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 관음사 정토반 강의현장

  • 수행
  • 입력 2014.04.23 14:07
  • 수정 2014.04.23 14:22
  • 댓글 0

염불하고 정토도 배우니 신심이 ‘몰록’

▲ 부산 관음사 정토반 강의현장은 늘 열정으로 가득하다. 40분간 아미타경을 독송하고 나무아미타불 장엄염불수행에 이어 수업을 진행하는 게 특징이다.

30대 주부부터 은발의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한 강의실에 모였다. 나이를 막론하고 초롱초롱한 눈빛으로 강의를 듣는 이들의 모습에서 흐트러짐이란 찾아볼 수 없었다. 게다가 대부분은 스님의 설명을 따라 책상 위에 펼친 책과 공책에 필기를 거듭했다. 빼곡하게 써 내려간 글씨에 정성이 가득 담겨 있음을 한 눈에 짐작할 수 있었다. 배움의 열정으로 가득 찬 강의실에서 2시간이 훌쩍 흘렀다. 부산 당리동에 소재한 송광사 부산분원 관음사(주지 지현 스님)의 무량수경 강의 현장에서 만난 풍경이었다.

정토도량 발원하며 5년 동안
기신론·정토경·무량수경
경전 배우며 수행으로 회향
강의 전 아미타불 장엄염불
봉사로 정토불교 적극 실천

관음사의 무량수경 강의는 다른 사찰에서 흔히 표현하는 경전반이 아닌, ‘정토반’이다. 특히 정토반은 관음사가 정토도량을 발원하며 전개한 지 올해로 5주년을 맞이했다. 대승기신론, 정토삼부경을 거쳐 5년 만에 다시 무량수경을 펼치고 있지만 지루함보다 새로움이 더 크다는 것이 참가자들의 설명이었다.

이유는 극락왕생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었다. 단순히 극락왕생을 위해 열심히 염불하라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었다. 이 시대에 극락왕생이란 어떤 의미인가, 극락왕생을 위해 바로 지금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치열한 고민이 함께했다. 관음사 주지 지현 스님이 밝힌 정토반 설명에서도 간절함을 읽을 수 있었다.

“단 한 사람이라도 불교에 대한 바른 이해와 안목이 갖추는 일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한 해, 두 해로 끝낼 수 있는 공부가 아니지요. 지난 5년 동안 기신론을 통해 정토사상의 배경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정토삼부경을 통해 거시적으로 정토세계를 봤다면 이제부터는 세밀하게 정토 세계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무엇보다 경전에 대한 이해와 그에 따르는 실천과 수행이 함께해야 합니다. 평생 이어갈 불교 공부의 길입니다.”

수행이 함께하는 정토반의 가치는 강의가 시작되기 전 확인할 수 있다. 무량수경 강의에 앞서 관음사 주지 지현 스님의 집전아래 ‘정토로 가는 길’이라는 관음사의 법요집을 펼치고 경전 독송과 염불을 하는 것이다. 아미타경 독송, 장엄염불, 극락왕생 발원문 등을 함께 읽어 내려가는 시간은 40여분. 이 시간 덕분에 강의 집중도와 환희심이 배로 올라간다는 게 수강생들의 한 결 같은 표현이었다.

“정토반 수업 때마다 독송하는 ‘정토로 가는 길’은 이제 하루의 시작과 함께하는 일과수행이 됐다. 매일이 새롭고 감사하다. - 김순임(79, 대도행) 보살” “아미타경과 장엄염불에서 만난 불보살 명호를 강의에서 다시 들으면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하게 된다. 무엇보다 노보살님들이 공부에 적극적이다. 그 모습을 나도 닮아가고 싶다. - 박외숙(66, 청량성) 보살” “매주 수업을 기다리며 틈날 때마다 나무아미타불을 읊조리다보니 늘 안고 살아왔던 괴로움과 걱정 근심이 자연스레 없어졌다. - 신문숙(73, 일진행) 보살”

정토반 불자들은 경전 독송 및 염불수행과 더불어 일상에서 정토불교를 실천하는 일에도 적극적이다. 정토반 수강생 대부분이 관음사에서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 늘기쁜마을 환희불교복지대학의 불교호스피스 교육생이거나 수료자들로 봉사활동에 가장 적극적이다. 이렇게 관음사의 베테랑 불자들이 정토반에 탄탄하게 자리를 잡고 초심 불자들에게도 문을 활짝 열어두면서 자연스레 교감과 소통의 장이 되는 것도 정토반의 장점이다.

극락세계를 염원하는 이들이 하루하루가 그대로 정토의 화현이라 해도 좋을 것 같다. 051)294-9300

부산=주영미 기자 ez001@beopbo.com

[1242호 / 2014년 4월 23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