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 후보는 5월 5일 부처님오신날에 맞춰 SNS를 통해 ‘전통문화·불교문화정책’을 공개했다. [법보신문DB]](https://cdn.beopbo.com/news/photo/202506/329453_136926_236.jpg)
제21대 대통령으로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면서, 그의 정치 여정 속에서 불교계와 맺어온 관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 대통령은 불교를 단순한 신앙을 넘어 한국 전통문화와 공동체 통합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그 관계는 언제나 순탄치만은 않았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불교를 ‘민족의 정신문화 근간’으로 평가하며, 전통사찰 보존, 명상 치유 프로그램 확산, 연등회 전승관 건립, 불교문화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한 맞춤형 정책을 대선캠프 불교본부를 통해 체계적으로 소개하며 관심을 드러냈다. 불교문화의 사회적 역할과 행정적 지원 가능성을 함께 모색하는 행보였다.


배우자 김혜경 여사 역시 전국 사찰을 순례하며 불자들과의 접점을 넓혔고, 조계종 중앙신도회 창립 70주년 행사 등 주요 불교 행사에도 참석했다. 또 단양 구인사에서 열린 천태종 상월원각대조사 열반대재에 참석해 헌향하고 예를 올리는 등 경건한 자세로 불교계와의 정서적 교감을 이어갔다. 이는 정책적 접근뿐 아니라 정서적 교감을 통해 신뢰를 쌓으려는 시도로 읽혔다.
이 대통령 역시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자격으로 조계종과 태고종 총무원장을 예방해 국민 통합을 위한 종교계의 역할을 강조했고, 2023년 의료공백 사태 당시에도 조계종을 찾아 종교계의 중재를 요청하는 등 꾸준한 교류를 이어갔다.

이 같은 행보에 호응해 불교계의 지지 움직임도 이어졌다. 서울에서는 불자 1080명이 국회에서 대규모 지지 선언을 했으며, 서울시당에서 열린 불자 단체 기자회견에서도 이 후보에 대한 지지 의사가 표명됐다. 광주·전남 지역의 사찰 신도회장 등 100여 명도 기자회견을 열어 공식 지지를 선언했고, 7대 종단이 참여한 ‘종교문화특보단’도 결성되어 전국적으로 지지 열기가 확산됐다.
그러나 불교계와의 과거 관계가 순탄하지는 않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2020년 ‘나눔의집’ 사태다. 당시 경기지사였던 이 대통령은 MBC ‘PD수첩’ 보도 직후 감사를 실시하고, 이사진 전원에 직무 정지 및 해임 조치를 내렸다. 그러나 경찰과 검찰 수사에서 핵심 의혹은 대부분 무혐의로 종결됐고, 경기도 감사에서도 횡령 정황은 드러나지 않았다. 이에 불교계 일각에서는 절차적 정당성 부족과 조사권 남용을 지적하며 “무리한 개입”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조계종 총무원과 한국불교종단협의회 등도 반대 입장을 냈지만, 경기도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설립자인 월주 스님이 해임된 직후 입적하자, 직접 금산사를 찾아 조문했으나 일부에서는 형식적 대응이라는 시각도 있었다.
![나눔의집을 둘러싼 불교계와 경기도의 갈등이 극심했던 2021년 7월24일 나눔의집 설립자인 월주 스님이 입적하자 당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김제 금산사를 찾아 조문했다. [법보신문 DB]](https://cdn.beopbo.com/news/photo/202506/329453_136930_437.jpg)
또한 2021년 정청래 의원의 문화유산 관람료 관련 발언이 조계종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 그러자 직접 종단을 찾아 사과하며 수습에 나섰다. 이후 문화재관람료 문제를 깊이있게 성찰한 정청래 의원이 앞장서 문화재관람료 관련 법을 개정해 해결하면서 오히려 불교계와의 관계는 전화위복이 됐다. 조계종은 정청래 의원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기도 했다.
이후 자승 스님 등 불교계 주요 인사의 입적에 직접 조문하고,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을 예방해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며 상호 협력을 강조하는 등 관계 회복에 힘썼다. 이는 불교계가 정치적 도구가 아닌 공공의 동반자로 인식되기를 바라는 행보로 평가됐다.
정치와 종교의 건강한 관계는 신뢰에서 출발한다. 불교계는 정치가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대통령 역시 종교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협치를 통한 신뢰 구축의 과제를 안고 있다. 양측의 관계는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국민 통합과 사회 치유가 절실한 지금, 불교계가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대통령이 이를 존중하는 소통이 이뤄진다면, 협력의 첫걸음은 가능할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불교계가 구축할 ‘공공적 동반자 관계’가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남수연 기자 namsy@beopbo.com
[1780호 / 2025년 6월 11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