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승 탄허 스님

기자명 법보신문

18~25세까지 스님 시봉
메모 없이 유불도 강의
평소 인재불사 강조해


탄허 스님(呑虛, 1913∼1983)은 나에게는 노스님(祖行)이 된다. 내 나이 18세부터 시작해서 25세 까지 모셨으니, 승려생활 12년 가운데 7년 정도를 탄허 스님을 모신 셈이다. 그래서 늘 잊지 못한다. 공부를 하자면 당연히 모시고 살면서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다지 힘들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지금 내가 한문 한두 줄이라도 해석하게 된 것도, 민족사라는 불교출판사를 하게 된 것도 모두가 탄허 스님을 모시고 살았던 덕택이다.


탄허 스님은 매우 박학다식한 분이다. 불교는 물론 유가(儒家)와 도가의 학문에 대해서도 줄줄 거침없이 외우셨는데, 단 한 번도 책이나 메모 노트 등을 보고 강의하신 적이 없었다. 강의는 대부분 흑판 강의인데, 글씨는 모두 초서(草書)라서 신출내기로서는 도무지 무슨 글자인지 알 수 없는 것이 여간 고역이 아니었다. 그래서 대충 알 수 있는 것은 놔두고 모르는 초서는 그대로 그려놓았다가 강의를 마치고 나서 아무도 없을 때 가서 묻곤 하였다. 물론 80%가 모르는 글자였는데, 한 1년 지나니 20%로 줄어들었다. 무조건 노트에 필기하는 것이 최선이었다.

탄허 스님은 공부하는 사람을 아주 좋아하셨고, 질문을 좋아하셨다. 공부를 하고 있을 때는 심부름도 잘 시키지 않았다. 또 조금이라도 말을 알아듣는 사람이 있으면 한 여름에 쏟아지는 소나기처럼 말씀하셨다. 질문하는 사람이 없으면 알아듣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했다.


19세 봄, 삼척 영은사에서 스님을 시봉할 때였다. ‘대혜서장’을 배울 때인데, 거기에는 대나무가 많았고 나는 단소를 좋아했다. 하루에도 몇 개씩 단소를 만들었는데, 열흘정도 지나자 하루는 부르셨다. 방에 들어가 무릎을 꿇고 앉자마자 하시는 말씀이 “공부 안하려면 여길 떠나야 돼. 여기 있을 필요가 없어. 가야 돼” 그 순간 정신이 아찔했다. 그런데 더욱더 충격적인 것은 사실 내가 없으면 시봉할 사람이 전혀 없었는데도(노스님과 단 둘이 살았으므로) 저렇게 말씀하시다니…. 정신을 가다듬고 오체투지를 세 번했다. 그리고는 나와서 만들어 두었던 단소를 모두 아궁이에 버렸다.


탄허 스님께서는 “강원에서 사교(四敎)를 마치고 나서도, 유생으로 사서(四書)를 마치고 나서도 학문이나 도(道)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가르친 선생도, 배운 제자도 모두 몽둥이질해야 할 작자들”이라고 말씀하셨다. 언필칭도(言必稱道), 제자들에게도 도(道)와 관련된 책 외에 잡서나 잡문은 절대 보지 말라고 하셨다. 혹 소설 같은 것을 읽고 있으면 “그런 것은 쓸데없이 왜 보느냐”고 나무라셨다.


탄허 스님은 항상 말씀하시기를 “경(經)을 읽을 때에는 종지(宗旨), 즉 핵심을 파악할 줄 알아야 한다”고 하셨다. 요점이 무엇인지 모르고 읽는다면 백번 읽어도 소용없다는 것이었다.


1972년경 스님은 얼마 안 가서 곧 우리나라가 중국과 왕래하게 될 터이니, 중국어를 배워두라고 하셨다. 그 때는 모두들 ‘좀 터무니없는 말씀’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100% 적중한 셈이다.


▲윤창화
탄허 스님은 인재교육을 통하여 세상을 바로잡아 보고자 했다. 유불도 3교의 장점을 하나로 모아서 새로운 인재, 사회 지도층이 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했다. 그래서 만든 것이 오대산 수도원이었다. 인간형성에 도덕성이 결여되고서는 훌륭한 인격자, 지도적인 인격자가 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인의(仁義)에 바탕한 이상사회, 굳이 말하자면 복고적 개혁주의를 추구했다고 할 수 있다.

 

윤창화 민족사 사장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