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종무기관 조직개편을 향한 종단 안팎의 관심은 공청회의 뜨거운 열기로 이어졌다. 7월 17일 오후 2시 시작한 공청회는 기조발제, 지정토론에 이어 질의응답까지 무려 3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특히 이번 공청회는 제18대 중앙종회의원 연수를 겸해 진행되면서 종회의원이 참석자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조직개편안이 향후 종회 의결을 거쳐야하는 만큼 종회의원들의 입장을 엿볼 창구와도 같다는 점에서 공청회 시작 전부터 주목됐다. 일각에서는 “오는 9월 열릴 중앙종회 분위기의 리허설이 될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왔다. 이를 반영하듯 공청회에서는 다양한 질문과 평가가 쏟아졌다. 이날 공청회 쟁점과 이에 대한 집행부의 입장을 정리했다.


쟁점1> 부서 순서(서열)의 기준은?
A. 조계종 조직 전반을 지원하는 부서를 먼저 배치했다. ‘종무행정부’와 ‘기획재정부’는 전체 부서를 보좌할 컨트롤 타워다. 두 부서에 힘을 실어주지 않으면 각 부서가 제각각 움직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인사기능을 가진 종무행정부에 감사기능이 더해져 파워 부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하지만 기획실 감사국처럼 감사를 하는 부서는 독립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이 외의 부서는 종책을 수행하는 부서다. 재가자 전법과 승가 교육기능이 중요해 ‘포교부’와 ‘교육부’를 전진 배치했다. 이후 사찰부·문화부·사회부 순으로 배치했다.
쟁점2> 전법, 포교 기능이 축소됐다는 의견이 많다.
A. 시각을 달리 해야한다. 일원화로 교육과 포교 기능이 확대됐다. 조직표가 평면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오해를 불러오는 측면도 있다. 포교가 절체절명의 불사라는 점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총무원장이 교육과 포교를 관장한다는 것 자체가 교육과 포교에 매진한다는 의미다. 축소가 아닌 확장 개념이다. 총무원장의 관할 영역이 확대돼 업무 하중이 생기는 것은 전결권 조정으로 해소할 계획이다. 일각에서 포교부원장, 교육부원장을 둬야한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전 부서의 장이 총무원장을 대신해 함께 활동해야 한다.
쟁점3> 조계종 연구기관이 총무원장 직속기관으로 편성된 이유는?
A. 종단 정책을 이끄는 중심은 총무원장이다. 특정 부서의 행정 직원이 연구 업무를 수행하는 것보단 총무원장 직속으로 독립성을 확보하고 전문가를 고용하는 형태가 적절하다. 외부의 시각에서 사안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종책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불학연구소나 포교연구실이 했던 업무 역시 마찬가지다. 경전 번역이나 포교 현장에서 활용할 자료를 교재개발 전문가를 통해 준비하고 품질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쟁점4> 종단 수익사업이 중요한 시점, 사업부가 사라진 이유는
A. 사업부의 경우 총무원이 직접 사업을 관장하기보단 사업 전담 법인인 도반HC에 대한 관리 업무가 더 주요했다. 굳이 업무를 이원화시킬 필요는 없다고 느낀다. 수익사업 또한 총무원 내 인력을 통해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수익을 위한 아이디어가 조직 안으로 들어오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사찰림이든, 사찰부동산 활용이든 경영 전문가의 관점을 반영해야 한다.
[1738호 / 2024년 7월 24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