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 임제선(臨濟禪)-1

기자명 윤창화

임제종 개창자인 임제의현의 선 사상
관념의 벽 초월해 자기 본래면목 파악

임제선이란 중국 선종의 5가(家) 가운데 하나인 임제종과 그리고 그 개창자인 임제의현(臨濟義玄, ?~867)의 선풍, 선사상을 가리킨다.


임제선사는 마조도일-백장회해-황벽희운으로 이어지는 조사선의 직계이다. 오래도록 진주 임제원에 주석했기 때문에 ‘임제’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그는 ‘임제할(臨濟喝)’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독특한 방법과 준엄한 가르침으로 납자들을 제접, 지도하여 크게 종풍을 떨쳤다. 그래서 그 후계를 임제종, 임제선이라 한다.


임제종(임제선)의 선풍은 5가 가운데서도 가장 준엄하다. ‘살불살조(殺佛殺祖)’ 즉 부처에도 사로잡히지 말고 조사에도 사로잡히지 말라(超佛越祖와 동의어)라는 말이 상징하고 있듯이 임제선은 권위와 대상, 관념의 벽을 초월하여 근원적인 측면에서 자신의 본래면목을 파악하도록 요구한다.


임제선의 선풍과 특징에 대하여 청허휴정은 ‘선가귀감’ 말미에 다음과 같이 특필하고 있다.

 

“맨손 단칼로 부처도 죽이고 조사도 죽인다. 삼현(三玄)과 삼요(三要)로 고금의 선지식을 판단하고 빈주를 가지고 용과 뱀을 알아낸다. 금강보검으로 죽목(竹木)에 붙어 있는 도깨비를 쓸어내고 사자와 같은 기백과 호령으로 호리(狐狸, 여우)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임제종을 알고자 하는가? 푸른 하늘에서 벼락이 치고 평지에서 파도가 친다(赤手單刀, 殺佛殺祖, 辨古今於玄要, 驗龍蛇於主賓. 操金剛寶劍, 掃除竹木精靈, 奮獅子全威, 震裂狐貍心膽. 要識臨濟宗麽. 靑天轟霹靂, 平地起波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임제의 선풍은 중국의 오종가풍 가운데서도 매우 과격하고 와일드하다. 와일드하지 않고는 납자들의 허다한 분별망상을 한 번에 제거해 줄 수 없기 때문인데, 이로 인하여 때로는 선승들이 오판하여 필요 이상으로 과격한 액션을 취하는 경우도 있지만, 요컨대 임제의현이 강조하는 것은 진정견해를 갖추라는 것이다. 진정(眞正)한 견해(見解)란 곧 정법안으로 선의 오의(奧義)를 간파하는 눈이다. 그러나 지혜, 즉 진정견해가 없으면 그것은 부목정령(附木精靈, 헛깨비, 귀신 도깨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임제는 주로 ‘방(棒)’과 ‘할(喝)’을 사용하여 납자들을 지도했다. ‘방’은 몽둥이, ‘할’은 벽력같은 고함인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할’은 임제선풍을 상징한다. 임제의현은 ‘임제록’에서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할(喝)’을 네 가지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어떤 때의 할은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劍, 번뇌 망념을 단칼에 끊어주는 역할)과 같고, 어떤 때의 할은 땅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황금 털 사자(노련한 사자가 사냥을 하듯 납자들을 병통을 잡아채서 제거해 주는 역할)와 같으며, 어떤 할은 어부가 고기를 잡기 위하여 장대에 묶은 그림자 풀과 같고(探竿影草, 납자들이 탐간영초에 속아 따라오는지 수행의 경지 시험), 어떤 때의 할은 일체 할의 작용을 하지 않는다―본래면목을 보여 주는 역할(有時一喝,如金剛王寶劍.有時一喝,如踞地金毛師子.有時一喝,如探竿影草.有時一喝,不作一喝用).”


임제는 자신의 ‘할(喝)’은 하나지만 그 기능과 역할은 각각 다르다는 것이다. 임제는 누구든 네 번만 ‘할’을 던져 보면 상대방의 경지, 납자들의 병통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 번의 할로 상대방을 파악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직관력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 당대(唐代)의 방장(方丈)은 이와 같이 백전노장이었다.

 

▲윤창화
‘할’ 하나로 수백 명의 수행자들을 지도, 점검했으니 말이다. 누구든 이 할을 구분할 줄 안다면 그는 임제의 거실까지 다가갔다(入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윤창화 changhwa9@hanmaill.net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