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 사찰음식에 금기시되는 채소

기자명 일운 스님

 
신심 가득한 불자들이 깊은 산골 마다않고 성지순례를 오곤 합니다. 이들은 의지처를 찾아 부처님 전에 간절한 바람들을 쏟아내고 저는 그 바람들을 모아 세상을 밝히는 큰 희망이 되기를 두 손 모아 회향합니다. 순례단들은 공양간의 식당을 이용하게 되는데 절에서 미리 공양을 준비할 때를 제외하고는 각 사찰에서 마련한 음식이나 각자의 공양물로 공양을 하게 됩니다. 적게는 30여명에서 많게는 100여명이 넘는 불자님들이 한꺼번에 도시락과 컵라면 등을 펼치면 다양한 세간의 음식냄새가 순식간에 청정한 도량을 휘저어 버리기 일쑤입니다. 이러한 작은 부분들을 깊이 있게 생각해 보신 적이 있습니까. 성지로 오기 위해 새벽부터 집을 나서는 마음과 부처님 전에 지극히 기도 올리는 마음, 도량에서 밥을 먹는 마음 모두가 한 결 같아야 합니다.

불자(佛子)는 곧 부처님의 제자이고 보살(菩薩)입니다. 또한 보살은 보살이 받아 지켜야 할 계율인 보살계(菩薩戒)를 받은 사람을 일컬어 말합니다. 말없이 머무는 곳마다 누가 보든 안보든지 간에 계율을 지키며 자비를 행하고 실천하는 수행자여야 합니다. 단지 하루를 머무는 성지에서도 작은 것 하나를 허투루 넘기고서야 어디에서 도를 닦고 깨달음을 구하겠습니까. 보살행은 항시 자신을 잘 살펴서 작은 것에서부터 실천해야 하는 것입니다.

불영사는 오랫동안 음식에 대한 금계(禁戒)를 지키며 그 전통을 보전하고 계승해 오고 있습니다. 바로 육식을 금하고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으며 오후불식을 지켜가는 것입니다. 그 중 오신채는 불가에서 금하는 다섯 가지 채소이며 부추, 파, 마늘, 흥거, 달래를 말합니다. 아직 흥거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나 다른 채소들과 마찬가지의 특성을 지녔다고 추측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대신 양파를 포함해서 일컫고 있습니다.

‘능가경’에 따르면 강한 향을 풍기는 이들 재료는 “악취가 나서 깨끗하지 않으므로 성인의 도를 장애한다. 또한 세간의 사람과 하늘의 청정한 곳까지도 장애가 되거늘, 하물며 모든 부처님 정토의 과보이겠느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고 착한 업을 손상시키며 모든 허물을 내게 한다”고 합니다. ‘범망경’에도 오신채를 날로 먹으면 성내는 마음을 일으키고 익혀 먹으면 음심(淫心)을 일으켜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하였습니다. 혹자는 몸을 위해서 먹는다고 하겠으나 불교에서 금기시 되는 음식과 이들 채소가 가지는 영양성분은 다른 음식을 통해 충분히 보충할 수 있습니다. 또 ‘오신보응경’에서는 “병든 이에게는 허락하되 가람 밖의 속인의 집에서 먹을 것이며, 먹은 뒤 49일이 다 되면 향탕(香湯)에 목욕을 하고 그런 뒤에 경론을 독송해야 죄를 범하지 않는다”고 나와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매순간 스스로가 부처이거나 성인(聖人)이라는 생각으로 계를 지켜 나간다면 머무는 곳 어디라도 청정한 불국정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민들레초무침

겨울을 이겨내고 봄에 자라는 식물치고 생명력이 강하지 않은 것은 없다. 뿌리가 튼튼해 밟혀도 다시 꿋꿋이 일어나니 그 특징상 관절에 좋다는 것을 알 수가 있고, 겨울을 머금은 찬 성질과 봄기운의 달고 쓴 것이 위를 다스리고 입맛을 돋우며 소화 작용에도 좋을 것이다. 오늘은 어린 민들레 잎을 캐어서 새콤달콤하게 초고추장에 버무려 봄 상에 올려본다.

[1338호 / 2016년 4월 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