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 유리병자선(琉璃甁子禪)

기자명 윤창화

현실에 부딪히면 금방 박살나는 선수행
번뇌 소굴서도 마음 평온해야 참 수행자

유리는 맑고 투명해서 청정을 상징하지만 잘 깨진다는 단점이 있다. ‘유리병자선(琉璃甁子禪)’이란 ‘유리병처럼 살짝만 부딪혀도 깨지는 선(禪)’ 또는 ‘유리병처럼 툭하면 깨져 버리는 선수행’을 가리킨다. 번뇌를 만나면 부서지기 쉬운 선, 현실에 부딪히면 금방 박살나 버리는 선수행을 유리병자선이라고 한다.


‘마음이란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 같다’는 ‘화엄경’의 법문처럼, 마음은 갖가지 번뇌 망상을 연출해 낸다. 아직 벌어질 기미도 없는 일을 태산처럼 걱정한다거나 혹은 타인이 나를 해칠 것으로 생각하여 미리 견제한다거나 미래에 대한 지나친 불안감으로 번민하는 등 스스로 불안 초조, 근심 걱정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마음을 닦기 위하여 조용한 산사(山寺)나 수행처를 찾는다. 그런 곳은 조용하고 한가해서 가기만 해도 금방 마음이 평온해지고, 4, 5일쯤 되면 무언가 달라졌다는 느낌을 받는다. 복잡한 외부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인데, 한결같은 공통점은 마음이 평온해졌다는 것이다. 환경적인 요인이 아니고 수행의 결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고요한 산속을 떠나 다시 세속으로 내려오면 수행의 힘은 여지없이 박살나고 도루묵이 되어 버린다. 언제 수행했던가 하고 반문할 정도로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런 수행은 단순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일 뿐, 아무런 힘이 없다.


현실에 부딪히면 그대로 깨져 버리는 수행, 조금만 부딪혀도 산산조각이 나버리는 선수행, 그것이 유리선(瑠璃禪), 유리병자선이다. 특히 마약 중독자처럼 몇 달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수행처를 들락거리는 이들은 모두 유리병자선을 닦고 있는 이들이다.


유리병자선이라는 말은 원오극근(1063∼1135)의 어록에 처음 나온다.


‘참으로 바른 종안(宗眼, 正眼)을 얻지 못한다면 금강처럼 단단한 밤송이를 삼킬 수 없을 것이다.’ 오조법연화상(원오의 스승)이 항상 말씀하시기를 ‘지금(송초) 여러 선원에서 참구하고 있는 선은 마치 유리병과 같다.


아끼고 보호해서 버리지 못하는 것을 제일로 삼는다. 나 노승으로 하여금 보게 하지 말라. (보게 한다면) 철퇴를 가지고 부숴버릴 것이다.’라고 하셨는데, 내가 처음 화상으로부터 이 말씀을 듣고 곧 마음을 다하여 그것을 참구하였다(원오어록 12권)(不得正宗眼. 便是跳金剛圈栗棘蓬不得也. 五祖和常云. 諸方參得底禪, 如琉璃子相似, 愛護不捨第一. 莫老僧見. 將鐵鎚一擊爾底碎定也. 山僧初見他如此說, 便盡心參他. ‘원오어록’ 12권).


즉, 아끼고 보호해서 버리지 못하는 것을 제일로 삼는다는 말은 현실을 피하여 조용한 곳에서 가만히 앉아 있기만 하는 것, 복잡한 일을 피하여 한가하게 지내는 것을 가리킨다.


또 원오선사는 ‘선사(先師, 입적한 스승, 즉 오조법연)께서 항상 말씀하시기를 유리병자선을 배우지 말라하셨다. 너무 가벼워서 사람들과 접촉하기만 해도 곧 산산이 부서져 버린다(先師常云. 莫學琉璃子禪, 輕輕被人觸著, 便百雜碎. ‘원오어록’ 13권).’라고 했다. 유리병처럼 현실에 부딪히면 그대로 박살나 버리는 선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대혜선사도 ‘서장’에서 수없이 “고요한 곳(靜處)에서 수행, 그것 누가 못하느냐? 관건은 시끄러운 곳(鬧處)에서도 수행의 효과가 발휘되어야 한다” “고요한 곳(靜處)에서 수행하는 것은 시끄러운 곳(鬧處)에 대응하기 위함이다.’라고 강조하고 있는데, 요즘 수행자들도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윤창화 대표
깨달음이나 현실에 안주하고 있는 것을 ‘유리전상(瑠璃殿上)’이라고 한다. ‘유리로 만든 궁전 위에 있다’는 말인데, 살짝만 쳐도 ‘쨍’하고 깨지는 궁전, 그것도 깨달은 것이라고 애지중지하는 이도 있다. 강철은 불에 들어갈수록 단단해진다. 번뇌의 소굴 속에서도 마음이 평온해야 진정한 수행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윤창화 changhwa9@hanmaill.net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