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계종 중앙종회가 오는 6월 말까지 총림 실태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총림의 자격 요건인 교육기관 운영 현황 등을 비교분석할 뿐 아니라, 산중총회 구성원이 느끼는 운영 실태까지 면밀히 들여다 볼 방침이다. 부실 운영에 따른 구조적 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은 만큼 총림의 제출 자료가 미비할 시 추가조사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조계종 중앙종회 총림실사특별위원회(위원장 재안 스님)는 4월 2일 서울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분과회의실에서 첫 회의를 열고 전국 총림 실사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지난 제230회 중앙종회 임시회에서 결의된 총림실사특위는 위원장 재안 스님과 위원 도성·덕현·설암·태진·탄웅·현무·각진·성제·성원·혜도 스님 등 11명으로 구성됐다. 간사에 성원 스님을 선출했다.
실사는 위원 전원 참석을 전제로 하되 최소 8인 이상이 함께 움직이기로 했다. “17대 중앙종회의 경우처럼 실사 팀을 나눠 효율적으로 움직이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사안이 막중하고 교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만큼 구성원 전체가 움직이는 게 옳다”는 탄웅·현무 스님의 주장에 무게가 실렸다. 다만 효율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총림을 권역별로 묶어 점검하기로 했다.
1차 활동 기간은 6월까지로 설정했다. 11월 중앙종회 정기회 하반기 원 구성에서 종책모임의 재편이 예상되는 만큼, 활동기간을 느슨하게 두지 않기로 합의했다. 감사 기간을 길게 잡는 것 또한 총림에 대한 배려가 아니라는 의견도 나왔다. 덕현 스님은 “기존에는 종책모임이 개인의 관계나 성향에 따라 나뉘지 않았지만 이번 하반기 원 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9월 예정인 임시종회 전까지 실사를 마무리 짓고 대책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특위는 본격적인 실사에 앞서 2020년부터 정리된 교육원의 총림 교육기관 현황 자료와 총림에 집행된 지원금 내역부터 확인하기로 했다. 또 총림의 자료가 미비할 시, 추가검토를 위한 제도도 마련하기로 했다. 성원 스님은 “총림에서 마련한 자료가 부실할 경우 부실 감사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설암 스님도 “강원 하나를 유지하는 데 억 단위가 투자된다. 총무원이 지급하는 금액이 현실적으로 적정한 지 파악해야 한다. 지금은 오히려 선택과 집중을 통해 분산된 역량을 하나로 모을 때다. 학인들이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부 구성원의 의중도 살펴야 한다. 독단적 운영이 있진 않은지 구성원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특위는 4월 11일 오후 4시 제2차 회의를 열고 일정을 확정하기로 했다.
정주연 기자 jeongjy@beop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