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이 다섯 번째 선명상 아카데미에서 “슬픔도 기쁨도, 행복도 고통도 내가 만드는 것”이라며 양자역학 이론을 활용해 현상을 올바로 볼 수 있는 방법을 안내했다. 또 고락의 윤회를 해소할 방법으로 “있는 그대로 놓아버린다”는 ‘방하착’, 이른바 ‘놓음 명상’을 제시했다. 진우 스님은 7월 23일 서울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전통문화공연장에서 “놓아버리면 좋은 것도 싫은 것도 멈춘다”면서 “인과가 사라지고 마음이 편안해지면 행동과 생각이 저절로 정돈되고 마음이 청정해진다”고 강조했다. 특히 인식 대상에 좋고 싫은 감정이 덧붙는 원리를 알기 위해선 비교적 고요한 마음일 때 꾸준히 선명상을 연습해야만 한다고 설명했다. 또 9월 28일 광화문 일대에서 열리는 ‘국제선명상대회’에서 108가지 명상 방법에 대해 내놓겠다고 예고했다. 강의를 요약해 지면으로 전한다. 편집자

벌써 다섯 번째 강의다. 날씨가 좋지 않았다. 그럼에도 많이 참석해줬다. 감사하다. 수강생 한 분이 제가 이런 질문을 하더라. “스님, 강의 내용은 잘 알겠다. 그래서 선명상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나?” 저는 선명상 실참을 지도하지 않는다. 이 자리에서 명상을 앉아서 해라, 서서해라 구체적으로 지도하는 것 역시 제 역할이 아니다. 이미 수십수백가지 명상법이 있다. 사념처 명상부터 위빠사나, 사마타부터 염불명상까지. 9월 28일 서울 광화문에서 국제선명상 대회를 연다. 108가지 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자신에게 맞는 명상법을 선택하면 된다. 제가 이 자리를 마련한 이유는 하나다. 선명상을 왜 해야하는지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다.
이 강의 저변에 부처님 말씀이 깔려 있다. 6근(안이비설신의)으로서 6경(색성향미촉법)이 왜 나타나는가를 설명한다. 대상에 좋고 싫음이 왜 생기는가를 안내한다. 세상이 무너져도 자신의 기분이 괜찮으면 관계 없다. 하지만 세상이 정토라도 자신의 기분이 나쁘면 소용없다. 고수, 락수, 사수라고 해 3수(三受) 작용이라고 말한다. 이 원리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사건사고가 벌어졌을 때 스스로 마음을 제어하고 현상을 바로보는 힘이 생긴다.

지난 시간까지 서양철학자 인식론, 현상론, 존재론 이론을 활용해 현상을 이루고 있는 원리를 설명했다. 현대 과학의 양자역학에서도 불교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양자역학은 닐스 보어(Niels Bohr, 1885~1962)나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eisenberg, 1901~1976)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기 시작했다. 양자물리학에서는 원자가 모여 모든 것이 만들어졌다고 본다. 우주 전체가 따지고 보면 가장 작은 물질, 원자소립자 또는 쿼크(quark)로 만든 것이다. 원자 가운데 원자 핵이 있다. 이는 전자다. 전자에 대한 설명이 양자역학이다. 이 세기 최고의 양자 물리학자로 평가받는 닐스 보어는 이런 말을 남겼다. “생각은 현실이 된다.” 내가 보는 대로 나타난다는 의미다. 이 우주가 생기면 동시에 저 우주가 생긴다. 저 우주가 생기면 동시에 이 우주가 생긴다. 무한대로 생성된다.

모든 것은 결국 내가 만드는 것이다. 내가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일체유심조다. 고로 즐겁고 괴로운 것도, 기쁘고 슬픈 것도 내가 만드는 것이다. 이런 양자역학 내용이 이미 유식과 구사론에 들어있다. 만법 유식(萬法唯識)이다. 화엄경 법성게를 보면 일중일체다중일(一中一切多中一)이라는 게송이 있다. 아함경에는 차생고피생(此生故皮生)이다. 동전의 양면과 같다. 앞이 생기면 뒤가 동시에 생겨버린다. 마음도 마찬가지다. 즐거움이 생기는 즉시 괴로움이 생긴다. 양자역학의 세계 이론이 불교 해석과 같다.

고락에 관한 자신의 느낌 감정을 알지 못하고 이를 컨트롤하지 못하면 윤회할 수밖에 없다. 육도 윤회다. 고락의 업에서 탈출해야 한다. 그것이 해탈이고 깨침이다. 깨치면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괴로움은 반복된 경험에 의한 버릇이고 지난 경험은 잠재의식에 누적된다.
그러다 시간과 장소에 맞춰 나타난다. 이루 말할 수 없는 조건들이 모여 찰나의 결과로 나타난다. 인과적 현상이다. 시절 인연이라고도 한다. 수학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계산해보면 일어날 수밖에 없는 필연이다. 괴롭고 기분 나쁜 일이 일어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수많은 조건이 결합되는 시점에 일어난다. 현상에 대한 부분은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고락을 피하는 방법은 상대적인 업식을 둘 다 제거하는 수밖에 없다. 하나를 제거하면 다른 하나가 자동으로 사라진다. 차멸고피멸(此滅故彼滅)이다. 이를 중도(中道)라고도 한다. 어떤 현상을 보더라도 평상심으로 볼 수 있다. 시공도 사라지고 고락도 사라진다.

선명상을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그러면 극단적인 현상이 일어나고 사고가 일어나더라도 “지금 괴로운 업식이 나타나는 때”라고 생각하고 “지나가야지, 참아야지”라는 이성적 판단을 할 수 있다. 평소에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것은 기본이자 기초이다.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는 것은 고락의 기분의 잠재우는 것이다. 마음의 생사고락, 감정의 진폭을 줄여나가야 한다. 일을 하면서 방해물이 생길 땐 기분 나빠하지 말아야 한다. 자신의 업식에서 기분 나쁜 현상이 일어나는 때라고 납득해야 한다. 받아들여야 한다. 기분 나쁜 마음을 갖지 않도록 통제해야 한다. 감정을 제어하고 알아차리고 조절해야 한다. 그래야 능력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연습할 때 열심히 했지만 본 시합 때 욕심 때문에 긴장해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 마찬가지다. 지나친 욕심을 버리면 오히려 발전된다.

현상에 즐겁고 괴롭고, 기쁘고 슬프고, 행복하고 불행한, 상대적인 현상을 소위 마음이라고 한다. 이 감정 덩어리를 유정(有情)이라고 부른다. 유정은 곧 중생이다. 중생을 감정덩어리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때문에 괴로움을 피하기 어렵다. 깨치지 못한 것이 있기에 당연히 깨칠 것도 있듯 중생이 있기에 당연히 부처도 있다. 그것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오늘은 놓음 명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앞서 ‘지나가리라-쉘 패스(shall pass)명상법’을 소개했다. 흘려 보내는 방법이다. 오늘은 내려놓는 것이다. 불교적으로는 방하착(放下着)이라고도 한다. 선불교의 기본이자 최종 목적이다. 그 정도로 중요하다. 싫고 좋은 것, 고락이 생멸하는 것도 놓아버리면 마음이 평안해진다. 중도의 상태를 맞을 수 있다. 평온해지면, 내가 뭘 할 것인지, 어떤 말과 행동을 할 것인지가 보인다. 몸과 말, 마음이 청정해지는 신구의 삼업이 청정해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면 업도 사라진다. 그 자체로 평온해진다. 놓고, 또 놓고, 또 놓는 ‘방하착 선명상’ 연습을 평상시 해나가길 바란다.

질문> 현상을 분별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려다 보니 제 감정을 무시한다는 생각도 듭니다. 현상을 있는그대로 보는 것인지 감정을 무시하는 것인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나요?
진우 스님> 자신의 기분을 살피세요. 좋은지, 나쁜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지. 하지만 기분이 나쁘다고 감지해도 더 안 좋아질 수 있습니다. 그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시간이 걸립니다. 격한 감정이 가라 앉을 때까지 기다리세요. 멈추세요. 감정도 생로병사 합니다. 차츰차츰 줄어듭니다. 이것이 조금씩 극복되면 깨달음에 이를 수 있습니다. 지나가도록 우선 멈춤하세요. 그림자로 보세요.
질문> 해외 선행연구에 따르면 명상 보급의 한계로 명상지도자들 간의 격차를 들고 있습니다. 조계종 선명상 프로그램 지도법 표준화 및 고도화를 위한 계획을 듣고 싶습니다.
진우 스님> 선명상 프로그램 지도법 표준화는 이미 진행되고 있습니다. 스님이라면 누구나 선명상을 지도할 수 있도록 의무연수 등을 방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주 쉬운 명상부터 최정점인 간화선까지 표준화된 지도법으로 보급할 것입니다.
질문> 선명상 강의를 들으면서 일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찾아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으로까지 확산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회 전반에 가져올 선명상 변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진우 스님> 선명상 강의를 듣는 분들이 제 말에 동의하고 공감한다면 사회도 점차 밝아질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저출생 최저, 자살률 최고라는 사회적 악재를 안고 살아갑니다. 진영 간의 대결과 노사 간의 갈등이 첨예합니다. 국민들은 불안하고 불편해 합니다. 선명상이 보편화된다면 사회도 평안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런 희망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