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화 스님, 관 속 몸이 사라지고 허공의 요령소리만 남기다

기자명 법보신문

우리가 입은 옷은 관과 같고
인연으로 생긴 몸은 허깨비
보화천화로 알려진 이야긴
본래 법신불을 일깨우는 것

 

 

▲운문산 대각선사 연못에는 사바세계에서 피안의 세계로 중생을 건네줄 반야용선이 놓여있다.

 

 

師問僧호되 有時一喝은 如金剛王寶劍이요 有時一喝은 如踞地金毛獅子요 有時一喝은 如探竿影草요 有時一喝은 不作一喝用이니 汝作麽生會오 僧擬議한대 師便喝하다

 

해석) 임제 스님이 어떤 스님에게 물었다. “어떤 때 하나의 할은 금강왕의 보검과 같고 어떤 때 하나의 할은 땅에 웅크리고 앉아 먹이를 노리는 황금빛깔의 사자와 같고, 어떤 때 하나의 할은 막대기에 새털을 달아 고기를 한곳으로 유인하는 어부의 낚시도구와 같고, 어떤 때 하나의 할은 고함으로 작용하지 않는 할도 있다. 그대는 이 말을 이해하겠는가?” 스님이 머뭇거리자 임제 스님이 바로 ‘할’하고 고함을 질렀다.

 

강의) 금강왕의 보검과 같은 할은 상대의 목을 치는 무사의 칼처럼 단번에 번뇌를 잘라낸다는 의미입니다. 먹이를 노리는 황금빛깔의 사자는 사자 중에서도 가장 노련하고 뛰어난 사자입니다. 황금빛깔의 사자와 같은 할은 학인들의 병통을 세심하고 유능하게 잡아내 깨달음으로 이끄는 할입니다. 새털을 달아 고기를 한곳으로 유인하는 어부의 낚시도구와 같은 할은 어리석은 중생들을 여러 가지 방편을 통해 수행의 길로 이끄는 할입니다. 마지막으로 할로 작용하지 않는 할인데, 이것은 아마도 진리 그 자체로 모습을 드러내는 할입니다. 소리를 지르지 않아도 그 자체로 할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師問一尼호되 善來아 惡來아 尼便喝하니 師拈棒云, 更道更道하라 尼又喝이어늘 師便打하다

 

해석) 임제 스님이 어떤 비구니 스님에게 물었다. “잘 왔는가? 잘못 왔는가?” 비구니가 ‘할’하고 고함을 쳤다. 그러자 임제 스님이 몽둥이를 들고 물었다. “다시 말해봐라. 다시 말해봐.” 비구니 스님이 또 ‘할’을 하고 고함을 치자 임제 스님이 그대로 후려쳤다.

 

강의) 선래악래(善來惡來)는 임제 스님의 환영인사 같습니다. 그런데 비구니 스님은 임제 스님에게 가면 ‘할’을 해야 한다는 강박증을 가진 것 같습니다. 비구니 스님이 할을 했기에 임제 스님이 바로 점검에 들어갑니다. 이번에는 몽둥이까지 집어 들고 말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할을 합니다. 임제 스님을 흉내 낸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龍牙問, 如何是祖師西來意오 師云, 與我過禪版來하라 牙便過禪版與師한대 師接得便打라 牙云, 打卽任打나 要且無祖師意로다 牙後到翠微하야 問 如何是祖師西來意오 微云, 與我過蒲團來하라 牙便過蒲團與翠微한대 翠微接得便打라 牙云, 打卽任打나 要且無祖師意로다 牙住院後에 有僧이 入室請益云, 和尙이 行脚時에 參二尊宿因緣을 還肯他也無아 牙云, 肯卽深肯이나 要且無祖師意로다

 

해석) 용아 스님이 물었다. “조사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은 무엇입니까?” 임제 스님이 말했다. “나에게 선판을 좀 건네주게.” 용아 스님이 선판을 건네 드렸다. 임제 스님이 받자마자 그대로 후려쳤다. 용아 스님이 말했다. “때리기는 마음대로 때리십시오. 그러나 여기에 조사의 뜻은 없습니다.” 용아 스님이 훗날 취미 스님에게 가서 물었다. “조사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은 무엇입니까?” 취미 스님이 말했다. “나에게 방석을 좀 건네주게.” 용아 스님이 곧 방석을 건네 드렸다. 취미 스님이 받자마자 그대로 후려쳤다. 용아 스님이 말하였다. “때리기는 마음대로 때리십시오. 그러나 여기에 조사의 뜻은 없습니다.” 나중에 용아 스님이 선원에 머무를 때 어떤 스님이 방에 들어와 개별적으로 지도를 받으며 물었다. “스님께서 행각하실 때 두 큰 스님을 찾아뵌 인연이 있다고 하는데 그분들이 옳다고 인정하십니까?” 용아 스님이 말했다. “인정이야 깊이 인정하지만 결국 조사의 뜻은 없었다.”

 

강의) 용아거둔(龍牙居遁·836~923)스님은 중국 호남성의 용아산 묘제선원에 주석했던 스님입니다. 조동종의 개조인 동산양개(洞山良价·807~869)스님에게서 배웠습니다. 용아 스님이 임제 스님과 취미 스님에게 조사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을 물었습니다. 그런데 두 번 다 얻어맞습니다. 다른 스님들 같으면 주눅이 들만도 한데 용아 스님의 기개가 대단합니다. “때리시니 맞기는 하지만 그것은 대답이 아니지 않느냐”며 따지고 있습니다. 세월이 흘러 용아 스님이 조실이 되어 후학을 지도할 때 그때의 일에 대해 질문을 받습니다. 그러자 용아 스님이 말합니다. “인정이야 깊이 인정하지만 결국 조사의 뜻은 없었다.”


그 스님들의 견해는 옳은데 조사의 뜻은 없었다는 말입니다. 참 어렵습니다. 용아 스님은 조동종 계열의 스님입니다. 그래서 임제종 계열의 스님들은 용아 스님이 마지막까지 조사의 뜻에나 집착하는 수준 낮은 스님으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용아 스님의 말씀은 그런 뜻이 아니었을 겁니다. 임제 스님은 앞서 같은 질문에 “무슨 의도나 뜻이 있었다면 스스로도 구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무심(無心)의 경지에 있을 조사들이 인위적인 의도나 뜻이 있다면 아직도 망상과 분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말이 됩니다. 용아 스님의 말씀은 그런 뜻은 아니었을 겁니다. 사실 조사가 서쪽에서 온들, 동쪽으로 온들 개인의 깨달음과 무슨 상관이 있겠습니까. 결국 내가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면 말입니다. 조사의 뜻이 없었다는 의미는 아마도 그런 뜻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돌이켜보니 임제 스님도 옳고 취미 스님도 옳았습니다. 그러나 대답은 각자의 몫이 돼야 합니다. 흉내가 아닌 각자의 대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같은 깨달음이더라도 임제 스님의 깨달음은 임제 스님의 깨달음이고 취미 스님의 깨달음은 취미 스님의 깨달음입니다. 용아 스님의 깨달음도 용아 스님만의 깨달음이 돼야 합니다.

 

徑山에 有五百衆호되 少人參請이어늘 黃檗이 令師로 到徑山하고 乃謂師曰, 汝到彼作麽生고 師云, 某甲이 到彼하야 自有方便이니다 師到徑山하야 裝腰上法堂하야 見徑山하니 徑山이 方擧頭라 師便喝한대 徑山擬開口어늘 師拂袖便行하다 尋有僧問徑山호되 這僧이 適來에 有什 麽言句관대 便喝和尙이닛고 徑山이 云, 這僧이 從黃檗會 裡來하니 儞要知麽아 且問取他하라 經山五百衆이 太半分散하니라

 

해석) 경산에 500 대중이 있었으나 법을 묻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황벽 스님이 임제 스님을 경산에 보내면서 물었다. “그대는 경산에 가면 어떻게 하려는가?” 임제 스님이 대답했다. “제가 그곳에 가면 저절로 방편이 생길 것입니다.” 임제 스님이 경산에 이르러 행장을 풀지도 않고 법당에 올라가 조실인 경산 스님을 뵈었다. 경산 스님이 고개를 들려고 하자 임제 스님이 ‘할’하고 고함을 질렀다. 경산 스님이 무언가 말을 하려고 하자 임제 스님은 소매를 떨치고 나가버렸다. 그러자 어떤 스님이 경산 스님에게 물었다. “좀 전에 왔던 스님과 어떤 대화가 있었던 것이기에 스님에게 고함을 치고 간 것입니까?” 경산 스님이 대답했다. “그 스님은 황벽 스님 회하에서 왔는데 그대가 알고 싶거든 그에게 직접 물어보도록 하라.”


그러자 경산에 있던 500명 대중의 절반 이상이 흩어져 버렸다.

 

강의) 경산은 중국 절강성 항주부에 있는 산입니다. 원래 우두종의 산실이었으나 임제 스님으로 인해 나중에 임제선의 중심지가 됐다고 합니다. 임제 스님의 고함 한 번에 경산의 주인이 바뀌게 된 것입니다.

 

普化一日 於街市中에 就人乞直裰하니 人皆與之호대 普化俱不要라 師令院主로 買棺一具하고 普化歸來에 師云, 我與汝做得箇直裰了也로다 普化便自擔去하야 繞街市叫云, 臨濟與我做直裰了也니 我往東門遷化去하리라 市人이 競隨看之하니 普化云, 我今日에는 未요 來日에 往南門遷化去하리라 如是三日하니 人皆不信이라 至第四日하야 無人隨看이어늘 獨出城外하야 自入棺內하야 倩路行人釘之하니라 卽時傳布하야 市人이 競往開棺하니 乃見全身脫去하고 祇聞空中鈴響이 隱隱而去하니라


해석) 하루는 보화 스님이 저잣거리에서 사람들에게 장삼 한 벌을 구걸했다. 그러자 사람들이 저마다 스님에게 장삼을 주었지만 그때마다 필요 없다며 받지 않았다. 임제 스님이 원주 스님을 시켜 관을 하나 사오라고 했다. 그리고 보화 스님이 절에 오자 말했다. “내가 그대를 위해 장삼을 한 벌 마련해 두었네.” 보화 스님은 스스로 관을 짊어지고 저잣거리를 다니면서 외쳤다. “임제 스님이 나를 위해 장삼을 만들어 주셨다. 나는 동쪽 문으로 가서 세상을 떠나겠다.” 사람들이 너도나도 따라가서 보았다. 그러자 보화 스님이 말했다. “오늘은 세상을 떠나지 않겠다. 내일 남쪽 문에서 세상을 떠나겠다.” 이렇게 사흘을 계속하니 사람들이 다 믿지 않았다. 나흘째 되던 날이 되자 따라와 보려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보화 스님은 혼자 성 밖으로 나가 스스로 관 속에 들어가서는 길가는 사람에게 부탁하여 관 뚜껑에 못을 치게 했다. 이 말이 곧 저자거리에 퍼지자 사람들이 앞을 다투며 와서 관을 열어보았다. 그런데 몸은 이미 어디론가 사라져버렸고 다만 공중에서 요령소리만 은은히 들리며 떠나갈 뿐이었다.

 

강의) 보화천화(普化遷化)로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삶과 죽음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보화 스님은 관을 장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우리가 입고 있는 옷은 시체를 싸고 있는 관과 다를 바 없음을 일깨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연화합에 의해 생겨난 이 몸은 사실 허깨비일 뿐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 몸이 바로 나이며 진실이라고 착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평생을 자유인으로 살아온 보화 스님은 죽음까지도 초월한 무애의 경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관 속 보화 스님의 몸이 사라졌다는 내용은 어떤 의미일까요. 보화 스님이 신통을 부려, 몸과 함께 하늘로 사라진 것일까요. 상징적인 의미를 잘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 매미가 허물을 벗으면 그 허물이 매미는 아닙니다. 관을 열어보니 웃고 떠들던 보화 스님은 온데간데없고 매미의 허물 같은 육신의 껍질만이 남아있었겠지요. 허물을 벗어버린 진짜 매미가 어디론가 사라지듯이 껍질만을 남긴 보화 스님 또한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그렇다면 보화 스님은 어디로 간 것일까요. 허공에서 들려오는 요령소리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마도 우리 모두가 본래 법신불임을 일깨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정리=김형규 기자 kimh@beopbo.com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