닫고자 수많은 시간을 보냈을 뿐만 아니라 무아(無我)에 대해 다른 사람들을 지도해 왔던 우리들마저 다양성과 관련해 많은 혼란과 상처, 맹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목격하게 되니, 나는 마음이 아팠다.


▲수미런던 지도법사
그것이 비록 고통스러웠지만 진솔한 사고의 공유와 상처받기 쉬운 면들이 우리에게 어떤 수준의 친밀감과 신뢰 그리고 이해를 가져다주었는가를 다시금 되새겼다.
 

수미런던 듀크 불교공동체 지도법사 simplysumi@gmail.com 
번역 백영일 위원 yipaik@wooribank.com


다음은 영어원고 전문.

 

Dogs, Drought and Diversity

 

During the first three days of the conference, forty or so “Next Generation” Buddhist teachers met. We were all roughly age 45 or younger, and though from one perspective we are not so young, compared to the majority of Buddhist teachers in America, we are junior by 20-40 years. During our time together, we focused primarily on issues of diversity. That is, for many decades most of the Buddhist communities among Westerners have been primarily white, and of those white people, primarily middle to upper class. In the past decade, however, many teachers have been working hard to reach out to different communities, which here we call “people of color,” meaning that the skin is a color other than white. As a result, some Western Buddhist communities are indeed becoming more diverse, with black, Asian, and from time to time Hispanic students. In addition, many teachers have gone through diversity training, learning to become more sensitive to culture, ethnicity, gender, sexuality, and social-economic class. The younger generation of teachers has been especially dedicated to diversity, but as you will see from the conversation I present to you here, even in our generation we have deep sensitivities, pains, misunderstandings, and issues.

 

It was getting late in the evening on our last night together. We were gathered in a circle. I was so tired that I was nearly nodding off, vaguely paying attention to the discussion on diversity. Then a white teacher, who is someone I’ve known since we met in college and who was sitting right in front of me, began to speak slowly. I’ll call him Adam. He said in essence that he didn’t think of himself as a human being but as a “living thing.” Then he said that he wishes to welcome other beings into meditation centers, not just human beings, and that when he thinks of diversity, he thinks of all living things.

 

Immediately, another white Buddhist teacher, who is also a graduate student at Harvard, responded that only because Adam was a white male did he have the privilege of saying that he (Adam) did not think of himself as a white male and was beyond identity. The Harvard guy chastised Adam and asked him to reflect on this. Then another white man, who also identifies as gay, said the same thing. Both of these men stated their views forcefully, passionately. Then a third white male teacher, also gay, charged Adam with trivializing the problems of racism and homophobia by prioritizing other beings (animals, he assumed). He said, “Putting us (gays and non-whites) on the same level as dogs, this is so demeaning, like civil unions in place of marriage. How can you say this?” His voice trembled with anger and hurt, and he had tears in his eyes.

 

Adam defended himself by repeating that first of all, all his life he has not identified himself as a human being but as a living thing. Then he said, “When I talk about living things, I mean our whole planet. If you want to talk about how human beings hurt other human beings, then I think about our North American privilege of burning fossil fuels to run our cars. Our carbon output is causing a place in India, where I lived and worked for three years among the destitute, to have a severe drought. The people there have no water and are dying.”

 

I thought Adam’s point was incredibly important and quite profound. He was trying to expand our definition of diversity so that we were not just thinking about race and sexuality in America but about the impact of our choices on those in other countries and on the extinction of species. But unfortunately his timing was just awful because others were in a heightened state of sensitivity about diversity issues. We had just spent the day looking at the pain of being black, of being a woman, of being gay, and the subtle ways in which even Buddhist communities can be racist, misogynist, and homophobic. As such, some of the young teachers in the circle just couldn’t hear what Adam was saying. There was a long back and forth. At one point I interjected and said, “Well Adam, I think the way you’ve communicated what you’re saying was problematic because as I was listening I was thinking, yes, if someone listening knows about your extensive environmental activism, your deep appreciation of nature, and your service to the poor, what you’re saying makes sense. But without that knowledge, what you said could easily be misinterpreted.”

 

Poor Adam continued to get attacked and one of the men demanded an apology, which Adam gave quite sincerely but didn’t seem to diffuse the tension in the room much. One of the strange parts of the group dynamic was that the teachers of color present, as well the women (aside from me), remained silent. It appeared to me that the white male teachers who had done diversity training felt a sense of duty to defend and protect the minorities present, to be their advocate. I sensed that at a very subtle level this was partly driven by the guilt of being a white male, but I don’t think they could see this aspect in themselves.

 

Just before this argument, one of the white female teachers (I’ll call “Dawn”) also got shut down. Again we were talking about diversity and she asked everyone, “If it is comfortable, I would be really interested to hear from some of you teachers of color about what it has been like to be in mostly-white Buddhist communities. Would you share some of your stories?” A gay white teacher jumped right in and said, in a rather strong way, “No, you should not ask this of people of color. Telling their story can be re-traumatizing.” Dawn was horrified and immediately apologized. The circle of teachers became very quiet and Dawn was left to feel shame. After the meeting ended, she sat on the floor, her head buried in her knees and in tears. One black nun and two mutual friends kneeled down by her, trying to reassure her that she was okay, it was all right, everyone knew that she had good intentions. She asked if she should apologize again tomorrow. One of the teachers said Dawn had already done so like six times. I said, “It’s just like a woman to apologize too much.” We laughed. Then, it was clearly time for bed.

 

It was painful for me to see that even in a community of Buddhist teachers, those of us who have spent hundreds of hours trying to understand our minds and who teach others about the emptiness of self, ourselves had a great deal of confusion, wounds, and blind spots around diversity. Painful as it was, though, this honest sharing and vulnerability brought our group to a level of intimacy, trust, and understanding that will endure in our lifetime together as teachers of the Buddhist path.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