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로 참회

기자명 법보신문

“진정한 참회는 도반들 앞에 홀로 섰을때 가능”

27년전 여성 불자들과의 스캔들로 문제 일으킨 법사

공동체 불자들 앞에서 눈물 글썽이며 참회의 절 올려

 

 

▲서구의 법사들이 세대간 토론을 주제로 대화하고 있다.

 

 

서구유럽 법사들과 함께 한 회의에 참여한 법사들 중 한 사람은 법사로서의 뛰어난 자질과 스캔들 때문에 특히 유명했다. 그는 1970년대와 80년대 초 대규모 선(禪) 센터의 선원장이었다. 그런데 그는 센터 한 구성원의 아내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사실이 드러나 1984년 사직했다. 그 센터의 다른 몇몇 여성들도 과거 몇 년 동안 이어져 왔던 그와의 관계를 폭로하고 나섰다. 그는 센터를 떠났고 이후 스스로 새로운 선센터(zen center) 두 곳을 설립했다. 그는 그 이후 수십 년간 첫 번째 센터는 물론 더 넓게는 서구불교공동체로부터도 소원해졌다. 하지만 27년이란 세월이 흘렀고 이제는 관계를 재정립할 때가 된 것처럼 보였다.


이것이 그가 동료들의 초청으로 지난 6월 서구불자회의에 참석한 까닭이다. 그를 초청했던 동료는 스캔들이 발생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그 센터의 선원장이 된 법사였다. 수 년 동안 논란이 되고 있는 그 법사에 대한 글을 나는 읽어왔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그를 직접 만난 것은 현실의 조그마한 부분에 불과했다. 나보다 마흔 살 가량 나이가 더 많은 그 법사는 매우 키가 크고 엄격한 인상이었다. 일본 선불교 전통의 검정색 법복을 걸치고 있었다.


회의 기간 중 어느 날 아침, 젊은 법사들은 ‘세대간 토론’을 하기 위해 선배 법사들과 만났다. 우리들은 두 명의 선배 그리고 세 명의 후배 법사 등 다섯 명으로 구성된 소그룹으로 분화되었다. 나는 바로 그 선수행 법사와 금강불교 계열의 법사가 포함된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


토론 과정에서 그 선수행 법사가 “스승과 제자의 차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 말을 들은 나는 그 질문에 대해 사유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해 금강불교 출신의 선배 법사는 매우 흥미 있어 했고 우리는 그 주제에 대해 매우 활기찬 토론에 빠져들었다. 스승이 됨으로써 나는 오히려 훨씬 더 훌륭한 학생이 될 수 있었고 스승으로서 오히려 너무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서 결국 더 유익함을 얻는 사람이 스승인 나인지 아니면 학생인지 불분명하다고 나는 주장했다. 선배 법사들도 이에 동의했다. 이어서 우리는 자기중심주의와 학생으로부터의 찬사 받기에 대해 이야기했다. 금강불교 법사에게 ‘칭찬’이 우리의 자만심을 부풀리도록 우리가 내버려 둘 때를 어떻게 알게 되는가에 관해 질문했다. 타이어가 ‘펑크’ 나는 것과 같은 나쁜 일이 대개 일어나게 된다고 그는 답했다. 선수행 법사는 재미있어 했다.


이어서 우리는 학생들과 얼마나 친밀하게 지내는가에 대해서도 토론을 했다. 그 선수행 법사는 자기는 학생들과는 전혀 사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그들의 삶에 대해 충고하는 것을 거부하며 실제 학생들과의 개인적인 우정 관계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만약 친구가 학생이 된다면 끔찍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강불교 법사는 정반대의 주장을 폈다. 전이(轉移) 뿐만 아니라 역전이(逆轉移) 마저도 도움이 되고 타인을 돕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나는 대꾸했다.


“학생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확연히 구분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방법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방식은 각기 여전히 훌륭한 학생을 길러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면에서 나는 안도가 됩니다. 왜냐하면 아마도 바른 방법이 꼭 한 가지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화 도중 선수행 법사는 자기의 손을 인자한 할아버지와 같은 태도로, 한번은 내 무릎 위에, 또 한번은 내 어깨 위에 얹었다. 하지만 그의 과거 이력에 대해 알고 있는 나로서는 매우 불쾌할 뿐이었다.


그 뒤 대규모 그룹 토론으로 되돌아갔을 때, 그 선수행 법사는 내게 자신이 ‘선배 법사’라고 말했다. 나는 대꾸했다.


“네, 알고 있습니다. 전설적으로 유명하시더군요.(‘전설적으로 유명하다’라고 말하는 것이 가장 정중한 표현으로 여겼다)”


그는 놀라워하는 것 같았고 내가 그의 과거에 대해 알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스스로 의식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이틀 후 200여명 가량의 법사들이 ‘선(線) 통과하기’(세력 재편성, Power Shuffle) 실습에 참가하기 위해 큰 강당에 모였다.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억측과 편견을 깨뜨리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에 이 연습의 목적이 있다. 그 실습은 침묵 속에서 진행되었다. 가느다란 청색의 테이프 라인이 긴 강당의 중앙을 따라 놓여있었다. 모든 법사들이 그 라인의 한 편에 모였고 반대편의 빈 공간과 마주하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나는 라인의 끝 부근에, 그 선배 선수행 법사 옆에 자리하게 되었다. 진행자가 통과하기 기준 한 가지를 외쳤다.


“만약 당신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흑인, 라틴 아메리카계 또는 혼혈이면 선을 통과하세요.” 다양한 피부색을 가진 소수의 법사들이 그 선을 넘어갔고 되돌아서서 다수의 백인 법사들을 응시했다. 마주한 백인 법사들도 그들을 보았다. 그들은 서로를 마주보았고 우리는 인종의 정체성 뒤편에 깔려있는 중압감과 역사성을 충분히 느낄 수가 있었다. 선을 통과하도록 하는 질문은 계속되었다. 여성들, 동성애자, 참전용사,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한 사람들, 폭력 목격자 등등, 진행자가 이어서 소리쳤다.


“법사로서 타인에게 위해(危害)를 끼치는 행위를 했던 경험이 있으면 선을 통과하세요.”


다수의 법사들이 그 선을 통과했다. 하지만 그 선배 선수행 법사는 결백한 편에 남아 있었다. 나는 심히 분노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생각했다.


“이 사람은 부정(否定)속에서 사는구나. 깨어있음이 선수행의 모든 것인데 이렇게도 자각을 못하다니. 이 사람은 가망이 없구나.”


이 실습을 시작한지 약 40분 후, 우리는 5명씩 소그룹을 구성해 추가로 토론을 벌였다. 이윽고 법사 200여명 전체가 다시 모였다. 첫 번째 사람의 발언이 끝난 후 우리는 획기적인 순간을 맞이했다. 그 선배 선수행 법사가 일어섰다. 그는 말했다.


“내가 속한 공동체에 어떤 위해(危害)를 끼치는 행위를 했는가라는 질문이 나왔을 때, 나는 그 선을 건너가지 않았습니다. 내가 잘못했습니다. 선을 통과했어야 했는데…. 나는 나의 학생들에게 해를 끼쳤을 뿐만 아니라 나의 종파에도 손상을 입혔습니다. 미안합니다.”


그는 눈물을 글썽이며 참회의 절을 했다. 함께 한 모든 사람들이 “알겠습니다”라고 말하면서 답례의 절을 하거나 또는 손을 위로 올려 사랑 표시를 만들어 보이기도 했다. 젊은 선 수행 법사이기도 한 나의 절친한 친구가 바로 내 옆에 있었다. 우리는 너무도 놀란 나머지 입을 크게 벌리고서 서로를 쳐다보았다.


토론이 끝나자 나는 곧장 그 선배 선수행 법사에게 다가갔다. 다른 종파의 선배 법사가 그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었다. 나는 이 법사를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지난 며칠 사이에 그는 짜증스러운 것들을 말했고 그것은 내가 보기에는 내재된 냉소주의에서 기인하는 것 같았다. 이 법사는 그 선수행 법사에게 절을 하고 말했다.


“이만큼의 세월 동안 이 짐을 지고 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상상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외 동정할만한 일들을 포함해서…. 그 선배 선수행 법사는 눈물을 글썽 그렸다. 법사가 하는 말을 되새기면서 속으로 생각했다.


“이 법사로 인해 고통을 당했던 그 여성들은 어떻게 되지? 그들의 고통은?”

되돌아보면 이 법사는 용서를 해주고자 노력했었던 것이고 그것에 대해 나도 충분히 호의적이다. 하지만 그 법사는 이전 며칠 사이 지속적으로 친절한 행위를 보여주었던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의 용서는 앞뒤가 맞지 않고 진정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도 아니라고 나는 느꼈다. 내가 틀릴 수도 있지만 말이다.

그 법사가 자리를 떠나자 나는 선수행 법사에게 절을 하고 말했다.


“당신이 선을 건너지 않아 나는 처음에는 분노했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 앞에서 그 잘못된 행위를 시인하였다는 사실은 매우 용기 있는 일이고 허물을 참회하는 것이 됩니다. 다른 사람들과 무리를 지어 선을 건너가서 비록 키가 크긴 하지만 그들 사이에 숨어버리는 것보다 오히려 이렇게 모두 앞에서 참회하는 것이 더 용기 있는 일입니다.”


그는 내게 절하면서 “고맙다”고 했다.


그 회의의 끝 무렵 며칠 사이 그 법사가 공동체 내에서 편안해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었다. 다른 사람들도 분명 이 법사에 대해 더 편안하게 느끼고 있었다. 법사들의 모임은 치유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중요하고 역사적인 순간이 되었다.

 

수미런던 듀크 불교공동체 지도법사 simplysumi@gmail.com 
번역 백영일 위원 yipaik@wooribank.com


 


다음은 영어원고 전문.  

 

“I’m Sorry”

 

Of the many well-known Buddhist teachers attending the conference, one was especially famous for both his excellence as a teacher and for a scandal. This teacher had been the abbot of a large Zen center in the 1970s and early 80s. He resigned in 1984 when it came out that he had been having an affair with the wife of another member of the center. Several other women from the center stepped forward alleging affairs with him in previous years. He left the center and later founded two other centers of his own. In the decades following, he was estranged from the first Zen center and from the broader Buddhist community in the West, as well. However, twenty-seven years rolled by and somehow it seemed time to reestablish relationships.

 

Which is how this teacher ended up at the Western Buddhist Teachers Conference this past June at the invitation of one of his peers, a teacher who became the abbot of the Zen center not long after the scandal broke. I had read about this controversial teacher over the years, but meeting him in person was a dose of reality. Forty years older than I, he is very tall and stern looking, particularly in the black robes of the Japanese Zen tradition.

 

One morning during the conference, the younger teachers met with the older teachers for some intergenerational discussion. We broke up into groups of five, with two senior teachers and three junior teachers. I ended up in a group with this Zen teacher and another teacher from the Vajrayana lineage.

In the course of discussion, the Zen teacher said something that made me think of the questi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student and a teacher?” This got the senior Vajrayana teacher excited and we tumbled into a very animated conversation on the topic. My point was that being a teacher has made me a much better student, and that I learn so much as a teacher that it’s unclear who benefits more, me or the student. The senior teachers agreed. Then we talked about egotism, receiving praise from students. I asked the Vajrayana teacher how can we know when we’re letting praise inflate our ego. He said usually something bad happens like getting a flat tire. The Zen teacher was amused.

 

Then we talked about how close to be with students. The Zen teacher said that he does not at all go into personal matters with students, refuses to give advice about their lives, and really does not have any personal friendships with students. He said that when friends have become students, it’s led to terrible results. The Vajrayana teacher said just the opposite. He felt that transference and even counter-transference was useful and could be used to help someone. I said, “We clearly have two very different ways of handling students, yet each method seems to produce good students. That’s a relief to me because it shows there’s no one right way, perhaps.” During the dialogue, the senior Zen teacher put his hand once on my knee and once on my shoulder, I would say in a grandfatherly way. But, knowing his history, I could not help but feel uncomfortable.

 

Afterward, as we returned to a large group discussion, the Zen teacher said something to me about his seniority as a teacher. I said, “Oh, I know. You are legendary.” (“Legendary” seemed the most polite way to put it.) He seemed surprised, and then self-conscious that I knew about his past.

 

Two days later, all 200 or so teachers gathered in the main hall for an exercise called “Cross the Line” (also termed the Power Shuffle). This exercise is intended to help break down assumptions and prejudice about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us. The practice is done in silence. Down the center of the long room was a thin, blue line of tape. All the teachers gathered on one side of the line, looking over to the empty space. As it so happened, I was near the end of the line, near the senior Zen teacher. Then the facilitator called out a category: “If you identify as African-American, black, Latino, etc…or mixed race, please cross the line.” A handful of teachers, with a range of skin tones, crossed the line, and then turned to look back at the vast majority of white teachers. The white teachers looked at them, they looked at each other, and we felt the full weight and history behind identities of race. The questions continued, for women, for gay people, for veterans of war, for those who grew up poor, for those who’ve witnessed violence, and so on.

 

Then the facilitator called out, “Cross the line if you have done something as a teacher that harmed others.” A number of teachers crossed the line, but this senior Zen teacher remained on the side of the innocent. I began to feel deeply resentful and thought, “This man lives in denial. All that Zen practice and so little self-awareness. This guy is a lost cause.”

 

After about forty minutes of this exercise, we gathered in groups of five for further discussion and then returned to a large circle of all 200 teachers. The watershed moment came after the first person spoke. The senior Zen teacher stood up. He said, “When the question came up about have I done anything to harm my community, I did not cross the line. I was wrong. I should have. I have not only harmed my students but also damaged my lineage. I am sorry.” Then he bowed, with tears in his eyes. Everyone either bowed back, said “we hear you” or held their hands up with the love sign. A good friend of mine who is a young teacher of Zen was next to me. We looked at each other with our jaws absolutely dropped open in astonishment.

 

After the discussion, I went right up to the senior Zen teacher. Another senior teacher from a different lineage was kneeling before him. I didn’t think much of this other teacher because in the previous days he said irritable things and from my perspective this came from an underlying bitterness. This teacher bowed to the Zen teacher and said, “I can’t imagine how hard it was to carry this burden all these years” and other sympathetic things. The senior Zen teacher had tears in his eyes. As I heard what this teacher said, I thought, “What about the women this teacher harmed? What about their burden?!” In retrospect, I think this teacher was trying to offer forgiveness, which I am completely in favor of, but because this teacher hadn’t shown consistently kind behavior in the days before, I felt his forgiveness was born of disconnection rather than real understanding. I could be wrong.

 

After the teacher left, I then bowed to the senior Zen teacher and said, “At first I resented it when you didn’t cross that line. But the fact that you acknowledged this before everyone was very courageous and healing. In fact, it was more courageous to do that than it was to hide yourself among a crowd as they crossed the line, even though you’re tall.” He bowed to me and said thank you.

 

In the last days of the conference, it was sweet to see this teacher at ease among the community of teachers, and others clearly felt more comfortable with him. The gathering of teachers offered a significant and historic moment of healing and moving on.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